• Title/Summary/Keyword: 사업계획서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an a Perfect Business Plan For a Startup Guarantee Success?: Focusing on the Completeness of the Business Plan and Firm's Performance (스타트업의 완벽한 사업계획서는 성공을 보장하는가?: 사업계획서의 완성도와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 Park, Hyun Young;Lee, Woo J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3
    • /
    • pp.127-139
    • /
    • 2023
  •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nd initiating a startup, startup entrepreneurs allocate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to developing a business plan. Within this process, the documented business plan serves not only as a roadmap for the venture but also as a communication tool for capital acquisition and internal team collaboration. However, is the business plan, meticulously crafted by entrepreneurs, actually effective in generating startup performance?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a business plan on startup performance. Additionally, it examin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plan and performance changes based on the satisfaction levels of entrepreneurs regarding the business plan.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validated the influence of the completeness of the business plan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on startup performance, and derived implications.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50 entrepreneur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teness of the business plan and performance, and the sample was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startup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operation and startups with three or more years of operation, for secondar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pleteness of the startup's business plan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the entrepreneur's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pla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plan and financial performance. Moreover, for startups that are less than three years old, the entrepreneur's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plan exhibit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teness of the business plan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reaffirms the importance of business plan development as a means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for early-stage startups and empirically validates its signific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startup entrepreneurs to bett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usiness planning and contribute to reducing the failure rate of early-stage startups.

  • PDF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for Management Analysis and Business Plan based on Web Agent (Web Agent 기반의 경영분석 및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개발)

  • Pang, Hyo-Kun;Yun,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821-824
    • /
    • 2001
  • 오늘날 컴퓨터 관련기술과 함께 Web 분야의 눈부신 발전은 기술적인 분야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활과 문화의 거의 모든 분야에 변화를 초래했다. 기업의 경영활동 분야 또한, 상당부분 인터넷을 통한 Web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Web Agent를 기반으로 개발된 Atecom(Analysis Technology Company) System에 관하여 논한다. Atecom은 경영분석 시스템과 사업계획서 작성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tecom DB와의 연동을 통해 비교 분석 질의하여 현 경영상태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기업경영의 안전과 발전을 기하기 위해 개발된 자가진단 시스템이다. 창업에 있어서는 사업계획서 시스템에 의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업성을 평가하고, 창업의 문제점을 미리 파악한 후 사전 진단하여 예측 가능성의 분석 자료를 통한 창업 활성화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재무나 회계에 해박한 지식이 없어도 본 시스템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하고, 심플한 인터페이스와 빠른 수행속도 및 자동화 처리를 지향한다. 논문의 마지막에는 Atecom System의 향후 연구 방향 및 과제에 대해 언급한다.

  • PDF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 Hwang, Bo-Yun;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02-107
    • /
    • 2016
  • 정부는 최근 2018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부터 6년, 중학교 1학년생, 고등학교 1학년생들에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2020년 부터는 전학년에게 기업가정신 교육을 의무화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진행되고 있는 중소기업청의 비즈쿨 교육과정 등에서 실시되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의 대부분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을 주 과제로하고 교육과정중에서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제반 내용을 교육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에 필요한 내용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특별히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단순히 사업계획서 작성에 목적을 두고 있는 대부분의 현 교육 방법과 달리 창업학의 근본적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관련 각 교육 기관 및 담당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