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신도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동물부작(韓國動物符作)과 식문화(食文化) - 고구려(高句麗) 고독(古讀)의 사신도(四神圖)를 중심(中心)으로 - (Animal Charm and Food-Culture of Korea - Focused on the Sa-Shin-do(pictures of Four gods)of the old tomb of Koguryo Dynasty -)

  • 김민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3
    • /
    • 1986
  • There is the picture of four gods(四神圖) painted on the wall of old tomb of Koguryo dynasty in $4{\sim}5$ century. Four gods in this picture were Symbolized by four animals, tortoise, tiger, ryong which is imaginative large Snake, and bong hwang which is also imaginative birds. Those animals wese believed at that time as protecting geities against all of the haman disaster and evils. The peoples of Kojosun dynasty carried those animal charms, and painted or graved on some where of living environment such as furniture, utensils, tools, wall, ceiling, etc. They ate those animals as food or medicine to treatment of all disieses and to get rid of evils and to gain well-being. A lot of examples in historical records were cited and interrelated to above super stitions.

  • PDF

4세기-7세기 백제사신선의 선형 연구

  • 이원식;허일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0-106
    • /
    • 2004
  • 2003년에, 충남 부여시에 건립 중인 백제역사민속박물관에 전시할 '백제사신선'에 대한 복원을 추진할 때, 백제의 해양 활동과 원양 해선에 관한 자료와 역사 고증 자료를 찾아 보았으나 설계나 조선 공작에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국내에서는 구할 수가 없었다. 2001년 하절에 일본 신호상선대학을 방문하였을 때, 일본의 견당사선에 관한 자문을 상선학부의 송목철 명예교수와 정겸광행 교수에게 구하였던 바, [일본서기]와 회화 등에 일본의 원양해선인 견당사선에 관한 유익한 자료가 있다는 고견을 들었으며, 그 때 견당사선에 관한 참고 자료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일본의 원양 해선인 견당사선은 백제선식의 선박이라는 것을 여러 자료에서 발견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견당사선의 실체를 추적하여 백제선의 선형과 선양을 도출하려 한다. (중략)

  • PDF

세종시대 천문시계 옥루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김상혁;이용삼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0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9권1호
    • /
    • pp.33.2-33.2
    • /
    • 2010
  • 옥루(玉漏)는 1438년(세종 20)에 장영실이 제작한 자동물시계이다. 종, 북, 징을 타격하여 시간을 알려주고 태양운행 장치가 있어 절기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옥루에 대한 관련 문헌을 연구하여 옥루 작동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옥루는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으로 운행하는 동력장치를 두고 있다. 옥루를 이루고 있는 가산의 형태는 빈풍도를 나타낸 것으로 백성들의 농사짓는 어려움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옥루의 구조는 산위, 산기슭, 평지로 구분할 수 있다. 산위에는 태양운행 장치, 옥녀(玉女)와 사신(四神), 산기슭에는 사신(司辰)과 무사(武士), 평지에는 12신(神), 옥녀(玉女), 관인(官人)이 위치해 있다. 각 층별로 구성되어 있는 시간을 알려주는 인형들의 기본적인 운행 메커니즘에 대하여 분석하고 작동 개념도로 제시하였다. 또한 태양운행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개념도로 제시하였다.

  • PDF

관서지방 배따라기 연행고(演行考) (A Study on Baettaragi Performance in Northwestern Province of Korea)

  • 임수정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105-158
    • /
    • 2011
  • 조선 인조대에 경기(京妓)가 폐지된 이후 생긴 향기(鄕妓)의 선상제도(選上制度)로 인하여 지방에서 공연되어 지던 교방정재(敎坊呈才)가 궁중으로 유입되어 궁중정재로 채택, 궁중연향에서 연행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종목 중 하나가 선유락(船遊樂)이다. 선유락은 정조19년(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에 최초로 기록된 이후 조선후기 궁중연향기록인 각종 의궤의 정재종목으로 빠짐없이 등장한다. 궁중정재 선유락을 담당한 여기(女妓)들이 당시 평안도 의주, 안주, 성천 등지에서 올라온 선상기(選上妓)들이었음을 고려할 때 이들에 의해 관서지방의 교방정재인 배따라기가 궁중으로 유입되고 궁중 정재 선유락으로 정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궁중정재 선유락의 형성에 영향을 준 관서지방 교방정재인 배따라기는 명·청교체기후금이 요동지역을 장악하자 명나라 사행(使行)을 바닷길로 갈 수 밖에 없었던 수로조천(水路朝天) 당시의 일을 바탕으로 하여 교방의 기녀들에 의해 공연물로 탄생되었다. 관서지방은 중국으로 사행을 떠나는 사신들이 거쳐 가야 하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사신들을 위한 연향이 많았고 중국으로 떠나는 사신들을 위한 전별연(餞別宴)에 교방청 기녀들에 의해 험난한 사행길을 떠나야 하는 이별의 애끊은 아픔과 사신들의 무사귀환을 축원하며 배따라기가 연행되었다. 관서지방 배따라기 관련 많은 문헌에서 교방정재 배따라기가 수로조천 당시 배가 떠나가는 (船離) 이별의 아픔을 처절한 성조(聲調)와 행위로 공연작품속에 담아내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기록을 토대로 살펴본 관서지방 배따라기는 무구로 사용되는 그림배(畵船)가 등장하고, 동기 한 쌍을 뽑아 군사인 소교(小嬌)로 분장시킨 후 군례를 올리고, 행군을 의미하는 고취악을 연주, 행선 전 부르는 노래와 음악반주, 행선의 모습을 극적(劇的)으로 표현, 무사귀환을 축원하는 이별가(배 떠나는 노래)를 부르는 형식으로 공연을 구성하고 있다. 명·청 교체기 수로로 사행을 떠나는 사신을 이별하며 바닷가에서 배를 떠나보내며 벌어진 실제 상황을 이렇듯 악·가·무와 극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공연물로 탄생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탄생된 관서지방의 교방정재 배따라기는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을 위한 각종 연향에서 공연되어졌고 선상기들의 활동에 의해 궁중정재 선유락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궁중연향을 마친 선상기들의 귀향(歸鄕)으로 인해 다른 지방에도 유사한 형태의 공연물(『교방가요(敎坊歌謠)』 소재 「선악(船樂)」, 『이재난고(頤齋亂藁)』 소재 「행선곡무(行船曲舞)」)로 정착되어 지방의 연향에서 그 지방의 특색을 담아 서로 다른 절차로 공연되어졌다.

산소 존재하에서 UVB에 의한 페플록사신의 광화학적 반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chemical Reaction of Pefloxacin Irradiated by UVB in an Aerobic Condition)

  • 최윤수;이경선
    • 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6-40
    • /
    • 2000
  • The photodegradation of pefloxacin, photolabile fluoroquinolone antibacterial agent, was studied. In the presence of $N_2$, photodegradation of pefloxacin was suppressed. The singlet oxygen and free radical generated in the reaction media proceeded photochemical reaction. The photodegradation of peflxacin was sensitized by benzophenone, a triplet state sensitiz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