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상이론

Search Result 38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Sasang" in the I Ching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asang Medicine (주역의 '사상'과 사상의학의 '사상'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 Lee, Sung-hwan;Kim, Ki-hyon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2 no.1
    • /
    • pp.24-36
    • /
    • 2000
  • Purpose : Many believe that the Sasang mentioned in the I Ching and the Sasang of Sasang Medicine (as expounded by Dr. Lee Je-ma in the book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Oriental Medicine) refer to different concepts. This is untr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ought patterns of Dr. Lee Je-ma and his book,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I Ching. The I Ching was the most respected text in Dr. Lee Je-ma time, and served as the foundation upon which his medicine sto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asang in the I Ching and how it applies to the Sasang medicine. Method : The authors first defined the term Sasa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I Ching. It was th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ories of modern science. Inferences were made as to how Sasang corresponds to the terminologies and concepts of modern science. The characteristics of Sasang interpreted through modern science were then applied to the physiology, pathology and pharmacology of Sasang Medicine. Results and Conclusion : 1. The Sasang theory of the I Ching organizes seemingly random and isolated natural phenomena into four distinct groups according to various attributes.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each of these four categories are known as Sasang. 2. The Sasang theory of I Ching has a strong correlation to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Theory of Complementarity, as well as the Digital and Fractal Theories. 3. By applying the Sasang Theory to various fields, the seemingly unrelated principles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medicine can be seen as parts of a whole. 4. Sasang Medicine categorizes human morphology, physiology and pharmacology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defined by the Sasang Theory of the I Ching. 5. Grouping new discoveries of modern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medicine according to the Sasang Theory will bring to light the intricacies of the Sasang Theory while facilitating the incorporation of modern science into Sasang Medicine.

  • PDF

Aspects on Conceptual Mappings in Mental Space (정신공간에서의 개념적 사상의 양상)

  • 이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57-163
    • /
    • 2000
  • 이 글은 최근 인지언어학에서 기본적인 핵심이론 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 '정신공간 이론'(mental space theory)에 대한 이론적인 소개와 함께 의미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의 하나인 '사상'(mappings)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1994년 이후 Fauconnier와 Fauconnier & Turner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 정신공간 이론에서는, 언어의 의미를 궁극적으로 인지적 공간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언어로 '투사'(projection)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기존의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사이의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사상, 이른바 '두 영역 모델'의 대안으로 '다공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다공간 모델 속에는 '포괄공간'(generic space)과 '혼합공간'(blending space)이 설정되는데, 그 중에서 포괄공간은 근원공간과 목표공간의 모든 개념이나 추상적인 도식 등이 반영되어 있는 반면, 혼합공간은 실제의 다양한 개념적 혼합의 결과로 나타나며, 입력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상응되는 부분들 사이의 연결을 활용하고 발전시키기 때문에 그 자체가 또 다른 혼합공간의 입력공간에서 일어나는 개념적 사상의 양상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의미구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는 합성어와 같은 어휘적 측면은 물론, 일상의 문장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개념적 사상의 다양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A Sasang Theory of Leadership (사상이론(四象理論)의 리더십 연구(硏究)에 적용(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Mam-in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2 no.1
    • /
    • pp.63-83
    • /
    • 2000
  • The common concerns of leadership approaches were focused on finding leadership factors or necessity of leadership change to proper leadership styles adapt to contingent change through observing various leaders' behavior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ically, they assumed that the human could be adapt to any conditions regardless of his inherent characters though it is perceived generally that human beings have different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same fact, condition, situation, etc. In other words, inherent factors that cause individual differences have been neglected but concerned only about postnatal environments which influence human characters in previous leadership studies. A number of studies concerning inherent human characters have been worked in Asia for the past thousands years, which enable answering to the questions; why the human beings have different characters and personalities, and how to manage them in the given life conditions. In this research, four type human theory(called Sasang Theory) which has already been widely used in medical field in Korea will be introduced and applied to leadership theory to indicate inherent causal factors of the human character that are expected to influence leadership styles. In process,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for leadership theory and the other is for Sasang theory, have to be considered to match the different ideas. The theory is so predictable that the result implies possibilities of further future researches in the organizational fields by presupposing human behavior.

  • PDF

Critical Review on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동양 전통 생태사상의 현대적 전환을위한 비판적 고찰 - 유학의 생태사상을 중심으로 -)

  • Han, Sung Gu;Chi, Chun-Ho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36
    • /
    • pp.235-258
    • /
    • 2013
  • People say that dichotomous way of thought in the Occident separating human from nature resulted in ecological crisis. Furthermore, it is said that surmounting Occidental way of thought is necessary to heal ecological crisis, and ecological elements in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could be the alternative for changing anti-ecological disposition inherent in Occidental thought. Although so-called ecology did not exist in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there is room for reviewing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in terms of ecological elements or ecological orientation.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 vitality and significance of ecological elements in Oriental traditional philosophy cannot be conclusively verified. On the other hand, Occidental thought regarded as the main culpri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may not contain anti-ecological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by raising two questions, "Is Occidental view of nature anti-ecological?" and "Is Oriental view of nature ecological?"

中韩对体质问题的研究比较 (중국과 한국의 체질의학 비교연구)

  • Wang, Gi;Lee, Yeong-Su;Ma, Hyo-Bo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20 no.2
    • /
    • pp.98-103
    • /
    • 2007
  • 중국의 체질의학은 중국의학의 진단과 변증 및 치료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론 중의 하나이다. 최근 중국에서의 체질에 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학계에서는 체질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으며 사상의학을 대표로 하는 체질의학이론의 체계가 이미 형성되어있다. 이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양국의 체질이론에 대해 그 연원과 이론체계 및 임상응용에 대해 비교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를 통해 한국의 체질의학은 중국의 체질의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중국의 체질의학의 내용을 더욱 심화시키고 확대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사상형 fluid maper의 전류로와 사상영역의 특성 및 응용에 대하여

  • 고명삼
    • 전기의세계
    • /
    • v.9
    • /
    • pp.40-45
    • /
    • 1962
  • Laplace 및 Possion의 방정식을 만족하는 전장 및 자장으로 구성된 2차원 및 축대칭 3차원의 potential장을 물의 유동장을 이용한 fluid mapper로 상사해석함에 있어서 세극유로에 있어서의 유체전도율은 매질전도율로 압력은 전위로 유동장의 세기는 전장의 세기로, 유량밀도는 전류밀도로 각각 상사되며 또한 사상형에 있어서는 사상영역외에 존재하는 유선은 등자위선을 의미함을 논문에서 밝혔다. 이 논문에서는 사상형 fluid mapper의 전 유로 및 사상영역에 잇어서의 유체력학적 현상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여 이를 전기적 등가회로와 상사 해석함으로써 사상형 fluid mapper가 내포하고 있는 제량간의 상호관계를 명백히 하며 몇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들어 사상형 fluid mapper의 응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Haewon Sangsaeng and the Theory of Desire in Psychoanalysis: a Comparison Focused on Mourning (해원상생과 정신분석의 욕망이론 - 애도를 중심으로 -)

  • Kim, Seok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8
    • /
    • pp.73-102
    • /
    • 2017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commonality and complementarity between psychanalysis and Daesoon thought, while understanding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Haewon-Sangsaeng, which is one of the religious doctrines of Daesoon Jinrihoe, in terms of the theory of desire posited by psychoanalysis. There is a common point between Daesoon thought and psychoanalytic theory since both ideas give importance to desire. The Haewon idea is similar to that of psychoanalytic theory, which emphasizes restoring desire through mourning and realizing it within a structure of inter-subjectivity. Of course, the meaning of desire in Daesoon thought, given its status as a religious doctrine, is polysemous, and the orientation of this type of desire i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psychoanalysis given psychoanalysis's role as a therapeutic discourse. However, Daesoon thought explains that the pain and unhappiness suffered by human beings occurs because of mutual overcoming which is a relational style wherein desire can not be solved properly for either party involved in an interaction. Mutual overcoming is a state of mutual beneficience beyond the previous state of mutual overcoming. Likewise, psychoanalysis seems to accept the loss of the object through mourning, and in this way, desire is reactivated. Daesoon though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cosmic systems like mutual beneficience and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these systems have a commonality with psychoanalysis as psychoanalysis sees desire positively within the structure of inter-subjectivity. The direction of social practice in Daesoon thought and psychoanalysis both aim at the realization of a new universality. The inter-subjectivity structure suggests desire of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desire as a way of practice because desire is not personal but rather social. In conclusion, we should not stop at resolving our own individual desires, but should instead go forward in solidarity toward the achieving the common good.

『의령(醫零)』으로 본 정약용(丁若鏞)의 의학사상(醫學思想)

  • Seo, Bong-Deok;Kim, Nam-Il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16 no.2
    • /
    • pp.17-34
    • /
    • 2003
  • 지금까지 서양의학의 도입이란 측면에서만 조명되어온 정약용의 의학사상은 이제 한의학 이론의 발전과정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의령(醫零)"에서 나타나는 그의 의학사상에는 미끼 사카에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입각한 "소문(素問)"의 병리론과 음양(陰陽)으로 논해온 '근시(近視)'에 대한 기존 이론에 대해 서학(西學)의 사행설(四行說)과 갈렌생리학, 그리고 광학이론을 가지고 비판을 가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좀 더 자세하게 검토해 보면 이런 서학(西學)의 영향은 정약용의 의학사상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부분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그가 구상하고 있던 새로운 철학을 위해 취사선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육기론(六氣論)"에서 제시되는 사정설(四情說)의 경우, 서학의 사행설(四行說)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역(周易)철학의 소산이다. 서학(西學) 뿐만 아니라 명대(明代)의 온보학파(溫補學派) 특히 장경악(張景岳) 의학사상의 영향도 주목해야 한다. "의령(醫零)"에서 논의된 의론(醫論)의 상당부분에서 장경악(張景岳)의 "전충록(傳忠錄)"과의 연관성이 상당히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장경악(張景岳)이론의 정치(精緻)한 면에 대해서 찬사를 보내고 있지만, 그의 숭고주의(崇古主義)와 정치(精緻)한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도 동의한 것은 아니다. 정약용은 서학(西學)과 장경악(張景岳)을 비롯한 온보학파의 의학사상을 종합한 토대위에서, 즉 원기(元氣)의 운행(運行)이란 관점으로 의학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했다고 평가된다. "육기론(六氣論)"에서 시작된 육기병리설(六氣病理說)에 대한 비판은 "외감론(外感論)"에서 "이증론(裡證論)"을 거쳐 "허실론(虛實論)"으로 이어지면서 오행상극설(五行相剋說)에 의거한 병인론, 삼음삼양론(三陰三陽論)에 의거한 경락장부론(經絡臟腑論), 내외상론(內外傷論)을 모두 반박하면서 이러한 새로운 의학을 건설하려 하였다. "허실론이(虛實論二)"에서 장경악(張景岳)의 "풍한적체(風寒積滯), 담음어혈지속(痰飮瘀血之屬), 기불행칙사불제(氣不行則邪不除), 차기지실야(此氣之實也)."라는 말을 인용한 점은 이런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PDF

대순진리회의 '선화(善化)'사상에 대한 연구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3
    • /
    • pp.193-239
    • /
    • 2014
  • 본 논문은 대순사상의 선화(善化)사상을 살펴보고 그 주체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전경』에서는 어떻게 선을 드러내고 행하며 더 나아가 선으로 중생을 교육하고 천하를 교화하는가 하는 선화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곧 대순진리회의 핵심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선화'사상은 세 가지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도덕적 의미에서 만물을 도와서 교화시키거나 만물을 크게 이롭게 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상선(上善)의 덕 외에도 상선의 법이 필요한데, 이는 '선을 행하는 목적'에 부합하고 또한 선을 행하는 법칙을 지키는 실천방법과 절차를 말한다. 셋째, 가장 높은 차원에서의 '선'은 윤리도덕의 단계를 초월한다. 이에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을 살펴보면 첫째, 대순진리회의 목적인 무자기, 포덕천하, 광제창생, 보국안민, 지상천국건설에 나타난 문자의 표면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는 모두 '선화'의 내용에 포함된다. 둘째, 대순진리회 목적의 실현은 그 종지와 신조에 의거하는데, '합덕·조화·해원'과 사강령(四綱領)과 삼요체(三要諦)에도 '선화'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셋째, 대순진리회의 목적은 도인들의 구체적 행위를 통해 실현되는데, 수도와 공부의 필요성과 규범 속 그리고 상제와 도주 조정산(趙鼎山)의 창교(創敎)나 선교(宣敎) 등 구체적인 실례에서도 '선화'의 원칙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은 전형적이고 신성한 종교 도덕적 특징과 일상생활의 의미가 담긴 사회 윤리적 특징이 있으며, 또한 윤리를 초월하고 진선(盡善)을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의식과 이론적 깊이가 있다. 대순진리회 '선화'사상의 주체성과 이론구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에서는 무엇보다 윤리 도덕적 측면에서의 선의 배양과 실천을 중시한다. 둘째,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은 윤리도덕의 선을 실천하는 법문(法門)을 제시하였다. 셋째, 대순진리회의 '선화'사상은 수도의 최종 목적인 대선(大善)·지선(至善)·진선(盡善) 등을 추구하고 실현할 것을 강조하였다. 선화사상이 나타내는 핵심인 '선덕'과 이로부터 발전된 '선행선법(善行善法)'이 결국 윤리도덕의 차원을 초월하였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