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무실환경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사무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박수찬;김진호;이영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451-455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무환경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무환경 구성이나 사무환경 개선시 활용 할 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안하고, 사무실 환경관리규정 설계시 활용하는데 있다. 실태조사는 관공 서 및 정부투자기관 사무실, 일반기업체 사무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내용으로는 개인점유 면적, 가구 재질 등에 대한 일반적인 사무환경 조사와 소음환경, 온/습도환경, 조도환경 등과 같은 쾌적성의 요인이되는 환경을 측정하였다. 조사의 실시는 7월 20일 부터 9원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조사된 사무실은 총 39개 기관 45개사무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무환경을 보면 1인 1PC 사용률은 77.3%, 1인 사무실 면적은 약 7.6M$^{2}$,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이 67.6%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회의 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56.7%로 나타났다. 환경측정은 사무실을 출입구, 중앙, 안쪽(또는 창가) 등 3개 위치를 선정하여 바닥으로 부터 85c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조도의 경우 등과 등 사이의 평균 조도를 보면 출입구는 400.11x, 중앙은 481.91x, 안쪽은 629.61x로 나타났으며 등밑에서는 각각 435.81x,518.11x, 666.31x로 나타나 일반 사무실에서의 작업수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습도환경을 보면 측정지점별 각각 평균 27 .deg. C 54.5%, 26 .deg. 55.4%, 26.3 .deg. C 55.4%, 26.3 .deg. C 56.2%로 나타났으며, 소음환경은 측정위치별 각각 52.9db, 54.1db, 53.7db로 나타났다.

  • PDF

업무용빌딩 소재 사무실의 실내공기질 평가사례

  • Jeong, Ji-Yeon;Lee, Byeong-Gyu;Lee, Gw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94-97
    • /
    • 2005
  • 서울, 인천, 광주, 그리고 부산지역의 대형업무용 빌딩 소재 36개 사무실을 대상으로 사무직 근로자의 실내환경에 대한 인식, 신체증상경험, 사무실환경관련 태도를 알기위한 설문조사와 그리고 실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실태조사결과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사무실 환경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 근로자들이 많았으며, 신체이상 증상 경험유무에 있어서도 빌딩증후군 관련 증상을 경험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내환경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겨울철 경우 실내의 상대습도가 매우 낮아 불편감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실내공기 오염의 지표물질인 이산화탄소 농도에 있어서도 최고치 농도가 1,000ppm을 초과하는 사무실이 33.3%인 12개 사무실로 나타나 실내환기에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실내공조설비는 주로 온도조절 즉 냉${\cdot}$난방 조절목적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선외기공급을 통한 실내환기 개념에 있어서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 PDF

System Evaluation for Office Sound Environment (사무실 소음 음환경 재현시스템 구축)

  • 황재호;조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728-730
    • /
    • 2002
  • 사무실 환경을 재현하는 챔버를 제작하고 사무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소음을 재현하는 음향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소음원 확보를 위해 다양한 공간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실제음을 녹취하였고, 이를 소음원 제시용 CD로 제작하였다. 사무실 환경 챔버 내의 다채널 스피커 음향 시스템을 구축한 후, 챔버의 공간 조건과 소음원의 컨벌루션을 통해 실제 사무실 발생음을 재현시켰다. 소음 환경 안에는 시간, 주파수 및 잔향 성분을 포함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Variable-Vocabulary Isolated Word Speech Recognizers with Maximum a Posteriori (MAP) Estimation-Based Speaker Adaptation in an Office Environment (최대 사후 추정 화자 적응을 이용한 가변어휘 고립단어 음성인식기의 사무실 환경에서의 성능 평가)

  • 권오욱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84-8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단어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성학적으로 최적화된 (phonetically-optimized word)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훈련된 가변어휘 고립단위 음 성인식기의 실제 인식기 사용 환경에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훈련 데이터베이 스에서와 상이한 환경에서 수집된 음성학적으로 균형 잡힌(phonetically-balanced word) 고 립 단어 음성을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테스트 데이터는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작동하 는 노트북 PC에서 내장 마이크를 사용하여 녹음되었다. 이렇게 녹음된 음성을 사용하여 고 립단어 인식기의 인식률을 측정하였다. 이 인식기는 최대 사후(maximum a posteriori) 추정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화자의 변화에 적응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에 의하면 화자 적응 을 하지 않은 기본 시스템은 깨끗한 음성에 대하여 81.3%에서 사무실 환경 음성에 대하여 69.8%로 인식률이 저하되었다. 사무실 환경 음성에 대하여, 비교사 점진(unsupervised incremental) 모드에서 최대 사후 추정 화자 적응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화자적 응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9%의 에러를 감소시키며, 50단어의 적응 단어를 사용하여 교사 묶음(supervised batch) 모드에서 최대 사후 추정 화자 적응 알고리듬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16%의 에러를 감소시켰다.

  • PDF

The New Paradigm of Information -intensive Office in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Expanded Alternative Office- (21c 정보화 사무실의 뉴 패러다임 - 대체 사무실의 확산과 그 역할 -)

  • 임외석
    • KSCI Review
    • /
    • v.6 no.2
    • /
    • pp.20-35
    • /
    • 1999
  • Today, the traditional office system doesn't accomplish the function of office well on account of the change of socioeconomic environments We can expect that aspect will grow from bad to bad in the 21st century. So, I insist that the alternative office is a cure for the problem The alternative office means a new form of offices, e,g. Team office, Hoteling, Small office home office. Satellite office, Cyber office. etc., as a alternative of the traditional office. I believe that alternative offices on the basis of a powerful information technology will perform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office efficiently, and then these are fixed on the new paradigm of the information-intensive offices.

  • PDF

사무실 내 미세먼지와 건강자각증상과의 상관성

  • Lee, So-Dam;Kim, Yun-Sin;Lee, Jong-Tae;No, Y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47-149
    • /
    • 2005
  • 수도권에 위치한 사무실 69개소의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사무실 내 근로자들의 건강자각증상 설문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건강 자각증상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실태조사를 통한 사무실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PM_{10}$의 경우 $114.62{\pm}73.66{\mu}g/m^3$ 로 69개소 중 18개소가 기준을 초과하였고 , $PM_{2.5}$의 경우 $80.15{\pm}53.86{\mu}g/m^3$ 로 69개소 중 35개소가 기준을 초과하였다. 미세먼지와 건강자각증상과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수록 두통, 안구 건조, 목건조 증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외의 증상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PDF

A Case Study on Human Factors Approach to Designing the Executive Office in the Insurance Company (사례조사법을 이용한 보험회사 사장실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접근)

  • HeeJinPak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8 no.1
    • /
    • pp.57-75
    • /
    • 1997
  •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이나 직장에서 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집과 사무실은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개의 공간인 것이다.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사무실은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신체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게되어 작업능률과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최소화한다. 특히 많은 책임과 권한을 가진 사장들에게 있어서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환경은 필수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법을 이용하여 미국 Lowa주 주도인 Des Moines에 사무실을 갖고있는 10개 보험회사 사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관찰조사 및 실내공간 스케치를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사무실은 직접적으로 일과 관련된 디자인 부분만 강조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많은 시간이 읽기와 쓰기등 시각적인 일에 쓰여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 특히 국부조명은 거의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상담이나 접견과 같은 활동을 위한 가구의 선택이나 실내공간계획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사용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심리적, 생물학적 요구사항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디자이너는 좀더 사용자 위주의 공간계획을 해 나가야 할 것이며 각각 다른 사무실특성, 기능, 인간관계. 특히 종업원과의 관계, 사업종류 등을 명확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s of open-plan offices in Korean public buildings (국내 공공건축물 개방형 사무실 음환경 평가)

  • Sang Hee Park;Hye-Kyung Shin;Seung-Min Lee;Kyoung Woo Kim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1
    • /
    • pp.42-49
    • /
    • 2023
  • Poor indoor acoustic environments negatively affect occupant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indoor acoustic environments affect not only tas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occupants, but also their health and well-being. This study aimed for evaluating indoor acoustic environments of open-plan offices located in public buildings in Korea. It also aimed to review the matte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occupants' acoustic comfort. Indoor noise levels were measured in 13 sites;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for five consecutive working days from Monday to Friday. The noise level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levels recommended by the ISO and the EU ALDREN project. The study found that most of the indoor noise levels measured in the sampled sites during the working hours met the ISO standard. In the case of the levels under unoccupied conditions at night, those at three sites did not meet the recommendation of the ALDREN. In additio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oise level. Since the exact acoust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could not be identified, future research is needed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rate building performance and indoor acoustic environments.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Alternative Office in the Business Worlds (비즈니스 세계에서의 대체 사무실의 전략적 활용)

  • 임외석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3 no.1
    • /
    • pp.161-180
    • /
    • 1998
  • The concept of office will change from the physical workplace with paperwork to unphysical workplace with paperless-work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21th century. We can find such change from increasing of alternative office, e.g. SOHO(Small office home office), Virtual office, Electronic office, Digital workplace, Satellite office, Hotelling, Telecommuting, etc. In this paper, through a few cases in the advanced nations you shall probably get answers to following questions: How do they make use of alternative office, what is strategic values of that, and how shall we design and build it to increased business performances in the business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