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립박물관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Fundamental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Management for Private Museum (사립박물관 소방분야 관리 실태에 관한 기초 연구)

  • Song, Chang-Young;Lee,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31-334
    • /
    • 2015
  • 박물관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귀중한 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는 소장품을 보관 전시하는 등 교양, 조사연구, 예술활동 등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위협하는 요소 중 화재로 인한 피해는 소장품을 순식간에 파괴하여 복구 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어 가장 위험이 큰 재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4조의 6에서는('15년 12월 31일 시행),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기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을 작성 관리토록 되어있다. 하지만 연면적 $3,000m^2$ 이상의 대규모 사립박물관만 해당되며 대다수 사립박물관은 재정적으로 취약하고 소규모 시설로 인해 화재를 비롯한 각종 재난안전관리에 매우 취약하여 소중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물들이 소실될 수 있는 높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 소규모의 사립박물관 50개소를 선정하여 화재안전에 대비한 소방분야의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향후 안전관리 교육 훈련 프로그램 또는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Private Museums (사립 박물관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Chang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607-61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standard manual for safety management in private museums. Method: For this purpose. Fifty private museums in the KOREA have been selected. and Interviewed experts to investigate problems in safety management work. Resul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ed: 1)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re derived. 2)It was survey that the staff responsible in safety managers for safety management needs education. Conclusion: Therefore, the standard procedure for scenario-based safety management using figures and charts was proposed.

Data Input Method for Cultural Heritage Standard Management System Using Web-Based Validation (웹 기반의 유효성 검사를 적용한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자료입력 방법)

  • Kyu-Jun Yu;Jae-Woong Kim;Youn-Yeoul Lee;Yi-Geun Chae;Koo-Rack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99-100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국공사립 박물관 및 미술관 등의 소장품을 체계적인 관리지원을 위하여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을 개발 및 배포하고 있다.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의 자료등록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고 있다. 첫 번째는 소장품등록의 웹페이지화면에서 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엑셀양식을 통한 일괄등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엑셀양식을 통한 일괄등록의 경우에서 별도의 웹페이지를 작성하여 자료입력방식에서 생길 수 있는 인적오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ltural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Focus on a Museum and Art Museum in Youngwol-gun- (장애인을 위한 문화복지서비스의 실태 분석연구 -영월군의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 Oh, Seung-Ha;Cho, Sung-J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1
    • /
    • pp.6659-666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ltural welfare system for the disabled. The survey was completed by 21 public and private museums at a cultural welfare center in Gangwon-do, Yongwol-gun, specialized for museums only between 1 June and 31 July 2014. The study scale questions were analyzed by field surveys in cultural welfare centers and interviewing the museum dire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ultural welfare service effects on the controlling culture, art and leisure activities for the disabled. Second, cultural enjoyment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This study provides a database to improve policy regarding environmental construction, various program developments, visiting performance system development, and supplement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audience as a member of society.

Reevaluat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Evacuation and Exhibition Projects in the 1950s (6.25 전쟁기 국립박물관 소장품의 국외반출 과정에 대한 신고찰)

  • KIM Hyunj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7 no.1
    • /
    • pp.198-216
    • /
    • 2024
  • This article reevaluat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pivotal action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and its aftermath. It argues that the evacu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 to Busan and the subsequent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in the United States in 1957 were not isolated events, but rather interconnected facets of a larger narrative shaping the museum's trajectory. With newly discovered archival evidence, this study unravel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pisodes, revealing how the initial Busan evacuation evolved into a strategic U.S.-led touring exhibition. Traditionally, the Busan evacuation has been understood solely as a four-stage reloc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s between December 1950 and May 1951. However, this overlooks the broader context, particularly the subsequent U.S. journey. Driven by the war's initial retreat of the war, the Busan evacuation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evacuation to Honolulu Museum of Art. The path of evacuation took an unexpected turn when the government redirected the collections to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itially conceived as a storage solution, public opposition led to a remarkable transformation: the U.S. exhibition. To address public concerns, the evacuation plan was canceled. This shift transformed the planned introduction into a full-fledged traveling exhibition.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U.S. Department of State spearheaded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marking a distinct strategic cultural policy shift for Korea. Therefore, the Busan evacuation, initially envisioned as a temporary introduction to the U.S., ultimately metamorphosed into a multi-stage U.S. touring exhibition orchestrated by the U.S. Department of State. This reframed narrative sheds new light on the museum's crucial role in navigating a complex postwar landscape, reveal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cultural preservation, public diplomacy, and strategic national interests.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Astronomical Science Museum among the Science Museum in Korea (우리나라 과학관 중 천문과학관이 차지하는 위상에 관한 연구)

  • Do, Hee-Jin;Chang, Heon-Yo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9.4-60
    • /
    • 2015
  • "과학관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등록된 전국의 국 공 사립 과학관은 2012년을 기점으로 100개를 넘었고 현재는 170여개 기관이 이른다. 해당 법률에서 규정하는 과학관은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과학에 대한 탐구심 함양, 과학문화의 대중화 등 과학문화 확산의 한 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과학관은 등록 요건에 따라 '종합과학관'과 '전문과학관'으로 분류를 하며 특히 전문과학관의 경우 과학의 여러 분야 중 한가지의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에 맞는 전시물과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천문과 우주를 테마로 한 과학관은 2009년 세계 천문의해를 기점으로 건립이 가속화 되었고 그 비중은 전체 과학관 중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통계와 분류가 미흡하고 해당 기관들 상호간에 제대로 된 협력체계가 미비한 현실이다. 이와 유사한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의 경우 과학관과 마찬가지로 해당 학문에 대한 홍보와 대중화를 위해 관련 법률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의 경우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전공자들에 대한 별도의 자격제도와 해당 기관에서의 지위를 부여받은 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 법률의 비교를 통하여 각 기관들의 설립목적과 운영취지, 자격제도 등을 알아보고 천문우주 과학전공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제도 도입 및 과학관 건립시 그들을 채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