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고 시나리오

Search Result 49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Review On the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Unrecognized Risks for Passenger Ships (인식되지 않은 여객선 위기의 식별과 평가에 관한 고찰)

  • Park, Seong-Bug;Jeong, Jae-Yong;Y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90-192
    • /
    • 2015
  • 여객선 관련 해양사고는 발생 가능한 빈도는 낮지만 사고 발생 시 심각성은 대단히 큰 것이 특징이다. 이에, 여객선 안전에 관해서는 대규모 사고 발생 후 사건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크다. 코스타 콘코디아 사고와 세월호 사고 이후 전세계는 여객선 안전에 관해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되었으나 근본적인 위기 제거나 감소 방안이 미흡하여 아직도 동남아시아에서는 크고 작은 사고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 사전에 발생 가능한 위기를 식별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최적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인식되었으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수립되지 않았거나 아직까지 인식하지 못한 위기를 식별한 후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RCO(Risk Control Option)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자료를 통해 위기를 식별하고 이에 대한 분석 평가 방법을 수립하고자 한다. 연구 검토결과, 해양사고 연계 체인을 바탕으로 위기를 식별하고 이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 BN)를 이용해서 확률적으로 위기를 분석 및 평가할 수 있음을 알았다. 향후 BN을 이용한 위기 순위 결정과 RCO 구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 PDF

LNG/LPG marine accident scenarios considered relevant for building (LNG/LPG관련 해양사고 시나리오 구축에 대한 고찰)

  • Kang, Yu-Mi;An, jeing-Min;Y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05-207
    • /
    • 2015
  • LNG/LPG는 폭발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LNG/LPG는 gas상태의 연료를 극 초저온에 고 압력 상태로 고농축한 액체 연료이다. 온도나 압력에 따라 물질의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 사고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도 화재나 폭발이 일어난 경우가 드물다. LNG/LPG선박은 충돌이나 파손 등 사고위기가 클수록 위험하다. 사고위기가 일어나는 요소로는 복잡한 항로, 많은 선박 수, 해마다 증가하는 LNG/LPG의 수요량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G/LPG관련 해양사고 시나리오를 만들기 위해 사고 연계 고리(Accident chain)를 만들어 분석하였다. 해양사고의 연계 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story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Risk를 통해 Peril과 Hazard를 분석 할 수 있었다. LNG/LPG의 위험성은 고압에 기인하는 위험, 화재위험, 동상위험, 화학반응의 위험, 질식 위험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아직까지는 LNG/LPG선박의 화재 및 폭발사고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매년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고, 매우 위험한 물질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Accident Scenarios for Risk Assessment in HF Charging Process (HF 충진 공정의 위험성 평가를 위한 가상사고 시나리오 발굴 및 선정)

  • Jang, Chang-B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4
    • /
    • pp.26-32
    • /
    • 2013
  • The best way to prevent major occupational accidents is prohibiting use of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flammable gas, toxic gas whereas using alternative substances that ensured safety. but if there are no economic efficiency and substituting technologies of alternative substances, the best way is preparing to prevent accidents thoroughly.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selected release scenarios to use and apply for consequence analysis and emergency action plan for HF charging process of chemical plants that have HF release accidents and high probability of release accidents.

Risk Analysis of Ammonia Leak in the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냉동제조 시설의 암모니아 누출사고 위험 분석)

  • Kang, Su-Jin;Lee, Ik-Mo;Moon, Jin-Young;Chon, Yo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1
    • /
    • pp.43-51
    • /
    • 2017
  • Recently, ammonia leak occurred frequently in the domestic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Ammonia caused great damage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s combustible gases and toxic gases. After considering the types of ammonia accidents of domestic refrigeration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selected accident scenarios and to analyze the risk analysis through Impact range estimates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re was a need to establish measures to minimize accident damage. In this study, depending on the method of analysi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we analyzed the risk of the receiver tank of ammonia system. Scenario analysis condi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accident scenario' under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Guidelines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The risk estimates were utilized for consequenc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by SAFETI program of DNV, event tree analysis methodology and part count methodology. The individual risk of ammonia system was derived as 7.71E-04 / yr, social risk were derived as 1.17E-03 / yr. The derived risk was confirmed to apply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of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and through risk calculation, it can be used as a way to minimize accidents ammonia leakage accident damage.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Consequence Analysis Programs for Hazardous Materials (위험물 취급설비 화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 개발 방향)

  • 유재환;김용수;이영순;이경봉;이성우;박달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3 no.4
    • /
    • pp.1-6
    • /
    • 1999
  •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different consequence programs(SuperChems Pro., PHAST Pro., and SAFER Trace) for the models (pool fire, jet fire & flare, fireball, flash fire) based on the four possible accident scenarios. And we have proposed a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consequence analysis models using the related theories and the results analysis of consequence programs.

  • PDF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훈련 지침 및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Yun-Seok;An, Yeong-Ju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60-262
    • /
    • 2014
  • 해양사고는 선박운항 또는 기기작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의 결여에서 기인되는 부분도 있으나, 사고의 많은 부분이 운항자의 정신적 해이 또는 주위상황 식별오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해기교육이 강화되고 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육훈련 과정이 개설되고 있지만 사고 발생율이 높은 하급면허를 소지한 항해사들은 영세한 선사들에 소속되어 시뮬레이션 교육의 기회가 많지 않다. 따라서 영세선사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초급 및 하급 항해사용 간이 시뮬레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이 시뮬레이터에 사용될 시나리오와 시뮬레이션 Debriefing에 이용하기 위한 자기평가서,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정량화 시킬 수 있는 평가 알고리즘을 항해사 및 해기교육 대상자들의 설문결과, 사고사례 통계조사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Disaster Accidential Scenarios of High-Rise Complex Building (초고층복합빌딩의 재난사고 시나리오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Yoon, Yeo-Song;Kim, Jong-Rak;Lee, Su-Kyung;Song, Dong-Wo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96-401
    • /
    • 2010
  •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건물은 높아지고 있지만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기후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재난의 유형도 다양화, 복합화 되고 있으며,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재해로 인한 재난이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초고층복합빌딩은 재난이 일어나면 복합적으로 대형화된 재난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시점에서 초고층복합빌딩에서 재난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재난별로 일어날 수 있는 사고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앞으로 초고층복합빌딩의 재난사고에 대한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eb-based Simulator for Hydrogen Station (수소충전소 웹기반 가상교육 시뮬레이터 개발)

  • Kim, Eun-Yong;Kim, Jin-Kyung;Lee, Yeong-Hui;Kim, Eun-Jung;Kim, Young-Gyu;Moon,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17-12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수소 경제의 핵심 인프라 시설인 수소 충전소의 조업자 안전 운전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구축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크게 수소안전교육 모듈, 수소 충전소 가상체험 모듈, 가상 사고 시나리오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수소안전교육 모듈에서는 수소 사고의 특징과 안전 물성 등의 자료를 수록함으로써 수소에 안전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으며, 가상체험 모듈에서는 충전소의 구성과 용도를 3D Virtual Reality 기술을 도입해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상사고 모듈에서는 수소 충전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동적 모사를 수행하여 사고의 전개 과정 및 결과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ERP(Emergency Response Plan)과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개발하였다.

  • PDF

Selection of Release Scenario and Consequence Analysis for Gas Explosion by Pipe Release (배관누출에 의한 가스 폭발사고에서 누출 시나리오 선정 및 사고결과 분석)

  • Kim, Tae-Ok;Lee, Hern-Chang;Ryoo, J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0 no.4 s.33
    • /
    • pp.52-62
    • /
    • 2006
  •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pose a selection method of release scenarios and a method of consequence analysis at a gas explosion by pipe release. Thus, release rates, damage areas of the facilities, and fatality areas were estimated and analyzed at various release conditions(temperature, pressure, release material, etc). As a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the rupture was the worst case of release scenarios, and at release rates and damage areas were better estimated by the weighted average method considering a generic failure frequency of the release hole than by an arbitrary selection of the release ho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