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빵가루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유색미(수원 415호)가루의 제빵성 검토 (Studies on Bread-Making Quality of Colored Rice(Suwon 415) Flours)

  • 강미영;남연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1
    • /
    • 1999
  • 유색미 수원 415호 쌀가루에 gluten 대체재료로써 10% gluten 및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를 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의 가공적성을 검토한 결과, 유색미 수원 415호로 성형성이 아주 좋은 쌀빵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유색미 쌀빵의 물성 중 경도와 씹힘성은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10% gluten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 보다 낮아 부드러웠으며, 탄력성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저장에 따른 쌀빵의 노화도는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 강력분으로 제조한 빵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3%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첨가하여 제조한 쌀빵은 밀가루 빵에 비해서 질감이 부드럽기는 하지만 기공의 균일성은 나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빵의 탄력성은 밀가루 빵에 비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밤가루 첨가가 밀가루 반죽의 물성과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stnut Flour on the Rheology of Dough and Processing Adaptability of White Pan Bread)

  • 오철환;김용문;한민수;오남순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2011
  • 밤가루를 밀가루에 0%, 10%, 20%, 30% 대체한 복합분에 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 및 제빵 특성을 검토하고 밤가루 첨가가 빵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 중 farinogram 측정 결과 밤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죽시간은 짧아졌으나 반죽의 안정도와 내구성이 약화되었다. Amylogram에서 호화온도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반면 최고점도는 감소하였다. 반죽팽창도 측정결과 밤가루가 20%이상 첨가된 반죽은 변화가 없었으며, 제빵 후 빵의 부피가 작고 비용적도 낮았다. 밤가루 첨가에 따른 식빵의 품질평가결과 밤가루를 10%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이 20%, 30% 첨가한 식빵에 비해 경도가 낮았으며, 내상 또한 비교적 작고 균일하였다. 밤가루 첨가시 10%이내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밀 및 자색고구마 가루의 제빵성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Certain Additives on Bread-Making Quality of Wheat-Purple Sweet Potato Flour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2-499
    • /
    • 1997
  • 밀가루(80%)와 자색고구마가루(20%)를 이용한 복합분으로 고구마빵을 제조하기 위하여 L-ascorbic acid, potassium bromate, gluten, carboxy methyl cellulose 및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등의 물성개량제를 첨가하여 고구마빵의 제빵성을 비교.검토하였다. Alveograph에 의한 반죽특성은 물성개량제를 첨가함에 따라 P, L, W값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L-ascorbic acid, gluten, carboxy methyl cellulose 등의 영향이 컸다. 반죽의 표면구조는 산화제를 첨가한 경우 gluten의 얇은 막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gluten, carboxy methyl cellulose,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를 참가한 경우 전분입자의 형태는 비교적 선명하나 큰 전분입자를 중심으로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빵 내부색의 총체적인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ΔE값은 첨가제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빵 내부의 물성은 최대하중치, 강도, 경도 특성치가 사용첨가제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탄성, 응집성의 특성치는 증가하였다. 빵 내부의 노화특성은 7일 냉장저장 결과 엔탈피($\Delta$H)값이 증가하였으나 각 첨가제 모두 노화지연 효과가 있었다. 빵의 부피도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증가하였으며 특히 L-ascorbic acid, L-cystine, carboxy methyl cellulose 및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등의 효과가 좋았고, 관능검사결과 potassium bromate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제빵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 PDF

쌀가루 첨가 식빵의 제빵 특성 (Substitution of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 최인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67-673
    • /
    • 2010
  • 특수미 품종인 고아미2호는 취반용 쌀로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가공용 기능성 곡류소재로서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제빵 시 강력분의 일부를 쌀가루로 대체하였으며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 쌀가루와의 제빵특성을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고아미2호는 전분 호화 시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전분 팽윤 현상이 억제되어 호화 점도가 매우 낮았다. 강력분에 쌀가루를 10~30% 대체한 혼합분의 mixograph특성은 고아미2호 복합분은 쌀가루 함량이 증가 할수록 가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추청벼 복합분은 쌀가루함량 증가 시 반죽 안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복합분을 활용한 식빵에서 고아미2호 쌀빵은 쌀가루 증가와 함께 부피 감소와 함께 빵 내부의 경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추청벼 쌀빵은 최대 30%까지 대체 시 빵의 부피 및 경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강력분의 일부를 대체한 쌀빵 가공을 위해서는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보다는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가 적합하였다.

흑미 첨가가 바게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mented R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uette)

  • 임정교;박인경;김영희;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0-135
    • /
    • 2003
  • 흑미를 첨가한 바게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흑미가루를 1~5% 수준으로 첨가한 바게트의 제빵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바게트 반죽의 pH는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아밀로그램상의 최고점도는 흑미가루 첨가군에 비해 대조구에서 높았다. 바게트의 부피는 흑미가루 1%와 3%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컸다. 그러나 5%첨가군에서는 감소되었다. 흑미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L^{*}$ 값과 $b^{*}$ 값은 감소하는 반면 $a^{*}$ 값은 증가하였다. 빵의 견고성(hardness)은 흑미가루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여 빵이 다소 부드러웠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흑미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cohesiveness)은 감소하였다. 점착성(gumminess)과 파쇄성(brittleness)은 흑미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에 의한 종합적인 기호도 검사 결과, 바게트 제조시 흑미가루를 3% 수준으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 보다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흑미가루를 3%수준으로 첨가하여 바게트를 제조하면 부피의 경우도 대조구보다 양호하며 조직감에 있어서도 바게트 특유의 성질을 가지며 색상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기호도 역시 대조구보다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곡류로 제조한 파베이크 모닝빵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r-Baked Morning Buns made with Cereals Powder)

  • 김현아;송청락;김용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02-114
    • /
    • 2014
  • 본 연구는 쌀의 소비를 촉진하고자 섬유소가 풍부한 곡류(현미, 보리, 귀리, 고아미 2호)로 파베이크 모닝빵을 제조하여 밀가루 모닝빵과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반죽의 발효율을 75분간 측정한 결과, 밀가루로 만든 반죽이 가장 컸고, 빵의 부피도 밀가루로 만든 모닝빵이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무게는 귀리와 고아미 가루로 만든 빵의 무게가 가장 무거웠고, 비용적은 고아미로 만든 빵이 가장 높았으며, 오븐 스프링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텍스처의 경도 측정 결과, 고아미로 제조한 모닝빵과 밀가루빵의 경도가 비슷하였으며, 색 측정 결과 명도는 밀가루로 만든 빵이 가장 밝았고, 그 다음이 고아미 모닝빵이었다. 영상 측정 결과, 빵의 껍질의 두께는 보리와 고아미로 만든 빵이 유의적으로 얇았고, 기공의 조밀도는 모든 곡류빵이 대조군에 비해 조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밀가루로 만든 빵이 가장 선호되었고, 곡류로 제조한 빵 중에서는 고아미로 만든 것이 가장 선호되었다.

반죽 및 발효 조건이 글루텐 프리 쌀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neading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gluten-free rice bread)

  • 조영제;천아름;심은영;박혜영;곽지은;김미정;이춘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10-5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글루텐 프리 쌀 빵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반죽 시 첨가되는 물의 양과 물의 온도 그리고 발효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글루텐 프리 쌀 빵의 품질을 비교해 보았다. 품질 비교를 위해서 빵의 단면적과 기공 개수, 기공의 면적, 부피, 빵의 경도 등을 측정해 보았으며, 그 결과 반죽 시 첨가되는 물의 온도 95℃가 0, 25℃에 비하여 단면적이 넓고, 기공의 개수가 많게 나타났으며, 발효시간이 2시간일 때 단면적이 가장 넓게 나타났다. 그리고 반죽 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쌀가루 100 g에 130 g 이상의 물을 사용하였을 때 단면적의 넓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95℃의 물을 50 g (쌀가루 50 g)을 사용하여 2시간 발효를 하였을 때 단면적이 가장 넓어지고, 기공의 개수가 많아 졌으며 경도도 낮아져서 부드러운 빵을 만들 수 있었다. 비록 밀가루를 사용한 빵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작았지만,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만든 글루텐 프리 쌀 빵과 비교하였을 때 부피와 단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추후 부피 팽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증점제와 같은 첨가물 사용을 동시에 진행하게 된다면 더욱 품질이 좋을 글루텐 프리 쌀 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리 Sourdough의 제빵성 연구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Barley Sourdough in Composite Bread)

  • 유정희;김선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3-741
    • /
    • 2005
  • 흰찰쌀보리가루를 이용한 sourdough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발효 양상 및 물성 등의 반죽특성과 이의 제빵성을 조사하였다. L. plantarum과 L. Brevis 및 이의 혼합처리로써 보리가루를 발효시킨 결과 pH, 총당 및 환원당 등은 감소하였고 젖산균수, 산도는 증가하였으며, 젖산균에 따라 환원당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보리 sourdough의 젖산균수는 각 처리구 모두 발효 후 증가하였으나 효모는 감소하였고 젖산균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L. plantarum을 처리한 보리 sourdough는 반죽의 형성시간, 안정도 및 탄성 등에서 물성개량제를 활용한 보리가루 첨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고 발효진행속도는 느리나 가스발생량, 가스보유율도 가장 높았다. 또한 보리 sourdough 빵의 pH는 발효하지 않은 빵에 비해 낮았고 수분 및 수분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며, 필연적으로 L. plantarum를 처리한 보리 sourdough빵의 부피, 경도, 탄성, 관능적 특성 등의 제빵특성에 있어서도 물성개량제를 첨가한 보리가루 첨가 대조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이는 빵 내부 조직의 protein-starch matrix의 미세구조에서도 확인되었다.

쌀 및 밀 복합분의 물리적 성질 및 제빵시험

  • 이춘영;김성곤;피이마스톤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0.2-220
    • /
    • 2003
  • 밀가루에 멥살(밀양 23호) 또는 통일찹쌀 가루를 10, 20 및 30% 대체한 복합분의 물리적 성질 및 제빵 적성을 검토하였다. 밀-밀양 복합분은 밀-찹쌀 복합분보다 높은 점도를 보였다. 복합분의 파리 노그라프 안정성은 밀가루 보다 짧았으나 최적 반죽 발전 시간은 비슷하였다. 제빵 적성은 밀-밀양복합분이 다소 좋은 결과를 보였고 대체로 쌀가루(멥쌀 또는 찹살)를 20%수준까지는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0% 수준으로는 밀가루 빵에 크게 손색이 없는 제품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