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빈집 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Rol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Empty Homes Policy in Korea (빈집제도의 역할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Hong, Ji-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387-394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mpty house problem" in Korea.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ystems in Korea was considered and compared with empty house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Korea's system is based on comprehensive regulations centered on the demolition of empty houses. To actively solve the problem of unoccupied houses, detailed guidelines are needed, which must consider the current statu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empty houses.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grounds for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intervene in the issue of empty houses, and there should be a system that enables tax and cost support for the reuse of such houses. 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s also needed for sharing empty house inform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o utilize empty houses as resources for the housing mark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sultative system consisting of residents, urban and architectural experts, and private businesses.

A Study on Vacant Hous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Declining Area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 Kim, Jinha;Nam, Ji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1
    • /
    • pp.105-122
    • /
    • 2016
  • Recently people are starting to pay attention to the vacant house. Vacant house across the country are expected to be a Mill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created a new legal provisions regarding maintenance to Vacant on the Construction Law. But Vacant house information systems in government are not available Other countries to clarify the role each entity to manage these Vacant and manages the Vacant. The national government has made the operating budget support program for the Vacant management. The local government has made legislation of self-government to create a DB for the Vacant management. A non-profit corporation is developing a program operated by the Vacant, and the Vacant intermediaries to consumers. Therefore, our country is also to expand the national budget for the Vacant administra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nd providing Vacant house research and DB.

Policy for Rural Population Growth in Shimane, Japan (일본의 농촌 정주촉진 지원 정책 : 시마네현을 중심으로)

  • Hwang, Jeong-Im;Choi, Yoon-Ji;Cho, Young-Sook;Won, Ji-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8-98
    • /
    • 2009
  •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 및 그에 따른 지자체의 위기의식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지역마다 각종 인구 늘리기 시책을 실행하고, 중앙에서 도시민 농촌유치 프로그램 지원 시범사업을 기획하는 등 지역 발전의 기본 요건이 되는 인구 감소의 해결을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본의 정주촉진 정책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시마네현은 일본 혼슈의 동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6707.26km^2$의 면적에 약 74만 2천 명의 인구(2005)가 살고 있는 지역이다. 시마네현의 총 토지면적 중 약 80%가 산림면적이며, 경지면적은 41,000ha로 약 6%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논이 80%를 차지하여 논농사 중심의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풍요로운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어업활동도 활발하다. 이러한 시마네현에서는 UI턴의 촉진을 위해 '산업체험사업'을 199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데, 농림어업에 관한 산업체험을 실시하고, 체험 후의 거주지로 빈집을 활용하는 사업이다. 현 외 거주자가 시마네현 내에서 일정시기 산업체험을 하고자 할 경우, 월 50,000엔이 지급되며, 거주지 확보가 어려울 경우 트레일러하우스나 빈집활용주택, 공영주택 등을 임대해주고 있다. 또 시마네 현 내에서 30세 미만의 청년 미취업자가 일정기간 산업체험을 실시할 경우, 체험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제공해주고 있다. 그간의 실적을 보면 연간 평균 105명이 체험에 참가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정착률은 50%를 넘고 있다. 총 259개의 체험 장소에서 월 평균 4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업종별 참가자수는 농업 및 기타(관광, 전통공예), 어업, 임업, 축산업의 순서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마네현의 고츠시에서는 '도시와의 공생 교류' 실현을 위한 9가지 중점시책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농산어촌의 취락을 유지하는 것이 첫 번째 중점시책으로서 이를 위해 빈집을 활용한 정주와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거 정보를 수집, 관리, 웹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농지 유동화 및 농림수산물의 직거래 시스템 확립에 주력하고 있다. 이 밖에도 UI턴자 확보를 위해 지역에서 살고, 일하고, 즐기는데 대한 일체적인 정보 제공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으며, '고향교육'을 통해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기르는 동시에 지역에서의 취업 지향을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농촌 정주촉진을 위한 사업 내용면에서는 일본과 우리나라 간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사업에의 의지와 방향 설정, 사업 추진체계 및 운영방식 등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주시함으로써 농촌 지역 인구 증가에 보다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으로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