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빈곤 탈출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건설정책(2) - "성장.고용.복지"의 선순환을 위한 국가고용전략 2020 발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4
    • /
    • pp.27-29
    • /
    • 2010
  • 정부는 지난 10월 12일 "성장 고용 복지"의 선순환을 통해 우리 경제가 2020년까지 선진국으로의 도약 및 선진국 수준의 고용률 70% 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고용전략을 발표하고, 이에 따른 5대 과제를 선정했다. 정부가 마련한 일자리 희망 5대 과제는 (1) "지역 기업"이 주도하는 일자리 창출 (2) 공정하고 역동적인 노동시장 구축 (3) 일 가정 양립 상용형 일자리 확대 (4) 생애 이모작 촉진 (5) 일을 통한 빈곤탈출 지원 등이다. 이번 국가고용전략에는 건설업 맞춤형 대책이 포함돼 건설업계도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건설업에서 고질적 문제로 지적돼 온 과도한 노무비 삭감, 유보임금, 숙련기능인력 부족, 불법 외국인 근로자 사용 등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며 특히 정부 발주 공사의 경우 근로자 노무비를 사전에 공사원가에 반영하는 방안을 협의 중에 있다.

  • PDF

A Research on Fire Bird(2004) Analysis (류근상의 "Fire Bird(2004)" 곡 분석)

  • Ryu, Guen-Sang;Cho, Tae-S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521-522
    • /
    • 2010
  • 2000년대에 들어와서 대한민국의 대중음악은 소위 '퓨전(fusion)', '월드뮤직(world music)', '크로스오버(cross over)' 등등의 이름으로 여러 가지의 악기와 장르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작품이 무수히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두드러지게 많이 눈이 띠는 작품은 역시 한국의 국악과 서양의 대중음악과의 혼합 이다. 서로의 음악이 혼합하여 너무 잘 어우러 질수 있다는 발견이라기 보단, 자칫 소재의 빈곤으로 그 음악이 그 음악이라는 현대 대중음악의 한계에서 탈출과, 우리만의 독창성을 표현하고자 하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다. 본 논문은 그러한 맥락에서 탄생한 퓨전 록 밴드 "고스트윈드(GOSTWIND)"의 첫 번째 앨범 <10,000 Years Ago> 의 대표곡 "Fire Bird(불새)"를 연구, 분석하여 한국최초의 국악과 록음악의 혼합을 고찰해본다.

  • PDF

A Study on the near poor's life actual conditions and welfare policy improvement way (차상위 계층의 생활실태와 복지정책 개선방안 연구)

  • Oh, bong-y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1-92
    • /
    • 2012
  • 본 연구는 기초생활수급자 외에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차상위 계층 대상의 경제와 교육생활실태 그리고 복지욕구를 파악하여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복지안전망을 구축함으로써 기초생활수급자로 전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 거주민 중 차상위 계층 주민 4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제부문 중 전세금과 생활비 지출 부담으로 경제적 지원, 교육부문 중 양육비와 교육비 지원, 복지욕구 부문 중 방과후 교실과 무료 및 치과진료, 명절지원, 취업연계 및 교육서비스, 후원금 지원 등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따라서 차상위 계층에 대한 지역사회보호체계 확충과 서비스 대상자의 역량강화 모색, 가족구성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확대, 빈곤탈출을 위한 지원서비스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변화에 맞는 사회복지정책 방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n North Korean Impoverishment and Marketization in Terms of Economic System (경제제도 측면에서 북한의 빈곤화와 시장화에 대한 분석)

  • Kwak, In-ok;Moon, Hyung-Nam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1 no.2
    • /
    • pp.71-96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impoverishment due to the failure of North Korea planned economy through marketization. Recognizing the economic policy presented by the convergence of market and planned economy system as a economy system and focusing on the 7.1 Economic Management Measures and the 6.28 New Economic Management Measures. The marketization is classified the indigenous marketization (1990-2001),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central distribution (2002-2011),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production (2012-2017). The major events, the economic circular structure and the economic behavior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as following: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starting from the expansion of farmers' market and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distribution,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production to the marketization focusing on finance. And as the evolution of it continues, to some extent a poverty has been overcomed. Second, corporate institutions, agricultural institutions, financial institutions and progress in becoming a market economy direction. A series of privatization starting from small one to large-scale one have been progressing. Third, in order to overcome the impoverishment completely. Through foreign investment the industrialization covering a wide range of industries are urgently needed, Domestic agricultural reform, enterprise reform, price reform, financial reform, financial reform, trade and direct investment, reform, reform, distribution, etc are needed. The economic reforms across almost all sectors are needed to be combined in a global economy Expanding employment, the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ies and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in the process should also be realized. The direction of change of this series of economic structures has turned Public sector and centralized into Private sector and Decentralization.

The Condition of Labor Market and Unemployment Rates in Chonbuk Province after the Economic Crisis (IMF관리체제이후 전북지역의 노동시장 동향과 실업)

  • 남춘호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121-161
    • /
    • 1999
  • 1997년 11월 대외지불 불능사태로 시작된 외환위기가 경제위기로 확산되면서 97년 4/4분기에는 2.5%에 불과하던 전북지역의 실업률은 99년 2월 8.4%로 피크를 이루었으나 그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전북지역 노동시장의 전반적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실업률 통계로는 파악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준실업상태에 있는 실망노동자와 불완전취업자의 증가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산업별 취업자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농업부문이나 생계형 서비스업은 실업대란 시대에 완충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고용흡수력이 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과 실업 및 비경제활동 사이의 노동력 전이률을 살펴보면 남성과 핵심연령층에서는 취업정착률이 높지만 일단 실업자가 되면 실업으로부터의 탈출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여성의 경우에는 실망노동자(discouraged sorkers)효과로 인하여 실업률은 낮고 비경제활동으로의 이동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업이나 비경활상태로부터의 (재)취업시에는 압도적으로 임시고/일고로의 취업이 많아서 98년 하반기 이후 전북지역에서 창출된 일자리가 주로 임시고/일고 위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편 여성실업자의 경우 50%이상이 생계주책임자이며, 특히 여성가장 실업자의 경우에는 90%이상이 생계책임자이나 그들 대부분이 빈곤선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리고 전북지역에서는 전국수준에 비해서 장기실업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저학력층과 고령층, 생산직, 임시고일고등의 비정규직 실업자들의 구직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이 장기화되면 전반적으로 기간의존성효과(duration dependence effect)나 이질성효과(heterogeneity effect)로 인하여 재취업의 가능성은 더욱 떨어진다. 생산적복지(workfare)가 그 이름에 값하는 것이기 위해서는 시장경쟁력이 약한 취약계층에 대해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및 채용장려, 공공근로 등의 제반 정책들이 가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