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빈곤화 과정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xploring the nature an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 Cho, BooKyung;Seo, Hyunjung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8 no.3
    • /
    • pp.407-418
    • /
    • 2018
  • Science and technology have led the development of mankind, but have created problems such as natural depletion, climate change, economic inequality and pover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sc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contribute to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 being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s, 18 experts and 15 teachers were interviewed on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categorized as follows. 'Mutual respect between child-teacher-organism', 'developing individual inquiry-bas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looking at the world with child's eyes', 'deepening and expanding on topics of interest', 'continuous inquiry and commitment', 'conversation and sharing-centered exploration'. By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start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was a meaningful process in which children constantly learn about the nature surrounding themselves based on mutual respect.

Study on Integrating Women's Policies in Unified Korea : Social Welfare Policy (통일한국의 여성정책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정책 부문)

  • Kim, Young-La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36
    • /
    • pp.39-69
    • /
    • 1998
  • The study is to grope for the unified device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in the United Korea by considering and comparing with the women's welfar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entering on the women's welfare law and system among the social security laws and systems in the present both countries. The both Koreas have enforced the different women's welfare polic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ideologies and constitutions. But in the welfare policy women are in the secondary stage by means of the ideology of sexual devision. It, therefore, is clear that the position of the North Korean woman goes in advance of the South Korean woman in the law and system. However, they are similar to the North Korean women in the aspects of the application of law and system. That is, both of them are discriminated not only in home and labor participation, but also in social welfare. There ar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sexual devision of labor under the discrimination against woman. As though the both sexes are equal in law, the welfare law and system are applicated unequally to woman because of the ideology of sexual devision and familism which family should take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welfare. From this perspective the women's welfare policy of the United Korea is not just to unify both laws and systems related women's welfare, but to search for the convergence on the higher level of quality and to make the real gender-equal society. The study suggests as the women's welfare the spread of the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system, and social security network constructed through the mother protection policy, women's poverty and social security on basis of the primary principles such as the gender equal right as civil right, benefits of social welfare as social right, escape from the patriarchal familism, strengthening of resposibility of state and the principle of women participation in process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The device of women's welfare means building the social welfare system based on the real gender equality, so the unification will be the important turning point for the gender-equal society to the South-North Korean women.

  • PDF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Egyptian Films -Focusing on Adaptations of Novels in Films of the 1960s (1960년대 한국과 이집트 영화 정책 및 특성의 비교 연구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중심으로)

  • Elewa, Alaa F.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3
    • /
    • pp.211-266
    • /
    • 2019
  • Films of the 1960s in both Korea and Egypt sha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These include the main trend of such films' in addition to some of the political situations. This trend mainly relates to the adaptation of novels into films. In the late 1940s, Andre Bazin wrote his ideas about a similar phenomenon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Bazin's thoughts and other examples for films adapted from novels in the 1940-60s, I found that the trend in both Korea and Egypt can be explained as an international phenomenon, in which film developed to a further stage due to a dialectic between content and form after the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iques. The trend in Korea is believed to have led to the so-called golden era of Korean movies, while in Egypt films adapted from literature were not able to earn high profits, even though in a 1996 list of the best 100 Egyptian films, 23 had been adapted from novels. To explain the reasons behind this phenomenon, I looked into the internal demand from filmmakers themselves to further develop the industry through the articles written at that time. In addition, I explored the different situations and policies that influenced film production in both countries in the 1960s. I found that political situations and policies could have helped in the continuity of such trend, bu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se as the main reason for its creation, in contrast to the internal demand, which I believe is the main reason for the creation of such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