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빅데이터 프로젝트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Risk Factors Identification and Priority Analysis of Bigdata Project (빅데이터 프로젝트의 위험요인 식별과 우선순위 분석)

  • Kim, Seung-He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2
    • /
    • pp.25-40
    • /
    • 2019
  • Many companies are executing big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projects to legitimize the development of new business areas or conversion of management or technical strategies. In Korea and abroad, however, such projects are failing because they are not completed within specified deadlines, which is not un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knowledge base for big data project risk management from an engineering perspective is grossly lacking. As such,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risk factors of big data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projects, in addition to finding risk factors that are highly important. To achieve this end, the study extracts project risk factors via literature review, after which they are grouped using affinity methodology and sifted through expert surveys. The deduced risk factors are structuralize using factor analysis to develop a table that categorizes various types of big data project risk factors. The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that in it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basic control indicators related to risk identification, risk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ontribute greatly to the success of big data projects, by providing theoretical basis regarding efficient big data project risk management.

Guidelines for big data projec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education (인공지능 수학 교육을 위한 빅데이터 프로젝트 과제 가이드라인)

  • Lee, Junghwa;Han, Chaereen;Lim, Woo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2
    • /
    • pp.289-302
    • /
    • 2023
  • In today's digital information society,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to analyze big data and make informed decisions have become an important goal of school mathematics. Integrating big data statistical projects with digital technologies in high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courses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students with a learning experience of high impact that can develop these essential skills. This paper proposes a set of guidelines for designing effective big data statistical project-based tasks and evaluates the task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textbook against these criteria. The proposed guidelines recommend that projects should: (1) align knowledge and skills with the national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2) use preprocessed massive datasets; (3) employ data scientists' problem-solving methods; (4) encourage decision-making; (5) leverage technological tools; and (6) promote collaborative learn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few textbooks fully align with these guidelines, with most failing to incorporate elements corresponding to Guideline 2 in their project tasks. In addition, most tasks in the textbooks overlook or omit data preprocessing, either by using smaller datasets or by using big data without any form of preprocessing. This can potentially result in misconceptions among students regarding the nature of big data. Furthermore, this paper discusses the relevant mathematical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s well as the potential benefits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associated with integrating technology into big data task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eaching mathematical concepts wit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the effective use of technology tools in big data education.

Bigdata Analysis Project Development Methodology (빅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수행 방법론)

  • Kim, Hyoungrae;Jeon, Do-hong;Jee, S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3
    • /
    • pp.73-85
    • /
    • 2014
  • As the importance of big data analysis increase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a corporate, a unified big data project development methodology is required in order to study the problem of a corporate in a systematic way and evaluate the problem w.r.t. a business value after solving the problem. This paper propose Scientific Data Anslysis and Development methodology(SDAD) which are integrated methodology of software development and project management for easier application into a field project. SDAD consisits of 6 stages(problem definition stage, data preparation stage, model design stage, model development stage, result extraction stage, service development state), each stages has detailed processes(47) and productions(93). SDAD, furthermore, unified previous ISP, DW, SW development methodologies in terms of the data analysis and can easily interchange the productions with them. This paper, lastly, introduces a way to assign responsible persons for each process and provide communication procedures in RACI chart to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interaction among professionals from different subjects. SDAD is applied to a Bigdata project i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institution and the result turned out to be acceptable when evaluated by the supervision.

Technology Trends of AI for Big Data Knowledge Processing (빅데이터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동향)

  • Lee, H.J.;Ryu, P.M.;Lim, S.J.;Jang, M.K.;Kim, H.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4
    • /
    • pp.30-38
    • /
    • 2014
  • 최근의 플랫폼 기술동향은 웹 기반 혹은 단순 의사소통이 가능한 모바일 플랫폼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기술이 접목되면서 심층 질의응답이 가능한 차세대 지능형 지식처리 플랫폼으로의 진화가 진행 중이다. 선진국에서는 국가 차원 혹은 글로벌 기업의 주도하에 대형 장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로는 미국의 PAL, 유럽의 Human Brain, 일본의 Todai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예이며, 글로벌 기업의 경우는 IBM의 Watson, Google의 Knowledge Graph, Apple의 Sir가 대표적인 예이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지능형 플랫폼의 핵심기술인 인간과 기계의 지식소통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지식처리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의 개념과 국내외 기술 및 산업, 지식재산권 동향 등을 살펴보고 산업계 활용방안 및 발전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Big Data 분석을 위한 Machine Learning

  • Lee, Jae-Gu;Lee, Tae-Hun;Yun, Seong-Ro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1
    • /
    • pp.14-26
    • /
    • 2014
  • 본고는 빅데이터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보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을 설명하고자 한다. 기계학습의 일반적 정의와 특성, 그리고 빅데이터 특성에 의한 기계학습의 변화를 확인하고 특별히 다양한 변화 중에서 분산 및 병렬화를 통한 스케일러블 기계학습을 중점으로 주어진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들과 프레임워크들을 설명한다. 더불어 실제 다양한 응용 활용을 제공하고 있는 Google API 같은 빅데이터 분석 기계학습 프로젝트들을 통해서 기계학습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전달하고자 한다.

Big data and statistics (빅데이터와 통계학)

  • Kim, Yongdai;Cho, Kwang Hy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5
    • /
    • pp.959-974
    • /
    • 2013
  • We investigate the roles of statistics and statisticians in the big data era. Definition and application areas of big data are reviewed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big data and their meanings are discussed. Various statistical methodologies applicable to big data analysis are illustrated, and two real big data projects are explained.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rends for Big Data Processing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계학습 기술동향)

  • Lim, S.J.;Min, O.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5
    • /
    • pp.55-63
    • /
    • 2012
  •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이를 분석하여 지능형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인공지능 기술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공지능의 여러 요소 기술 중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분야의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동향을 소개한다. 현재 사용 가능한 병렬처리 기반의 기계학습, 빅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다양한 분야에 쉽게 기계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domain adaptation 기술에 대해서 정리한다.

  • PDF

빅 데이터 접근방식의 공공 데이터 비주얼라이제이션 사례

  • Lee, Man-Jae;On, Byeo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1
    • /
    • pp.36-42
    • /
    • 2012
  • 대부분의 빅 데이터 분석 결과는 문장으로 다듬어진 보고서로 결과를 제시하기보다는 비주얼라이제이션으로 결과를 보이고 보는 사람이 갖고 있는 배경지식과 통찰력에 따라 의미 있는 내용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에서는 공공 데이터와 비주얼라이제이션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국회의원 투표 성향 분석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질만한 국회의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하고 18대 국회의원의 본 회의 회의록으로부터 투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사한 투표성향을 가진 국회의원을 가깝게 배치하여 누구나 쉽게 의원간의 유사성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모델 개발과 웹 페이지를 만들기까지의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모델의 수정이 필요했으며 왜 그러한 선택을 했는지를 설명한다.

Text Visualization and Concordance Search Using Gutenberg Project Text Data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 및 용례 검색)

  • Kim, Dongsung;Shin, Yeonsu;Lee, Jian;Yu, Jim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75-178
    • /
    • 2017
  • 본 연구는 거시적 빅데이터 인문학과 미시적 언어 텍스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서 언어를 통한 문화의 역동적 변화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문화도 생물체처럼 변화하는 존재라 여기고 그 구성요소들을 연구한다는 뜻인 '문화체학(文化體學; Culturomics)'과 같은 '인문학 + 정보과학 + 사회과학' 등등의 다학문간의 융합적 연구에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 인류 역사의 기록인 텍스트 빅데이터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각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글의 업적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서 인문학 자체의 지평을 넓히고, 사회과학을 변형시키고, 산업과 상아탑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는데 있다.

  • PDF

Text Visualization and Concordance Search Using Gutenberg Project Text Data (구텐베르그 프로젝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 및 용례 검색)

  • Kim, Dongsung;Shin, Yeonsu;Lee, Jian;Yu, Jimi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75-178
    • /
    • 2017
  • 본 연구는 거시적 빅데이터 인문학과 미시적 언어 텍스트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서 언어를 통한 문화의 역동적 변화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문화도 생물체처럼 변화하는 존재라 여기고 그 구성요소들을 연구한다는 뜻인 '문화체학(文化體學; Culturomics)'과 같은 '인문학 + 정보과학 + 사회과학' 등등의 다학문간의 융합적 연구에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 인류 역사의 기록인 텍스트 빅데이터를 통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각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글의 업적은 인문학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서 인문학 자체의 지평을 넓히고, 사회과학을 변형시키고, 산업과 상아탑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는데 있다[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