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트스트림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3초

H.264/AVC 비트스트림에 대한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썸네일 추출 방법 (Thumbnail Extraction for H.264/AVC Bit Streams in the Spatial Frequency Domain)

  • 홍승환;이여송;조혜정;안창범;오승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7-280
    • /
    • 2009
  • IPTV, 블루레이 디스크, DMB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H.264/AVC 비디오 표준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H.264/AVC 비트스트림을 고속으로 인덱싱하기 위한 썸네일 기술이 요구 된다. 그러나 H.264/AVC는 기존 표준기술과는 다르게 인트라 모드에서도 예측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썸네일 추출방법이 요구되어 최근에 H.264/AVC 비트스트림 상에서 썸네일을 추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인트라 $16{\times}16$ 모드와 연관된 블록에서 심각한 화질의 저하가 발생하며, QP 값이 커질수록 그 증상이 더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예측 모드에 따라 연산오류가 발생하여 이 오류가 파급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H.264/AVC 썸네일을 추출할 때 인트라 $16{\times}16$ 예측 모드에서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 공간주파수 영역에서 발생하는 연산 오류를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다양한 시험 비디오 시퀀스에 적용하여 이전 썸네일 추출 방법과 비교하여 프레임에 따라 최대 PSNR 약 4dB 증가 및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켰다.

  • PDF

ITU-T G.711.1 및 G.722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후보 코덱 알고리즘 (A Candidate Codec Algorithm on Superwideband Extension to ITU-T G.711.1 and G.722)

  • 성종모;김현우;김도영;이병선;고윤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5호
    • /
    • pp.62-73
    • /
    • 2010
  • 본 논문은 ITU-T SG16 Q.10에서 표준화 진행 중인 G.711.1 및 G.722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코덱의 후보 코덱 알고리즘에 대한 것으로, 제안된 후보 코덱은 기존 ITU-T 광대역 코덱 G.711.1 및 G.722와 비트스트림 호환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계층을 통해 50-14,000 Hz에 해당하는 슈퍼와이드밴드 신호를 부호화한다. 본 후보 코덱 알고리즘은 기존 광대역 코덱과 비트스트림 호환성을 위한 핵심 계층 부호화 알고리즘과 선형 예측 기반 정현파 코딩을 이용한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된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코덱은 5 ms의 프레임에서 동작하며 핵심 코덱에 따라 64, 80, 96 및 112 kbit/s로 이루어진 네 개의 슈퍼와이드밴드 비트율을 제공한다. 각 비트율에 해당하는 비트스트림들은 내장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별도의 상호부호화 과정 없이 간단한 비트스트림 절단을 통해 핵심 코덱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안된 코덱 알고리즘은 짧은 알고리즘 지연과 낮은 복잡도를 가지며, ITU-T에서 실시된 G.711.1/G.722 슈퍼와이드밴드 확장 코덱 자격 시험을 통과하였다.

HEVC 비트스트림상에서 움직임 물체 융합 추적 방법 (Hybrid Moving Object Tracking in HEVC bitstreams)

  • 이우주;이종석;오승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3-12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HEVC 국제표준으로 압축된 비디오에서 움직임 물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HEVC 비트스트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터 프레임의 움직임 벡터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는 ST-MRF(Spatio-Temporal-Markov Random Field)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ST-MRF 모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전파로 점진적으로 객체를 부정확하게 추적하는 것을 HEVC GOP(Group of Picture)마다 삽입되는 인트라 프레임만을 복호화 하여 픽셀 정보를 입력으로 하는 YOLO 모델과 융합시켜 보정함으로써 추적하던 객체를 잃지 않고 강건하게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MPEG 트랜스부호화기의 비트율 제어 (Rate Control for MPEG Bitstream Transcoder)

  • 박구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2A호
    • /
    • pp.165-172
    • /
    • 2002
  • MPEG-2 트랜스부호화기는 이미 부호화되어 있는 비트스트림의 비트율을 변경하는 것이다. 비트율제어를 위하여 기존의 제어 방식을 개선한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안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임의의 비트율로 변경했을 때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트율 제어에서는 비트스트립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매크로블럭 단위의 비트율-양자화 파라미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DCT 계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화면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비트율-양자화파라미터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도록 매크로블럭의 활동도에 따른 구분도 하였다. 모의 실험결과, 특정 비트율을 가지는 비트스트림을 가지고 다른 비트율로 변환하였을 때 TM5로 재부호화 했을 때보다 제안한 방식이 더 높은 PSNR값과 제어 성능을 보였다. MPEG-2의 스케일러블 프로파일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변환부호화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

지상파 DMB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멀티채널 오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화 방법 연구 (Research of packetizing metho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multichannel audio on T-DMB environment)

  • 이용주;서정일;백승권;강경옥;임종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9-242
    • /
    • 2008
  • 지상파 DMB는 이동 환경에서 QVGA 급의 영상과 스테레오 오디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서 2005년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DMB 환경에서 고품질의 영상과 오디오를 제공하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상파 DMB 환경에서 고품질의 영상 또는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DMB 서비스에 추가적인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것이 필요한데, 하나의 지상파 DMB 방송 채널에 할당되는 전송 비트율이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추가적인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서비스의 상용화 입장에서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DMB 환경에서 멀티채널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추가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정보 스트림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패킷화 방법을 제안한다. 지상파 DMB 환경에서 멀티채널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정보 스트림은 일반 오디오 스트림과 마찬가지로 프레임 단위로 생성이 되며, 약 12kbps의 비트율을 가진다. 그러나, 부가정보 스트림을 지상파 DMB 환경에서 전송하기 위하여, MPEG-2 TS로 패킷화하여 전송하게 되면, 부가정보 스트림의 비트율보다 훨씬 높은 약 32kbps의 전송율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부가정보 스트림의 비트율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TS 패킷에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 프레임을 포함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 제안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 프레임을 하나의 TS 패킷에 포함하여 패킷화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비트-벡터 해시 테이블을 이용한 효율적인 다중 스트림 조인 알고리즘 (An Efficient M-way Stream Join Algorithm Exploiting a Bit-vector Hash Table)

  • 권태형;김현규;이유원;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4호
    • /
    • pp.297-306
    • /
    • 2008
  • MJoin은 변화가 잦은 데이타 스트림의 조인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개되었다. MJoin은 다중 스트림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대칭적 해시 알고리즘을 확장한 것으로, 각 입력 튜플마다 모든 해시 테이블에 동일한 키를 지닌 튜플이 존재하는지 반복적으로 체크한다. 그러나, 조인 선택율이 낮고 조인되는 데이타 스트림의 수가 많을 경우, 이러한 체크 과정의 성능은 조인되는 데이타 스트림의 조인순서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Join처럼 대칭적 해시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러한 체크 과정을 조인순서에 상관없이 상수 시간에 처리하는 BiHT-Joi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BiHT-Join은 스트림에 있는 튜플의 존재 유무를 비트-벡터로 유지하며, 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조인의 성공/실패를 판단한다. 따라서, BiHT-Join은 이 판단을 기준으로 조인이 성공하는 튜플만 해시 조인을 수행함으로 조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 BiHT-Join이 다중 데이타 스트림 조인에서 MJoin에 비해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인다.

고품질 Advanced T-DMB(AT-DMB) AV 스트림의 계층적 전송을 위한 미디어 다중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edia Multiplexing System for Hierarchical Transmission of High Quality AT-DMB AV Stream)

  • 김민성;전도영;양소정;유홍연;홍성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83-85
    • /
    • 2008
  • 현행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는 최대 CIF급 해상도의 동영상을 384 Kbps 정도의 비트율로 압축하여 비디오 CD급의 화질을 제공한다. 따라서 큰 화면을 통해 DMB 방송을 시청할 경우 해상도 부족 등으로 인한 화질 열화를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층적으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하는 고품질 AT-DMB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더불어, 계층변조 기술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송대역폭을 확보하고,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고품질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하는 고품질 T-DMB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AT-DMB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안정된 고품질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AV다중화 및 동기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고품질 AT-DMB 시스템을 위해서 각 계층 ES(Elementary stream)을 MPEG-4 over MPEG-2 시스템과 Eureka-147 DAB 시스템을 통해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한다. 계층별 전송으로 인한 시간 지연에 대처하여 수신입력부에서는 각각의 계층으로 전송된 ES들이 동기화 되어 복호화 되도록 SVC의 계층적 비트스트림 구조와 적응적으로 동작되는 다중화 시스템구조를 제작하였다.

  • PDF

비트 스트림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통신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Bit Sream Control Algorithms)

  • 박종선;나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52-155
    • /
    • 1999
  • ATM은 다양한 종류의 실시간 및 비실시간 트래픽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존의 회선 교환망과 패킷 교환망의 장점을 수용하여 셀이라는 일정한 크기의 패킷을 비동기식 시분할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ATM은 STM가 달리 대역폭의 효율적인 할당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망에서 다루고 있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외에도 고화질의 화상이나 동영상, 멀티미디어 트래픽 제어는 실시간 접속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보장이 요구되므로 본 논문은 망내에서 트래픽 왜곡과 CBR/VBR 접속에 대한 트래픽의 일반적 패턴과 셀 큐잉 지연 범위를 획득하여 최악의 규잉 분석을 모델링할 수 있는 비트 스트림 트래픽 모델에 기반을 둔 트래픽 제어 기법이 비트 스트림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정적 우선순위스케줄링과 FIFO 큐잉 스위치를 갖는 ATM 망에서 엄격한 실시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네트워크 혼잡 제어를 위한 H.264/SVC 스트림의 계층 선택 알고리즘 (Layer Selection Algorithms of H.264/SVC Streams for Network Congestion Control)

  • 김남윤;황기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4-53
    • /
    • 2011
  • H.264/SVC는 기본 계층과 하나 이상의 향상 계층으로 구성된 확장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부 계층을 제거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터넷과 같은 동적인 환경에서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한 임의의 패킷 손실은 SVC 스트림의 화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혼잡을 피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스트림 계층을 선택하여 전송율을 조정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대역폭을 가진 네트워크 노드에서 스트림의 비트율-왜곡(rate-distortion) 특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피할 수 있는 세 가지 계층 선택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FS(Far-Sighted) 알고리즘이 스트림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전체 스트림의 PSNR 값을 최대화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