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정상패널법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생체 모방익 추진에 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Biomimetic Foil Propulsion)

  • 한철희;이학진;조진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0권9호
    • /
    • pp.866-872
    • /
    • 2006
  • A numerical study on the propulsive characteristics of a biomimetic foil is done by developing an unsteady linearly-varying strength vortex method. A biomimetic foil is represented as a deforming foil with a tail fin. Present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s with results using finite element and finite volume methods. A new boundary condition is imposed by considering the relative rotational velocity, which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previous published literature. It is found that the undulation amplitude increases the thrust while maximum thickness is stepping down the thrust. It is also shown that there exists an optimal frequency for maximum thrust generation. It is believed that present results can be us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propulsive characteristics of the biomimetic deforming foil.

복합지지형 고속선의 조파저항 계산 (Calculation of Wave Resistance of a Hybrid Hydrofoil)

  • 유재훈;김영기;류재문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8
    • /
    • 1996
  • 3차원 날개면이 부착된 복합지지형 고속선의 정상상태에서의 조파저항을 포텐셜 기저 판요소법으로 해석하였다. 계산에 사용된 고속선은 물 속에 잠겨있는 몸체와 몸체의 중간 및 후방에 붙어 있는 3차원 날개면과 수면을 관통하는 앞, 뒤의 스트럿트로 구성되었다. 물체 표면(몸체, 날개면 및 스트럿트)에는 쏘오스와 다이폴을, 자유표면에는 쏘오스를 분포하였고, 선형화된 자유표면 조건과 방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4점 유한차분을 이용하였으며, 날개면의 유동해석을 위해 준압력 Kutta조건(semi-linear pressure Kutta condition)을 적용하였다. 패널사이의 틈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비 평면성이 고려된 쌍곡면 판요소법을 적용하여 각 선체 표면에서의 수치 계산 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수치 계산 결과는 회류수조에서 모형 시험을 수행한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 계산법은 고속선의 최적 선형 개발에 이용 가능한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피치각 변화에 따른 헬리콥터 로터에서의 두께 및 하중소음 방사 (Thickness and Loading Noise from Helicopter Rotor at various Pitch Angles)

  • 유기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868-874
    • /
    • 2007
  • 정지비행시의 헬리콥터 로터 모형의 블레이드의 피치각 변화가 소음방사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공력 자료는 비정상 패널법과 경험후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0^{\circ}$에서 $9^{\circ}$까지 등간격으로 $1.5^{\circ}$ 씩 피치각을 증가시키면서 블레이드 표면상의 공력 하중 분포를 얻어내었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낸 두께 소음은 피치각에 무관한 결과를 보였으나, 하중소음은 피치각이 $1.5^{\circ}$ 씩 증가할 때 마다 대략 3~4dBA정도로 소음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정도의 증가분은 소음이 더 커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라 할 수 있다. 또한 하중소음의 방향성 결과로부터 블레이드의 윗면 보다는 아랫면에서의 소음의 세기가 더 크게 나옴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