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정상류 해석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Unsteady Flow Simulation in Small-Medium Rivers for Analyzing Future Inund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Non-Stationarity (비정상성 기반 미래 침수특성 분석을 위한 중소하천 부정류 해석)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Park, Jihoo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2-152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장마, 태풍 등 극한사상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비정상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 국지성 호우로 인한 농경지 및 도심 저지대 지역의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침수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수공구조물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호우에 대한 홍수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자료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정상성 (Non-Stationary) 가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통해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고 미래 침수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상습 침수지역이 위치한 중소하천을 선정하였고, 각 유역에 가장 인접한 기상관측소로부터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강수량 모의 자료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제공하는 해상도 12.5 km의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구축한 강수량 자료는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비정상성 빈도해석 방법으로는 누적평균 방법 및 이동평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유역 유출량은 실무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으로 산정하였다. 유출량과 하천기본계획의 하천단면 측량자료를 1차원 부정류 해석 모형인 HEC-RAS 모형에 입력하고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여 하천 홍수위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습 침수 지역의 침수 피해에 대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 PDF

Effect of Groundwater Flow on the Behavior of Circular Vertical Shaft (지하수 유동을 고려한 원형수직구 거동분석)

  • Park, Heejin;Park, Jongjeon;Jeong, Sang-Seom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6
    • /
    • pp.29-39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havior of a circular vertical shaft wall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a groundwater table. The effects of wall deflection, backfill settlement, and earth pressure distribution around the circular vertical shaft caused by sequential excavations were quantified. The vertical shaft was numerically simulated for different excavation depths of the bearing layer (weathered soil, weathered rock, soft rock) and transient and steady-state flows in the absence of a groundwater table. The backfill settlements and influential area were much larger under transient flow conditions than in steady-state flow. On the contrary, the horizontal wall deflection was much larger in steady state than in the transient state. Moreover, less settlement was induced as the excavation depth increased from weathered soil to weathered rock to the soft rock layer. Finally, the horizontal stresses under steady- and transient-state flow conditions were found to exceed Rankine's earth pressure. This effect was stronger in the deeper rock layers than in the shallow soil layers.

Seepage-Advection-Dispersion Numerical Analysis of Offshore Rubble Mound Revetment Landfill Under Transient Flow (비정상류 조건에서 경사식호안매립장에 대한 침투이류 분산해석)

  • Hwang, Woong-Ki;Kim, Hyang-Eun;Kim, Ta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9 no.4
    • /
    • pp.1-9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contaminant movement under transient flow in a rubble mound revetment offshore waste landfill barrier system that prevents contaminant runoff. The barrier system consists of bottom layer and side barrier. For the bottom layer system, impermeable clay layer is used. For the side barrier system, the HDPE barrier sheet (primary element) plays the main role, and the intermediate protection layer (supplementary element) is responsible for the barrier. Seepage, advection, dispersion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EEP / W and CTRAN / W programs. As a result, under abnormal conditions considering the fluctuation in tidal range, the volume and direction of the flow velocity vector of the pore water change with time and the dispersion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 changes. When comparing the case of 2 m tidal range and 8 m tidal range, the larger the tide valu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 under abnormal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 changed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tidal range, and as a result, the outflow of the pollutant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steady flow state.

Estimation of Flood Wave for Non-Stationary Seepage Analysis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Seo, Lynn;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3-703
    • /
    • 2012
  • 대규모 하천이 많은 미국과 유럽 등은 정상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제방을 설계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상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급하여 홍수지속시간이 짧고, 하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완만하여 홍수지속시간이 길어 비정상 침투해석을 통해 제방을 설계한다. 설계 홍수파형을 정상상태로 해석하면 대상지점의 홍수파형이 갖는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가 고려되지 않아, 상류 지역은 과대한 외력이 설정될 수 있으며, 하류 지역은 과소한 외력조건으로 과소 설계될 우려가 있어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를 고려한 비정상 침투해석이 필요하다.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서는 제방에 대한 외력조건으로 적용될 하천의 홍수파형이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홍수위와 지속시간 등 홍수파형의 시간분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실무에서는 설계하고자하는 대상지점의 계획홍수량에 사용된 홍수파형의 계획홍수위와 홍수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방에 대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위해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5대강 유역에 위치한 수위관측소 중 수위자료가 충분히 구축된 지점을 대상으로 과거 홍수사상 기간의 수위수문곡선과 계획홍수량 산정에 사용되었던 설계수문곡선을 이용하여 홍수파형을 결정하였다. 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은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로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홍수지속시간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실무에서 사용되는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이 과소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수파의 감수부 경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감수부 경사가 계획홍수파의 감수부 경사보다 비교적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시간이 긴 실제 홍수사상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 외력으로 설정되는 홍수파형은 계획홍수량 산정시 이용한 계획 홍수파형만을 사용한다. 이 경우 과거 홍수사상의 홍수지속시간이 반영되지 않아 안정성 측면에서 계획홍수파형과 과거 홍수를 모두 고려한 본 연구의 방법이 더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roundwater Flow Analysis Using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in an Upland Area (삼차원(三次元) 비정상(非定常) 지하수모형(地下水模型)에 의한 홍적대지의 지하수(地下水) 유동해석(流動解析))

  • Bae, Sang 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0 no.2
    • /
    • pp.59-65
    • /
    • 199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uman impact and precipitation on groundwater flow conditions at a small area in Dejima Upland using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simulation. To show the utility of the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is problem for which analytical solution is available. It appears that over the time period studied, the results of the model agree well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Simulation is undertaken for a period of 30days starting from May 1st, when irrigation starts. Groundwater flow patterns determined by a numerical model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plotted potential lines and discussed. Results of simulation clearly indicate that the groundwater flow system should be analysed using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especially for the region which is effected by human impact.

  • PDF

Numerical Simulations of Gravity Currents Using Unsteady Statistical Turbulence Models (비정상 통계적 난류모형을 이용한 중력류의 수치모의)

  • 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70-574
    • /
    • 2009
  • 벽 근처에서의 흐름(near wall flow)을 해석하기 위한 낮은 레이놀즈수 수정(low-Reynolds number modification)을 포함하는 통계학적 난류모형을 이용한 3차원 비정상 레이놀즈-평균 나비어-스톡스 (URANS) 계산을 실시하여 사각형 수로에서의 중력류를 모의하였다. 3차원 계산 결과를 2차원 URANS 모의에 의한 계산 결과 그리고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적정 시 공간적 수치해상도를 가지고 벽 근처에서의 흐름을 주의 깊게 직접 해석하는 3차원 URANS 수치모의는 2차원 계산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대규모 Kelvin-Helmholtz 와구조 (vortical structure)의 붕괴(breakdown) 그리고 중력류 선단부에서 발달하는 Lobe-and-Cleft 흐름 불안정 등을 포함하는 중력류의 동적 특성을 높은 정확도로 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Nonstationary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Offshore Compliant Tower (심해용 해양구조물의 지진하중에 대한 비정상거동해석)

  • 류정선;윤정방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92.04a
    • /
    • pp.45-50
    • /
    • 1992
  • 해양 가이드 타워를 대상으로 하여, 지진하중에 대한 심해응구조물의 비정상거동해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지반운동의 비정상특성은 정상과정성분에 시간포락함수가 곱해진 형태로 모형화하였으며, 구조물의 비정상거동은 시간종속분산함수로 구하였다. 지반가속도에 대한 자기상관함수를 복소지수함수의 형태로 이상화함으로써, 구조물 거동의 시간종속함수가 해석적인 방법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지진의 발생시간 동안 예상되는 최대거동을 구하였으며. 이를 구조물 거동을 정상확률과정으로 가정하여 산정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teady and Unsteady Solutions of NACA0012 Airfoil flow (NACA0012 에어포일 주위 유동의 정상해와 비정상해 비교 연구)

  • Chu, Yeon-Bok;Jang, Gyeong-Sik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121-124
    • /
    • 2012
  • 비정상 유동 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비정상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한 결과와 정상 N-S 지배 방정식을 적용한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려한다. 적용하고자 하는 비정상 유동은 대칭형 에어포일 NACA0012 에어포일 주위 유동으로 정하였으며, 이 때 에어포일 시위(chord) 길이와 자유류(free stream) 속도 기준으로 Re=100,000에 해당한다. 계산결과 비정상 지배 방정식을 적용한 경우 비정상 유동박리(flow separation)를 모사 할 수 있었으며, 평균 양력계수($C_L$)와 항력계수($C_D$)는 실험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하지만 정상 N-S 방정식을 적용했을 경우 비정상 유동을 모사하기 어려웠으며 평균양력, 항력계수도 실험치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정상 유동 해석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의 특성을 고려해 비정상 N-S 지배 방정식을 적용해야한다는 사실을 보이고 있다.

  • PDF

Numerical Anslysis of Transcritical Flow in Open Channels Using High-Resolution scheme II. : Applications (고정확도 수치기법을 이용한 하천 천이류 해석 II. : 적용)

  • Kim, Won;Han, Kun-Y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1
    • /
    • pp.57-65
    • /
    • 2001
  • A numerical model for analyzing transcritical flow in open channel is tested to various cases of channel shape. As the numerical models developed for transcritical flow until now mainly focused on the application to only prismatic or hypothetical channels, there are some restrictions to apply the nonprismatic channels. In this study, to verify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second-order implicit ENO scheme, the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the channels which haute the varying channel bed and width. Also the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unsteady flow as well as steady flow. The study shows that the numerical model provides good accuracy in the calculation of stage and velocity with no numerical oscillation, particularly in the calculation of hydraulic jump and discontinous flow Then the implicit ENO scheme demonstrated good accuracy as a high-resolution scheme and stability as an implicit scheme.

  • PDF

Analysis on Canal System for Daily Irrigation Simulation (관개용수로 수리시뮬레이션을 통한 농업용수조직 거동 분석)

  • Park, Ki-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73-6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관개용수로에서의 용수공급에 따른 용수분배 현상을 모의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관개용수로와 같은 인공적인 수로에서는 흐름의 상태가 취수공, 분수공, 수문 등과 같은 수리시설의 조작에 의해 흐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하게 되는 비정상류가 주가 된다. 이러한 비정상류 해석은 농업용수 관리를 위한 관개계획 수립,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설계 및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용수로의 부정류 해석을 위한 유한차분식으로 구성되는 모형을 개발하여 용수로를 일정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별 수위와 유속의 변화를 계산하게 된다. 계산된 결과는 현장에서 실측된 수위모니터링 자료와 현장 유량측정자료로 비교하여 모형의 적정성을 검정하였다. 용수로내의 흐름에 대하여 각 구간의 용수도달시간, 관개블록에 대한 분수유량을 산정한 결과는 현장 측정자료와 잘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개계획을 수립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