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점오염물질저감시설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valuation on the Hydrologic Effects after Applying an Infiltration Trench and a Tree Box Filter as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저영향 개발기법의 침투도랑과 나무여과상자 적용 후 수문학적 효과 평가)

  • Flores, Precious Eureka D.;Maniquiz-Redillas, Marla C.;Tobio, Jevelyn Ann S.;Kim, Lee-H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1 no.1
    • /
    • pp.12-18
    • /
    • 2015
  • In this research, the hydrologic effects between a pre-existing urban landuse and low impact development (LID) applied condition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 infiltration trench and tree box filter that were utilized in LID represent only 1% of the catchment area that they drain. Storm event monitoring were conducted from July 2010 to July 2014 on a total of 22 storm events in both LID sites. After LID, hydrolog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as the sites exhibited a delay (lag time) or reduction in the magnitude, frequency and duration of runoff and flow peaks as the rainfall progress. In addition, the maximum irreducible peak flow reduction for infiltration trench was found to be 61% and 33% for the tree box filter when rainfall was 40 mm and 30 mm, respectively. In designing LID,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e storage capacity and catchment area, as well as the amount of rainfall and runoff on the site.

Effects of weir on the change of water quality (하천수계의 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 Yong-Chul;Ahn, Hong-Kyu;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3-1037
    • /
    • 2007
  •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거나 농업용수를 취수할 목적으로 현재 국내에 약 18,000개 정도의 크고 작은 보가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 중에는 극히 일부에 어도와 같은 생태통로가 인위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더욱이 도시 인구 집중황 따른 도심부의 확대로 인한 농경지의 도시화, 경작 방식의 변화에 의한 논농사 위주에서 비닐하우스 단지로의 변화와 같은 토지이용의 변화, 대형 저수지의 축조/양수장 설치 등에 따른 취수 시설물의 통합,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매년 50-150개 정도의보가 폐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폐기되는 보는 하천에 그대로 방치되어 하천생태통로의 단절, 수질악화, 수변 서식처악화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야기시키고 있다. 연구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곡릉천 곡릉2보로 선정하여 보 철거전 과 보 철거 후의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분석을 시행하였다. 곡릉2보는 과거 취수용 보로 이용되었으나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로 용도를 상실한 보이다. 보 철거 전에는 보로 인한 보 상류 지역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정체구역이 생기고 부유물질이 많아지면서 수질 악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 철거 후에는 화학적으로 상류 하류지점에서 SS 및 BOD의 농도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수질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 철거에 따른 수질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그 주변에 대한 상세한 이론은 아직 미미하다. 따라서 현재 국내외 보의 현황 및 보 철거 기술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조건이 다른 보를 선정하여 하천의 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보 관리방안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

  • PDF

A Study on Long-term Variations of BOD and COD as Indicators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the Han River (한강 본류에서 유기물 오염도 지표인 BOD와 COD에 대한 장기변동 특성)

  • Cho, Hyun-Seok;Kim, Kwang-Rae;Lim, Gyu-Chul;Bae, Kyung-Seok;Lee, Min-Hwa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4
    • /
    • pp.474-481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long-term pollution at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BOD and COD from 1975 to 2011. The long-term annual average BOD and COD concentration at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it flowed downstream from Paldang Dam to Gayang. The concentration of BOD ($r^2$=0.646) and COD ($r^2$=0.260) showed a consistent decreasing trend for 37 years. In the case of Paldang Dam, BOD has maintained a decreasing trend, whereas the COD value showed an increasing trend after the 1990s. Therefore, a control of non-biodegradable materials in areas around Paldang Dam is required. The result of the seasonal variations of BOD and COD is as follows: spring>winter>summer and fall (p<0.001). The time series analysis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for every 12-month period. Also,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 at Paldang Dam has to be systematically controlled becaus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 from the dam influences the water quality at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