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장전이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National Survey of Sarcoidosis in Korea (유육종증 전국실태조사)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39 no.6
    • /
    • pp.453-473
    • /
    • 1992
  • Background: National surve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sarcoidosis in Korea. The clinical data of confirmed cases were analysed for the practice of primary care physicians and pulmonary specialists. Methods: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2.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by correspondence with physicians i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dermatology, ophthalmology and neurology of the hospitals having more than 100 beds using returning postcards. In confirmed and suspicious cases of sardoidosis, case record chart for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obtained in detail. Results: 1) Postcards were sent to 523 departments in 213 hospitals. Internal medicine composed 41%, dermatology 20%, ophthalmology 20% and neurology 19%. 2) Postcards were returned from 241 departments (replying rates was 48%). 3) There were 113 confirmed cases from 50 departments and 10 cases. The cases were composed from internal medicine (81%), dermatology (13%), ophthalmology (3%) and neurology (3%). 78 confirmed cases were analysed, which were composed fro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92%), dermatology (5%), and neurology (3%). 4) The time span for analysed cases was 1980 to 1992. one case was analysed in 1980 and the number gradually increased to 18 cases in 1991. 5) The majority of patients (84.4%) were in the age group of 20 to 49 years. 6)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 1.5. 7)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s were respiratory symptoms, dermatologic symptoms, generalized discomforts, visual changes, arthralgia, abdominal pains, and swallowing difficulties in order. 16% of the patients were asymptomatic. 8) Mean duration between symptom onset and diagnosis was 2 months. 9)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respiratory, general, dermatologic, ophthalmologic, neurologic and cardiac origin in order. 10) Hemoglobin, hematocrits and platelet were in normal range. 58% of the patients had lymphopenia measuring less than 30% of white cell count. The ratio of CD4 to CD8 lymphocytes was $1.73{\pm}1.16$ with range of 0.43 to 4.62. ESR was elevated in 43% of the cases. 11) Blood chemistry was normal in most cases. 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S-ACE) was $66.8{\pm}58.6\;U/L$ with the range of 8.79 to 265 U /L. Proteinuria of more than 150 mg was found in 42. 9% of the patients. 12) Serum IgG was elevated in 43.5%, IgA in 45.5%, IgM in 59.1% and IgE in 46.7%. The levels of complement C3 and C4 were in the normal range. Anti-nuclear antibody was detected in 11% of the cases. Kweim test was performed in 3 cases, and in all cases the result was positive. 13) FVC was decreased in 17.3%, FEV1 in 11.5%, FEV1/FVC in 10%, TLC in 15.2%, and DLco in 64.7%. 14) PaO2 was decreased below 90 mmHg in 48.6% and PaCO2 was increased above 45 mmHg in 5.7%. 15) The percentage of macrophages in BAL fluid was $51.4{\pm}19.2%$, lymphocytes $44.4{\pm}21.1%$, and the ratio of CD4 to CD8 lymphocytes was $3.41{\pm}2.07$. 16) There was no difference in laboratory findings between male and female. 17) Hilar enlargement on chest PA was present in 87.9% (bilaterally in 78.8% and unilaterally in 9.1%). 18) According to Siltzbach's classification, stage 0 was 5%, stage 158.3%, stage 228.3%, and stage 38.3%. 19) Hilart enlargement on chest CT was present in 92.6% (bilaterally 76.4% and unilaterally in 16.2%). 20) HRCT was done in 16 cases. The most common findings were nodules, interlobular thickening, focal patchy infiltrations in order. Two cases was normal finding. 21) Other radiologic examinations showed bone change in one case and splenomegaly in two cases. 22) Gallium scan was done in 12 cases. Radioactivity was increased in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in 8 cases and in parenchyme in 2 cases. 23) The pathologic diagnosis was commonly performed by transbrochial lung biopsy (TBLB, 47.3%), skin and mediastinal lymph nodes biopsy (34.5%), peripheral lymph nodes biopsy (23.6%), open lung biopsy (18.2%) and bronchial biopsy in order. 24) The most common findings in pathology were non·caseating granuloma (100%), multi-nucleated giant cell (47.3%), hyalinized acellular scar (34.5%), reticulin fibrin network (20%), inclusion body (10.9%), necrosis (9.1%), and lymphangitic distribution of granuloma (1.8%) in order. Conclusion: Clinical, laboratory, radiologic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summarized. This collected data will assist in finding a test for detection and staging of sarcoidosis in Korea in near future.

  • PDF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Studies on the Effects of Caponization and Various Hormone Treatment on the Meat Production and Quality in Growing Chicken (닭에 있어서 거세(去勢) 및 Hormone 처리(處理)가 산육성(産肉性) 및 육질(肉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 Ra, Kwang Y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2 no.1
    • /
    • pp.9-47
    • /
    • 1975
  • These experiments were ca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caponization and various hormone treatments upon meat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meat quality of growing chicken. Sixtyseven days old 160 New Hampshire cockerels were treated and growth rate, carcass yield, change of weight of individual organs, meat composition and change of amino acid were measured and analysed. Otherwise change of testis and thyroid gland by hormone treatment were investigated histological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effectst of caponization and hormone treatment upon meat production were; 1) Body weight of cockerels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 was increased. upon 96.86% than initial period and A. C. T. H. group was 104.22% but other groups and all carponization groups were light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2) Weekly body gain of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 was best showing the significance (102.69 g) and the group with caponization were lower than those groups without caponization. 3) Carcass yield was best in Testo. group without caponization (831.2 g) and the group with caponization were lower than the group without caponization. 4) Carcass rate was highest in A. C. T. H. group with caponization and (67.22%) lowest in Testo. group without caponization (63.37%), but any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2. The effects of caponizatitn and hormone treatments upon the coposition of meat and amino acids were; 1) Any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between treated and untreated group about change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and glycogen contents in meat. 2) Fat co tent in muscle in the all trea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3) Extracts of group without caponiz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s with caponization. 4) Lysin contents were highest in D. E. S. group with caponization (11. 12/ 16.0 g N) and generelly Testo. group was lower compared with D. E. S. group. 5) Histidine and Arginine contents were higher in the groups with caponization than without caponization. 6) Aspartic acid content were higher in D. E. S. group and A. C. T. H. group without depend on caponization. 7) Treonine content was higher in Testo. group without caponization and in the group with caponization and without hormone treatment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without caponization. 8) Serine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group with caponization and increased by D. E. S. and A. C. T. H treatment groups and glutamic acid was also decreased in Testo. group with out caponization. 9) Cystine content was decreased by Testo. treatment and was not appeared in Testo. group without caponization. 10) Valine content was lower in control group with caponization but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between other groups and control group without caponization. 11) Glycine, Alan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hyrosine and Phenylalanine contents were not so difference between hormone treated groups and control group without caponization. 3. The effects of caponization and hormone treatment upon the change of organs were: 1) The weight of all organs were heaviest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 (18.5g) and lightest in A. C. T. H. group without caponization (155. 3g) but no significance was recognized between hormone treatment groups. 2) Heart weight was heaviest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 (7.46 g) and lightest in Testo. group without caponization (5.95 g). 3) Liver weight was heaviest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32.89g) and lightest in hormone untreated group with caponization(29.66g).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4) Spleen weight was heaivest in Testo. group with caponization (3.22 g) and lightest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2.00g) in contrast with the other groups. High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mong the groups (P<0.01). 5) Cloacal thymus weight was lightest in D. E. S. group with or without caponiz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ithout caponization. High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mong the groups. 6) Muscle fat content was not appeared in A. C. T. H. group with caponization, but it was highly increased in D. E. S. group with or without caponization. 7) Testis weight was lightest in D. E. S. group (0.38g)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66g).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mong the groups. 8) Large intestine, small intestine and cecum weight and length were heavier and longer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 and control group without caponization was lighter than those of hormone treated groups. 4. The effects of caponization and hormone treatment upon histological change of testis and thyroid gland: 1) The histological change of testis was significantly appeared in D. E. S. group that seminifirous tubles was slowly atrophied, the funtion of spernatogenesis was ceased, spermatocyte was changed as degeneration by pyknosis and karyorrhexis and interstitial cell was also atrophied, but in Testo. and A. C. T. H. group were similar as control group. 2) The histological change of thyroid gland in Testo. and A. C. T. H. groups without caponization were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without caponization, but in D. E. S. group without caponization, was changed squamously. Thyroid gland of the groups with caponization, epithelium of was atrophied and changed squamously as degeneration by pyknosis and karyorrhexis and the function of thyroid gland was slowly ceased in colloid and in hormone treated group with capon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