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음치 측정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 장선정;최현주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67-82
    • /
    • 2016
  •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인위적인 비폐색에 의한 비음치의 변화 (The Change of the Nasalance Score following Simulated Nasal Obstruction)

  • 임성은;김현준;최재진;표화영;배정호;김광문;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7-171
    • /
    • 2000
  • Nasal obstruction due to nasal deformities, rhinitis, sinusitis, or nasal polyps etc. induces hyponasality, which can influence the articulation and/or phonation of patients. However few studies were done on the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guideline that can be used in diagnosing the hyponasality. We analyzed the nasalance scores of 6 different sentences for 26 normal adults. We measured the nasalance scores before simulated nasal obstruction, after one nostril obstruction, and after both nostrils obstruction, while the subjects are reading roe nasal sentences(so-called, 'Mama' sentence, 'Mimi' sentence, and 'Nana' sentence) and three non-nasal sentences('Papa' sentence, 'Bibi' sentence, and 'Tatda' sentence). The change of nasalance score of six sentences were compared in three conditions, that is, without obstruction, with one nostril obstruction, and with both nostrils obstruction. The nasalance scores of one nostril obstruction and both nostrils obstru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 obstruction. The mean nasalance scores of one nostril obstruction and both nostrils obstruc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no obstruction by 10.93% and 48.88% in 'Mama' sentence, 3.72% and 5.76% in 'Papa' sentence, 12.28% nd 38.12% in 'Mimi' sentence, 7.28% and 12.96% in 'Bibi' sentence, 13.32% and 34.62% in 'Nana' sentence, 4.27% and 717% in 'Tatda' sentence, respectively. In both nostrils obstruction, the nasalance score of nasal sentences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non-nasal sentences significantly. The result suggests that nasal sentences can be used as efficient stimuli in assessing the patients suspected of hyponasality. Eventhough non-nasal sentences also induced significant discrimination, the dynamic range was too sm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