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유량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Specific Discharge Estimation in Urban Watershed (도시유역의 비유량 산정에 대한 연구)

  • Son, Hui Won;Park, Kyung Mi;Kim, Jong Seok;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1-511
    • /
    • 2015
  • 국가적 측면에서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는 국민의 안전 등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위하여 수자원 장기 계획을 필요로 한다. 설계홍수량의 적정성 판단 및 첨두홍수량의 파악은 수자원 계획에 꼭 필요한 요소이다. 이를 산정하기 방법으로는 "설계홍수 추정 지침서(1993,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비유량법을 활용한 추정공식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시된 비유량 산정 공식의 경우 유역면적 하나만을 매개변수로 하는 회귀식이기 때문에 급변하고 있는 강우 패턴 등의 반영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도시화 및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와 집중호우 등의 극치수문사상이 발생됨에 따라 기존의 비유량법에 의해 첨두홍수량을 추정할 경우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하천기본계획 및 소하천정비종합계획 등 대부분의 하천관련 정비계획에서는 단위도법에 의해 산정된 홍수량을 계획홍수량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비유량법에 의한 첨두홍수량은 계획홍수량의 적정성 검증 정도로만 활용하고 있으며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유역을 대상으로 최근 수립된 하천기본계획 등의 계획홍수량 자료를 수집하고, 기존 비유량공식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비유량 적용의 적정성을 판단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and estimation of the specific discharge (비유량 산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Min-Seok;Kang, Won-Sam;Moon, Young-Il;Park, S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4-934
    • /
    • 2012
  • 우리나라는 계절의 특성상 변동성이 심하고 경향성이 뚜렷한 특징으로 여름철에는 물이 풍부하여 홍수피해를 걱정하고 봄, 겨울에는 물 부족으로 걱정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수자원 확보 및 관리를 위해서 정확한 유량을 측정하고 자료를 관리하는 것은 대단이 중요하다. 하천의 유량 산정시 실측유량을 통해 연속적인 하천의 유량자료를 산정하면 좋으나, 자연적, 외부적인 요건으로 인하여 기간분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비유량을 적용하여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생산해 내는 것이 하나의 대안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분석대상지점을 선정하고, 각각의 지점의 실측유량과 비유량을 각각 산정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 하류간의 유역반응시간을 고려하여 비유량을 적용하고 적합도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더욱 신뢰도 높고 안정된 유량자료의 산정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Low Flow Analysis Using the Resoult of SWAT (SWAT 모형을 활용한 갈수량 분석)

  • Kim, Nam-Won;Lee, Byong-Ju;Lee,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80-78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준분포형 장기유출 모형인 SWAT 모형을 활용하여 충주댐 상류유역에 대한 갈수빈도해석을 실시하고, 비유량을 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분류 토지피복도, 정밀토양도, 수치표고모델 등의 GIS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1986{\sim}2004$년에 해당하는 강수량, 상대습도, 일사량, 기온, 풍속 등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모의결과 전기간에 대해 ME는 0.71, $R^2$는 0.72로 나타났다. 또한 이 결과로부터 19개 소유역에 대한 지속기간별 갈수량 자료를 구축하여 2.33년, 10년에 대한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비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하천유지유량 산정 등 수자원관리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분만 예정일이 가까운 암퇘지의 관리상태에 따른 분만후의 비유량

  • Nam, Gi-Heung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1 no.4 s.116
    • /
    • pp.126-129
    • /
    • 1989
  • 비유생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호르몬이다. 임신말기에는 태반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의 작용을 받아서 태아가 자궁에 착상되어 임신이 유지되는데, 분만과 함께 이들 분비는 억제되고 프로락틴 (Prplactin) 이 이라는 호르몬이 뇌하수체전엽으로부터 분비되기 시작한다.

  • PDF

Effect of Genetic and Non-Genetic Factors Other Than Disease on Kid Survivability in Goat (산양의 생존율에 대한 유전적 및 비유전적 요인)

  • Miah, G.;Husain, S.S.;Hoque, M.A.;Baik, D.H.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4 no.3
    • /
    • pp.271-278
    • /
    • 200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and non-genetic factors affecting kid survivability in goats from birth to 90 days of age. The purebreds had lower survivability than the crossbreds, with significant (p$<$0.05) difference amongst themselves for the age of 31 to 90 days. The locational effect on survivability was insignificant for all the periods except 16 to 60 days (p$<$0.05) of age. The sex and birth type also had significant (p$<$0.05) effect on survivability for all the periods except 0 to 7 days of age. The surviv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kids born in summer season followed by those born in winter and rainy season. Milk produced by the does were significantly (p$<$0.05) affected on the survivability of kids during the period from 16 to 60 days of age. The survivability of kids were highest and lowest having milk yield of doe found to be 400-600 g/day and 80-200 g/day, respectively. Birth weight had significant (p$<$0.05) effect on survivability for all the stages of growth up to 90 days of age. Surviv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oes’ milk yield as well as kids birth weight. Interactions of sex with location or birth type were significant (p$<$0.01 and p$<$0.05, respectively) though interaction between sex and genetic group was insignificant.

학술자료 I: 최근 국내.외의 젖소의 번식생리에 관한 연구 소고

  • Ryu, Il-Seon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7 no.5
    • /
    • pp.456-461
    • /
    • 2011
  • 최근 홀스타인 경산우는 체격이 대형화함과 동시에 유전적 개량에 의해 비유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비유량이 증가하는 한편, 번식성적의 저하가 전 세계적인 문제로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젖소의 첫 인공수정 수태율은 1951년의 약 65%에서 1996년 약 40%까지 저하하였다는 보고도 있다(Butler 등). 또한 영국에서도 과거 25년간에 수태율이 약 50%에서 35%까지 저하하여 40%를 밑돌고 있으며(Cook 등),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북해도 젖소의 첫 수정 수태율은 40%를 밑돌고 있다는 것으로 미루어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성적이나 좋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구나 수태율의 저하와 아울러 분만간격(평균공태일수)는 매년 연장되고, 현재 고능력 젖소에서 번식 성적의 향상은 해결과제로, 세계각국에서는 번식성적저하의 요인 및 대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고능력 젖소에서 유량, 부(負, -)에너지 균형 및 BCS 등이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국내 외의 수집 논문, 자료 등을 정리하여 대동물임상수의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소개하고 저 한다.

  • PDF

광선관리와 모돈의 번식성

  • Lee, In-Ho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0 no.11 s.111
    • /
    • pp.65-67
    • /
    • 1988
  • 비유량과 이유시에 자돈의 체중 증가 및 이유후의 발정재귀일수를 단축시키기 위해 미경산돈이나 미거세돈은 1일 일조시간이 14시간이상 필요하고, 수유중에는 일조시간을 16시간으로 증가해야 한다.

  • PDF

변질 사료에 의한 돼지의 곰팡이 중독

  • Kim, Bong-Hwa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10 no.6 s.106
    • /
    • pp.110-114
    • /
    • 1988
  • 사료에 의한 곰팡이 중독은 아플라톡신 중독, 제라레논 중독, 맥각중독, 진균성 심장병 등이 있으며, 중독이 되면 식욕부진, 산자수 감소, 유사산 우유증(비유량 감소)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PDF

Flow Duration Curve Analysis for Nak-dong River Basin TMDL Using TANK Model (TANK 모형을 이용한 오염총량관리 목적 낙동강 유황 분석)

  • Kim, Sang-Dan;Kim, Jae-Chul;Kang, Doo-Ke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48-1052
    • /
    • 2007
  • 그동안의 하천 유량자료는 주로 홍수방어를 목적으로 구축되어진 관계로 대부분 홍수기에만 의미있는 자료를 갖추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필요한 저갈수기 유량자료는 그 신뢰도가 매우 떨어지고 있다. 다행히 지난 2004년 하반기부터 4대강 물환경 연구소에서 직접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측정하기 시작하였고, 사업의 결과 건기 우기의 구별 없이 연중 일정한 간격으로 하천유황 및 수질의 변동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각 단위유역별 유황곡선을 작성할 목적으로 8일 간격 유량자료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현재 관측 중인 8일 간격 유량자료만으로는 동시 관측이 진행 중인 수질항목과 유량 사이의 상관관계 정도를 파악한다거나, 어떤 방법으로든 수문모형을 구축한 후 이를 부분적으로 검정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하는 정도로 그 용도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41개 단위유역 전체를 대상으로 관측된 8일 간격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1일 간격 유량자료로 확장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TANK 모형에 하도추적기능을 추가한 보다 진보된 TANK 모형을 구성하였다. 낙동강 단위유역별 취수량과 방류량을 바탕으로 한 물수지 자료 또한 구비하여 모형에 고려되도록 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하여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8일 간격으로 관측한 유량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모의된 일유량이 실제 유량을 비교적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8일간격 유량관측자료의 일유량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축된 모형은 적용에 앞서 10년 평균 저수량을 기준으로 1차 오염총량관리 기준유량과의 비교를 시도하였으며, 상류 댐 방류의 영향 및 물수지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의 자연유량을 산정하여 이를 현재 유황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현재유량과의 비교 결과 다목적 댐의 방류효과로 인한 유량 증가효과 및 대규모의 취수로 인한 유량 감소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산정된 자연유량을 통하여 비유량을 산정한 결과 $5,000km^2$이하인 유역 면적의 경우 비유량 $0.0048m^3/s/km$를, $5,000km^2$이상인 경우에는 비유량 $0.0043m^3/s/km$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 유역의 물이용 및 상류의 댐 방류 효과가 고려되면 실제 유역의 저수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