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상대응훈련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4초

선박의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한 HSTPA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STPA Model for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Ships)

  • 한기영;정진기;안영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1-447
    • /
    • 2019
  • 해사안전을 위한 비상대응훈련 및 해기교육기관의 안전교육은 정해진 시나리오와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 따른 인적오류 감소와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와 상황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은 부재하다. 본 연구는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해 상황 다변성을 모델링할 수 있는 이론적 절차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선원과 시스템의 유기적 관계에 기반한 인적 및 시스템 이론적 절차 분석 모델(HSTPA)을 정의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발생시킬 수 있는 오류를 분석, 수직적 보고체계와 대응이 요구되는 화재대응 훈련 시나리오에 이를 적용하여 기존 훈련의 한계점을 식별하였다. 제안된 HSTPA 모델을 적용한 훈련 시나리오 고려요소의 세분화 및 점검은 비상대응훈련 및 교육에 있어 다양하고 현실적인 시나리오 생성과 피훈련자들의 상황판단 이해력 및 대응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안선 비상대응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 강석용;장은규;배석한;이우근;조장원;김기선;김영모;이원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8-180
    • /
    • 2016
  • 연안선은 중 대형선에 비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고 작업 환경이나 안전에 대한 시스템적인 완성도가 매우 취약하다. 또한 바쁜 운항 스케줄과 승무원의 자질등의 여건으로 인하여 비상대응훈련이 잘 시행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현재 시행중인 훈련에 대한 시나리오도 중 대형선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수정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본선에 적합하지 않는 훈련 시나리오를 가지고 훈련을 하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연안선의 현실에 맞는 시나리오를 개발 및 자발적 참여유도를 통하여 연안선에서 시행되는 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나아가 안전한 해양문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행정적 대응을 중심으로 본 원전 방사선비상계획 개선방안 (Improvement Methods in NPP's Radiation Emergency Plan: An Administrative Approach)

  • 이윤욱;양희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51-154
    • /
    • 2009
  • 방사선비상계획은 기술적 대응과 행정적 대응으로 분류 가능하다. 본고는 국내원전 방사선비상계획을 행정적 대응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검토한 분야는 비상조직의 구성, 비상조직 발족기준, 비상요원 선정, 방사선비상계획서의 분량이다. 또한 현행 방사능방재훈련 방법의 한계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모쪼록 여기에 제시된 개선방안이 국내 원전 방사선비상계획과 방사능방재훈련에 적용되어 보다 유용한 비상계획이 수립되고, 실질적인 방사능방재훈련이 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원자력시설 사이버사건 대응훈련 정책 개선을 위한 규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ybersecurity Exercise Policy for the Nuclear Facilities)

  • 류진호;김상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2-305
    • /
    • 2020
  • 정보처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원자력시설에 대한 사이버침해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방사능방재법 및 관련 법령에 의거하여 국내 원자력시설은 각 시설 별 사이버사건 비상대응 절차를 수립하고 절차의 유효성 및 비상대응조직의 대응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의 주기적인 사이버사건 대응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규제기관의 독립적인 훈련평가 결과를 통해 많은 개선사항이 도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원자력시설의 사이버사건 대응훈련 체계를 분석하여 사이버사건대응 훈련 정책의 개념에 대해, 국내·외 기준에 따른 사이버사건 대응훈련 정책의 요소를 식별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규제방안을 제시한다.

최적의 비상대응절차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정초영;윤청금;이홍훈;정재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8-250
    • /
    • 2015
  • SOLAS, SAR 등 국제협약에서는 선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박소유자는 선박 안전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선장은 비상배치표를 게시하고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수색구조 기관에서는 위기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대비 절차들은 경험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작성하였으나, 실제 이를 위한 정량적인 평가방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상대응 절차를 분석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평가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 PDF

화재 사고에 대비한 무인 경전철의 비상대응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Procedure of Unmanned Light Rail Transit (LRT) against Fire Accident)

  • 김연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D호
    • /
    • pp.183-187
    • /
    • 2012
  • 본 논문은 최근 상업 운전을 시작한 무인 경전철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열차 화재사고 비상대응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비상대응절차와 관련하여 무인 경전철이 갖는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무인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반영한 절차서를 제시하였다. 비상대응절차는 우선 비상대응계획의 목적 등에 부합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 다음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첫째, 비상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별 비상대응체계 구축, 둘째, 비상대응직원 및 기관간의 신속한 대응조치를 위한 표준운영절차(SOP) 구축, 셋째 일상 상황에서 비상대응직원에 대한 비상대응훈련 등의 체계를 반영한 상세 항목이다. 아울러 향후 이러한 비상대응계획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직원을 대상으로 한 훈련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한다.

해외 정보 - 시뮬레이터를 통한 사고 대응 훈련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37권1호
    • /
    • pp.73-76
    • /
    • 2017
  • 일본의 원전사업자들은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고 대응 훈련 프로그램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이런 현상에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런 훈련 프로그램이 과연 비상 상황에 대응할 준비 상태를 갖추는 데 충분한 대책이 되는 것인지 알아본다.

  • PDF

CBT기반 연안여객선용 실습훈련 표준교안 개발 (A Development of Standard Practical Training Manual based on CBT for Costal Cru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 정희수;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팀은 2017년부터 CBT (Computer Based Training)기반 연안여객선 비상대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기존 여객선 교육 중 이론 파트를 프로그램으로 대체할 수 있다. CBT 프로그램으로 확보된 교육시간을 활용하여 기존의 체험형 훈련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실습교육으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비상상황 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훈련개선

  • 문재호;하윤주;김봉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5-347
    • /
    • 2015
  • 사고발생시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신속한 상황전파 및 적극적인 현장지원 등을 통해 대응능력 배양이 필요하고 다양한 관제상황 모의훈련을 통해 현장대응 문제점 도출 및 개선, VTS와 상황실 함정 등 현장세력 간 공제체계 강화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96 울진원전 방사능방재 합동훈련

  • 이영준
    • 원자력산업
    • /
    • 제16권10호통권164호
    • /
    • pp.61-69
    • /
    • 1996
  • 효과적인 비상 대응 능력을 높이고 방사능 방재 관련 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강화할 뿐 아니라 방사선 비상 계획을 보완$\cdot$발전시키기 위해 96 울진 원자력 방사능 방재 합동훈련이 지난 9월 11일 울진 원전 비상대책실과 울진 군청 상황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실제 훈련과 도상 훈련으로 나눠 시행된 이번 훈련은, 과학기술처$\cdot$내무부$\cdot$국방부$\cdot$경상북도$\cdot$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와 미국$\cdot$프랑스 등 국제원자력기구 회원국 방재 전문가, 지역주민, 유관 기관 관계자 등 총 40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헬기 및 해양 경비정을 동원하는 등 육$\cdot$$\cdot$공의 입체적인 훈련으로 진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