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대응훈련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HSTPA Model for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Ships (선박의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한 HSTPA 모델에 관한 연구)

  • Han, Ki-Young;Jung, Jin-ki;Ahn, Young-J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4
    • /
    • pp.441-447
    • /
    • 2019
  • Since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maritime safety and safety education of maritime education institutions are conducted based on the set scenarios and education content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reduction of human error and response to various situations.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there is no way to improve response capabilities by assessing existing education training and securing diversity in situations.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procedure analyzer method to model the diversity of situ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This paper defines the human and system theoretical procedure analysis model (HSTPA)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source and system.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aining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errors that each component could produce and applying them to the fire response training scenarios requiring vertical reporting systems and responses. The segmentation and inspection of training scenario considerations applying the proposed HSTPA model is believed to help create diverse and realistic scenarios in emergency response training and education, and improve the situation judgment understanding and response capabilities of the subjects.

연안선 비상대응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 Gang, Seok-Yong;Jang, Eun-Gyu;Bae, Seok-Han;Lee, U-Geun;Jo, Jang-Won;Kim, Gi-Seon;Kim, Yeong-Mo;Lee,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8-180
    • /
    • 2016
  • 연안선은 중 대형선에 비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고 작업 환경이나 안전에 대한 시스템적인 완성도가 매우 취약하다. 또한 바쁜 운항 스케줄과 승무원의 자질등의 여건으로 인하여 비상대응훈련이 잘 시행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현재 시행중인 훈련에 대한 시나리오도 중 대형선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수정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본선에 적합하지 않는 훈련 시나리오를 가지고 훈련을 하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연안선의 현실에 맞는 시나리오를 개발 및 자발적 참여유도를 통하여 연안선에서 시행되는 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나아가 안전한 해양문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Improvement Methods in NPP's Radiation Emergency Plan: An Administrative Approach (행정적 대응을 중심으로 본 원전 방사선비상계획 개선방안)

  • Lee, Yoon-Wook;Yang, He-Su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4 no.3
    • /
    • pp.151-154
    • /
    • 2009
  • The Radiation Emergency Plan (REP) can be divided into a technical and an administrative responses. The domestic NPP's REPs are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administrative response and improvement methods are also suggested in this treatise. The fields of the reviews are the composition of the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s, the activation criteria of the organizations, the selection of the staffings and the reasonableness of the REP's volume.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adiation exercises are reviewed and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exercise is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recommendations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useful REPs and making practical radiation exercises in Kore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ybersecurity Exercise Policy for the Nuclear Facilities (원자력시설 사이버사건 대응훈련 정책 개선을 위한 규제방안 연구)

  • Ryu, Jinho;Kim, S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302-305
    • /
    • 2020
  • 정보처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원자력시설에 대한 사이버침해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방사능방재법 및 관련 법령에 의거하여 국내 원자력시설은 각 시설 별 사이버사건 비상대응 절차를 수립하고 절차의 유효성 및 비상대응조직의 대응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의 주기적인 사이버사건 대응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규제기관의 독립적인 훈련평가 결과를 통해 많은 개선사항이 도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원자력시설의 사이버사건 대응훈련 체계를 분석하여 사이버사건대응 훈련 정책의 개념에 대해, 국내·외 기준에 따른 사이버사건 대응훈련 정책의 요소를 식별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규제방안을 제시한다.

최적의 비상대응절차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Jeong, Cho-Yeong;Yun, Cheong-Geum;Lee, Hong-Hun;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48-250
    • /
    • 2015
  • SOLAS, SAR 등 국제협약에서는 선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박소유자는 선박 안전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선장은 비상배치표를 게시하고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수색구조 기관에서는 위기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대비 절차들은 경험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작성하였으나, 실제 이를 위한 정량적인 평가방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상대응 절차를 분석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평가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 PDF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Procedure of Unmanned Light Rail Transit (LRT) against Fire Accident (화재 사고에 대비한 무인 경전철의 비상대응절차에 관한 연구)

  • Kim, Yeon Ky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D
    • /
    • pp.183-187
    • /
    • 2012
  •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for an unmanned LRT (Light Rapid Transit) which is being commercially operated recently. This emergency response procedure adds several particular characteristics which happens in the hardware and software aspects at the unmanned LRT in addition to the present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The emergency response procedure has to conform to the emergency response planning. For doing that this emergency response procedure includes three important sub systems. First of all, the functi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has been developed. Secondly,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 is suggested for the better and faster emergency response between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and institutes. Thirdly, emergency response training and drilling system is also provided for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Finally, a software program for emergency response training and drilling will be developed and suggested to be used for the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해외 정보 - 시뮬레이터를 통한 사고 대응 훈련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7 no.1
    • /
    • pp.73-76
    • /
    • 2017
  • 일본의 원전사업자들은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고 대응 훈련 프로그램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이런 현상에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런 훈련 프로그램이 과연 비상 상황에 대응할 준비 상태를 갖추는 데 충분한 대책이 되는 것인지 알아본다.

  • PDF

A Development of Standard Practical Training Manual based on CBT for Costal Cru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CBT기반 연안여객선용 실습훈련 표준교안 개발)

  • Jeong, Hui-Su;Jang, E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팀은 2017년부터 CBT (Computer Based Training)기반 연안여객선 비상대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기존 여객선 교육 중 이론 파트를 프로그램으로 대체할 수 있다. CBT 프로그램으로 확보된 교육시간을 활용하여 기존의 체험형 훈련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실습교육으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비상상황 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훈련개선

  • Mun, Jae-Ho;Ha, Yun-Ju;Kim, B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45-347
    • /
    • 2015
  • 사고발생시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신속한 상황전파 및 적극적인 현장지원 등을 통해 대응능력 배양이 필요하고 다양한 관제상황 모의훈련을 통해 현장대응 문제점 도출 및 개선, VTS와 상황실 함정 등 현장세력 간 공제체계 강화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96 울진원전 방사능방재 합동훈련

  • 이영준
    • Nuclear industry
    • /
    • v.16 no.10 s.164
    • /
    • pp.61-69
    • /
    • 1996
  • 효과적인 비상 대응 능력을 높이고 방사능 방재 관련 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강화할 뿐 아니라 방사선 비상 계획을 보완$\cdot$발전시키기 위해 96 울진 원자력 방사능 방재 합동훈련이 지난 9월 11일 울진 원전 비상대책실과 울진 군청 상황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실제 훈련과 도상 훈련으로 나눠 시행된 이번 훈련은, 과학기술처$\cdot$내무부$\cdot$국방부$\cdot$경상북도$\cdot$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와 미국$\cdot$프랑스 등 국제원자력기구 회원국 방재 전문가, 지역주민, 유관 기관 관계자 등 총 40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헬기 및 해양 경비정을 동원하는 등 육$\cdot$$\cdot$공의 입체적인 훈련으로 진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