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복신경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족부 및 족관절 부위에서 비복 신경의 해부학 및 수술시의 의미 (Anatomy of the Sural Nerve in the Foot and Ankle and Its Surgical Implications)

  • 이우천;박현수;한영길;장병춘;임장운;라종득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8-92
    • /
    • 1998
  • The course of the sural nerve in the calf has been well documented, but there is a general lack of information concerning the distal course of the n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istal course of the sural nerve and its surgical implications. Seven fresh amputated specimens were dissected to show the anatomy of the sural nerve in the foot and ankle. At the level of about 10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the sural nerve coursed anteriorly and inferiorly away from the Achilles tendon. 2 to 4 lateral calcaneal branches arose. The first branch of the lateral calcaneal branches coursed along the lateral border of the Achilles tendon, and it arose at 8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in 2 specimens, 12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in 4 specimens, and at 12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in one specimen. The main nerve trunk continued distally plantar to the peroneal tendons and divided into two terminal branches and crossed peroneus longus tendon at the level of the inferior border of the calcaneo-cuboid joint, at about 3cm(range, $2.5\sim3.0$)cm from the plantar surface. In conclusion, a longitudinal incision lateral to the Achilles tendon would cross the path of the sural nerve at about 10cm proximal to the plantar surface. When the first branch of them arise more than 10cm above the plantar surface, a logitudinal incision lateral to the Achilles tendon may be made without damage. The other lateral calcaneal branches will be cut when we make transverse incision paralled to the plantar surface. The terminal branch also may be in danger by the same transverse incision.

  • PDF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을 통한 Kirschner Wire 강선 지지대 고정술의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Blocking Kirschner Wire Techniqu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via the Extended Sinus Tarsi Approach)

  • 이정길;강찬;김상범;이기수;황정모;안병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4-233
    • /
    • 2021
  • 목적: 종골 골절 후 발생하는 부정유합으로 인해 체부의 폭이 증가하면 후족부 외측의 통증이 발생한다. 외측벽 돌출을 줄이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Kirschner wire) 지지대의 정복 유지 효과를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로 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 중 정복 유지를 위해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한 환자 22명(A군)과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 중 A군 환자와 1:2로 짝지은 44명의 환자들(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유관나사와 Steinmann 핀,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임상적 평가로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수치와 수술 후 운동능력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영상학적 결과는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와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도 분석해 보았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924, p=0.961). 영상학적으로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170, p=0.441, p=0.230, p=0.266, p=0.400),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는 A군이 평균 1.78 mm, B군이 4.95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B군에서 비복 신경 포착과 통증을 동반한 외골종의 빈도는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3, p=0.655). 결론: 임상적 평가 및 영상학적 평가의 대부분과 두 군의 합병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에 있어서는 A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 지지대 수술법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벽 돌출의 정복 유지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