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마모율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산화억제제 첨가에 의한 탄소/탄소 복합재료의 물성에 관한 연구 : 6. 탄소/탄소 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특성 (Influence of Oxidation Inhibitor on Carbon-Carbon Composites: 6. Studies on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Carbon-Carbon Composites)

  • 박수진;서민강;이재락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133-141
    • /
    • 2001
  • 산화억제제로 사용한 이규화 몰리브덴($MoSi_2$)의 함량에 따른 일방향 탄소/탄소 복합재료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관하여 대기상태 하에서 정속마찰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탄소/탄소 복합재료는 마찰온도 150~180${\circ}C$에서 급격한 마찰계수의 전이, 즉 normal wear 영역에서의 낮은 마찰계수(${\mu}$=0.15~0.2)에서 dusting wear 영역에서의 높은 마찰계수(${\mu}$=0.5~0.6)로의 전이를 나타내었다. 이렇게 마찰계수가 전이하는 온도범위의 존재는 탄소/탄소 복합재료로 만든 브레이크가 복합재료의 열적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산화억제제인 $MoSi_2$를 가지는 탄소/탄소 복합재료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복합재료에 비해 약 1.5배 정도의 낮은 평균마찰계수 및 마모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4 wt% $MoSi_2$ 함량을 가진 복합재료가 가장 큰 마모활성화 에너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대구경 이수식 쉴드TBM 현장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스크커터의 마모 및 교체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wear and replacement characteristics of the disc cutter through data analysis of the large diameter slurry shield TBM field)

  • 박진수;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7-78
    • /
    • 2022
  • TBM의 굴착효율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 디스크커터와 커터비트는 커터헤드 설계 및 시공 시 핵심요소로 지반조건에 맞는 디스크커터의 배치, 간격, 개수, 크기, 재질 등은 TBM 공사의 성패를 좌우한다. 또한, 디스크커터는 대표적인 소모성 부품으로 교체횟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수반되지 않으면, 공사비는 물론 공사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 이수식 쉴드TBM 현장에 대하여 설계 시 산정된 디스크커터의 교체횟수와 실제 시공 시 발생한 디스크커터의 마모깊이 및 교체위치에 대하여 현장데이터를 분석하여 비교·연구하였다. 정량적인 비교를 위하여 일정한 굴진데이터를 나타내는 구간에서 지반에 따라 풍화토/풍화암, 연암, 경암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으며, 디스크커터의 위치에 따라 동심원의 궤적이 다르므로 위치에 따라 비교분석 하였다.

Buffalo Leather 코팅에 대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3가 알콜 첨가에 의한 물성변화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y Changes by Trihydric Alcohol Addition Reaction and Polyurethane Dispersion Synthesis for Buffalo Leather Coatings)

  • 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23-630
    • /
    • 2015
  • Buffalo leather 표면 코팅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수지에 glycerol의 함유를 mole % 비로 달리하면서 첨가 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UT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고분자 수지의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한 buffalo leather 코팅에 사용되는 수분산 수지를 합성하였다. 지방족 3가 알콜인 glycerol의 mole % 비가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도, 인장강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신율, 내굴곡 물성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oluene을 이용한 내용제성 물성측정 결과에는 glycerol의 mole % 증가에 따른 물성 증감 효과는 없었다.

Vegetable Leather 표면코팅에 대한 Glycerol을 이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Synthesis of Polyurethane Dispersion by Glycerol for Vegetable Leather Surface Coatings)

  • 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Vegetable leather 표면 코팅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glycerol의 함유를 mole % 비로 달리하면서 합성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UT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고분자 수지의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한 vegetable leather 코팅에 사용되는 수분산 수지를 합성하였다. 지방족 3가 알콜인 glycerol의 mole % 비가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도,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신율, 내굴곡 물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Toluene을 이용한 내용제성 물성측정 결과에는 glycerol의 mole % 증가에 따른 물성 증감 효과는 없었다.

고상 廢棄物處理를 위한 플라즈마 토치에 관한 硏究 (The Study of Plasma Torch for Solid Waste Treatment)

  • 박현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1호
    • /
    • pp.39-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상폐기물(소각재) 처리를 위해 중간 전극 (IEI, Inter-Electrode Insert)이 있는 button 형태의 고형 체형 고출력 토치를 개발하였고 폐기물처리 플라즈마설비에 적용하여 운전특성을 얻었다. 본 연구의 토치 실험 결과 비이송형 모드에서는 가스량의 증가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였고, 이송형 모드에서는 가스량 변화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토치와 바닥면과의 거리, 슬래그의 성분 그리고 용융 슬래그의 체적에 따라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아크전압이 슬래그내의 total Fe 함량이 10% 내외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전기전도도 계산결과 0.05~0.25${\Omega}^{-1}cm^{-1}$ 범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토치 효율은 75~85%로 나타났으며, 마모율은 2${\times}10^{-6}~6{\times}10^{-6}$ kg/s의 범위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선글라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unglasses being sold in Domestic)

  • 이원진;성덕용;육도진;강성수;장윤석;박상철;박혜정;신효순;전영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5-134
    • /
    • 2004
  •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선글라스를 노점(A판매업소), 패션용품점(B판매업소), 휴게소(C판매업소) 및 안경원(D판매업소)에서 구입하여 한국 산업 규격에 수록된 "선글라스용 렌즈 규격" (KS P 4404), "안경테 규격" (KS G 3306) 및 "보호안경규격" (KS P 8147)의 검사방법을 적용하여 시 광학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선글라스의 사용목적인 자외선 차단은 노점(투과율 8.8%)에 비해 안경원(투과율 0.7%)에서 구입한 선글라스의 렌즈가 높게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글라스 렌즈의 표면 마모성 저항 평균값은 안경원이 1.4%로 노점(2.2%)에 비해 높았다.

  • PDF

현장발생 이암계 퇴적암의 보조기층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ability for Sub-base of Muddy Stone produced on Site)

  • 김진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93-100
    • /
    • 2005
  • 도로공사과정에서 발생되는 현장 발생암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로용 재료로 활용되고 있으나 풍화속도가 빠른 퇴적암 골재의 경우 품질기준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발생된 이암계 퇴적암을 보조기층용 재료로 활용하였을 때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마모율은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으나, 27.5$\sim$16mm 입도 범위에서 중량감소율은 편마암 및 사암의 경우 20$\sim$30%이었으나 이암계 퇴적암은 47%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골재의 안정성 시험결과에서는 편마암 및 사암에 비하여 이암계 혼합석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 및 건조에 의한 촉진 풍화시험에 의한 중량감소율에서도 편마암 및 사암계 혼합석 3.8$\sim$21%에 대하여 이암계 혼합석은 58%를 나타내어 빠른 풍화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Fine Ceramics의 Casting공정을 위한 다공질 알루미나 몰드의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Alumina Mold for the Casting Process of Fine Ceramics)

  • 박한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9-96
    • /
    • 1999
  • 석고몰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다공질 알루미나 몰드의 제조저건을 확립하였다. 다공질 알루미나 몰드의 제조를 위해 활성탄의 질량비에 따라 조성비를 달리하여 첨가한 후, ESA와 유동특성 등을 조하삼으로써 안정된 이상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석고몰드에 캐스팅하여 얻은 원통형 알루미나 몰드를 사용하여 활성탄의 양과 소결온도에 따른 수축율 변화와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다공질 알루미나 몰드의 소결에서는 비수축 소결구인 표면확산에 의해 입자간 넥 강도의 증진을 통한 몰드의 강도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1,00$0^{\circ}C$이하에서 유지시간의 변화에 따른 열역학적 방법, 1,00$0^{\circ}C$이상의 온도에서 알루미나의 수축을 억제하면서 빠른 승온속도를 열처리온도에 따른 동역학적 방법과 이 두가지 방법을 혼합하는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다동질 알루미나 몰드의 소결조건을 분석하였다. 위 방법들에 대한 다공질 알루미나 몰드의 캐스팅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복합 소결법이 최적임을 알수 있었다. 제조된 다공질 알루미나 몰드의 비교적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석고몰드레 비해 빠른 건조시간, 산, 염기에 대한 내식성 및 캐스팅 특성이 우수하였다.

  • PDF

개발된 Bisphenol-A계 Epoxy Putty의 충전제 배합에 따른 물성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perty and Applicability of the Bisphenol-A Type Epoxy Putty According to the Mix of Filler)

  • 위광철;오승준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9-469
    • /
    • 2016
  • 본 연구는 2014년도에 개발된 문화재 복원용 에폭시 수지를 이용해 충전제에 따른 물성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복원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해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수지와 9종의 충전제가 혼합된 퍼티의 물성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재료들과의 비교를 통해 에폭시 퍼티의 안정성, 우수성 및 적용성에 대해 분석하고 대체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물성 측정 결과 접착력과 색상변화량, 경도는 석회, 마모율과 경화 시간은 마이크로 바룬,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는 규조토, 비중은 석고와 백색 무기안료 혼합 충전제가 각각 배합된 재료가 가장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마모율에서는 석회를 제외한 모든 재료가 기존 재료에 비해 약 2.5 ~ 20배 정도의 높은 값을 보여 매우 우수한 절삭력을 가진 재료로 판단된다. 또한 경화 시간에서는 약 0.5 ~ 9배를 증진시켜 빠른 경화 시간으로 작업에서의 편리성이 증진되었으며, 수축 및 변형도 일어나지 않고 손에 묻어나는 현상도 개선되어 유물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황변현상은 약 0.5 ~ 27배의 낮은 변화량을 보여주어 변화량을 개선하고, 유물과의 이질감 및 재처리로 발생되는 유물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는 재료로 판단된다.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 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s Produced by a Rolling Crusher)

  • 송일범;백대현;손근성;신영인;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49-2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굵은 골재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콘크러셔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 분석 한 것이다. 그 결과 순환골재 치환율이 증가에 따라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골재일 수록 콘크러셔에 비해 유동성 및 압축강도면에서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회전형 마쇄기에 의해 생산된 순환골재의 입형이 비교적 둥글어 골재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한 것 및 마모작용으로 부착모르터가 다량 제거된 것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