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례유량제어밸브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uto Tuning of Position Controller for Proportional Flow Control Solenoid Valve (비례유량제어밸브 위치제어기 자동조정)

  • Jung, Gyu-H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7
    • /
    • pp.797-803
    • /
    • 2012
  • Proportional solenoid valves are a modulating type that can control the displacement of valves continuously by means of electromagnetic forces proportional to the solenoid coil current. Because the solenoid-type modulating valves have the advantages of fast response and compact design over air-operated or motor-operated valves, they have been gaining acceptance in chemical and power plants to control the flow of fluids such as water, steam, and gas. This paper deals with the auto tuning of the position controller that can provide the proportional and integral gain automatically based on the dynamic system identification. The process characteristics of the solenoid valve are estimated with critical gain and critical period at a stability limit based on implemented relay feedback, and the controller parameters are determined by the classical Ziegler-Nichols design method. The auto-tuning algorithm was verified with experiments, and the effects of the operating point at which the relay control is activated as well as the relay amplitude were investigated.

A Study on Flow Control Logic Valve - Static Characteristics of Proportional Poppet Type Logic Valve - (유량제어 로직 밸브에 관한 연구 ( 비례 파핏형 로직 밸브의 정특성 ))

  • Lee, Il-Yeong;Jeong, Yong-Gil;O, I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6 no.2
    • /
    • pp.213-217
    • /
    • 1990
  • This study suggests a new type flow control logic valve which have grooves on the main poppet valve. The grooves connect oil supply port to pilot chamber and the oil passages made by the grooves are designed to vary in proportion to the displacement of the main poppet valve. From analytical formulations on the hydraulic circuit including the flow control valve, equ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lve were obtained. In the experi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valve displacement and flow rate to the load side, and the variations of flow rate to the load sid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load pressure were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it was ascertained that the flow control valve designed in this study had excellent characteristics on proportional control and remote control.

  • PDF

Study on Improvement in Steering Performance of an Auto-Guided Tractor using a Laboratory-made HILS simulator (HILS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랙터 조향시스템 개선 연구)

  • Lee, Chang-Joo;Han, Xiongzhe;Jeon, Chanwoo;Kim, Junghoon;Kim, Ha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9-19
    • /
    • 2017
  • 자율주행 트랙터를 위한 트랙터 조향제어는 일반적으로 전자모터를 이용한 EPS(Electric Power Steering) 시스템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여 회전변위를 변경하고 그 결과 오비트롤(Orbitrol) 밸브의 토출유량을 바꾸고 호스로 연결된 조향실린더의 변위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전방 타이어의 방향각을 변경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향방식은 시스템 구조상 조향실린더와 오비트롤 밸브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밸브 특성상 약 ${\pm}5^{\circ}$의 오버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EPS의 전자모터는 관성력, 마찰, 백래시 등의 영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영향은 조향 응답을 느리게 만들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에서 주행에서 추종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트랙터의 조향성능 개선 연구의 일환으로 조향 HILS 시뮬레이터를 설계제작하여 조향 성능의 요인을 실험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향 시스템의 설계개선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터는 동양물산 80 마력급 TX803 트랙터에 사용되는 오픈센터방식의 오비트롤 유압회로 시스템을 기어펌프가 장착된 AC모터로 구동되게 구성하였으며, 유량은 모터의 주파수를 조절 회전속도를 조절 변경하였다. 추가적으로 EPS와 오비트롤 조합의 조향성능을 비교 및 개선하기 위해 비례제어밸브(PVG 32, Danfoss)를 추가 장착하였다. 실제 트랙터 조향 시 나타나는 마찰저항을 모사하기 위해 부하 실린더를 구성하였으며, 조향 실린더의 부하의 크기는 부하 실린더를 폐회로를 구성하고 유량비례제어밸브를 이용한 유로의 개구량 조절을 통해 부하의 크기를 약 4000 N 까지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EPS와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CANoe 8.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AN통신 기반 가상 조향ECU를 구성하였으며 오비트롤의 기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조향휠에 따른 실린더 동특성 및 계단 추종성능을 비례제어밸브와 비교하였다. 오비트롤 밸브는 약 ${\pm}5^{\circ}$이상 동작 시 실린더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약 ${\pm}10^{\circ}$이상 동작 시 조향실린더가 동작하기 시작하였다. 계단 추종성능실험에서는 비례제어밸브가 약 2배 이상의 응답개선을 나타냈다. 자율주행 경로추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출력밀도가 높은 비례제어밸브를 통해 응답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rmopneumatic-Actuated Polydimethylsiloxane microfluidic systems (Lab-on-a-chip과 m-TAS를 위한 미세 유체 시스템)

  • Moon, Min-Chul;Kim, Ju-Ho;Kim, Jin-Ho;Kang, C.J.;Kim, Yong-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2099-2101
    • /
    • 2004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마이크로 시스템은 열공압 방식으로 구동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indium tin oxide (ITO) 및 polydimethylsiloxane (PDMS)로 제작되었다. 제안된 마이크로 밸브와 마이크로 펌프의 구조는 ITO 히터, SU-8 층, PDMS membrane, 그리고 PDMS 채널로 구성 되어 있다. 제안된 마이크로 펌프와 마이크로 밸브는 제작 공정 및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저렴하며, 마이크로 펌프와 마이크로 밸브를 같은 기판 위에 쉽게 직접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마이크로 밸브의 유량은 채널 폭에 비례하며 밸브가 closing 되는 전력은 채널의 폭과 상관없이 100 mW이다. 마이크로밸브의 ITO 히터의 온-오프에 따라 유량이 매우 잘 제어되었다. 제안된 마이크로 펌프의 경우, 히터의 인가 펄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유량은 선형적으로 비례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다. 마이크로 펌프의 최대 유량은 펄스 전압과 duty 비가 55V와 10%일 때 6 Hz에서 78 nl/min이 측정 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Hall-thruster Propulsion Controller for Science Technology Satellite-3 (과학기술위성3호 홀 추력 제어기 개발)

  • Rhee, Sung-Ho;Cho, Hee-Keun;Lyou, 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10
    • /
    • pp.992-997
    • /
    • 2010
  • The Propulsion Control Module(PCM) of Hall-thruster Propulsion System(HPS) for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3 (STSAT-3) has the flow control accuracy of less than ${\pm}$3% and the pressure control accuracy of less than ${\pm}$5%. The pressure controller adjusts pressure around the set point by using a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PFCV) and a high pressure transducer, while the flow controller regulates the flow rate using PFCV and the anode current telemetry of the Hall Thruster. The controllers are chosen as the Proportional and Integral(PI) type, and the PI gains are tuned based on the Matlab simulations. The result of the PCM test had the flow control accuracy of less than ${\pm}$1.87% and the pressure control accuracy of less than ${\pm}$5%.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realization, and performance test results of the PCM.

Design of Network Controller for Proportional Flow Control Solenoid Valve (비례유량제어밸브 네트워크 제어기 설계)

  • Jung, G.H.
    • Transactions of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 /
    • v.8 no.4
    • /
    • pp.17-23
    • /
    • 2011
  • Proportional control solenoid is a type of modulating valve that can continuously control the valve position with magnetic force of solenoid. Recent microcontroller based digital servocontroller for proportional valve is being developed toward the smart valve with additional features such as enhanced control algorithm for finer process and intelligent on-board diagnosis for maintenance. In this paper, development of servocontroller network control with CAN bus which is free from problems of security and network traffic jam is presented. Design of network control system includes modes of communication between master and slave, assignment of 29bit message identifier and message objects, transaction of communication sequence, etc. Monitoring function and control experiments for remote valve through CAN network prove the extended function of smart valve control system.

Dynamic Characteristics of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with Large Capacity (대용량 비례 유량제어밸브 동특성 분석)

  • Jung, G.H.
    • Transactions of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 /
    • v.7 no.1
    • /
    • pp.20-27
    • /
    • 2010
  •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s have been used for almost 20 years. As the solenoid modulating technology advances, its applications are extending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nuclear and fossil fuel power plants, chemical plants and refineries. Proportional solenoid valve for large flow control is designed with two-stage configuration to meet the required actuating force on the main disc and its position is stabilized by the self-controlled system. In this research, main disc dynamics is analyzed with linearized system model which is derived from the mathematical equations describing its nonlinear behavior. Major design parameters of the valve control system that affect the response and stability are also studied with root locus method. The linear dynamic analysis results are verified with simulations in time-domain.

  • PDF

KSTAR 연료주입계 Piezoelectric Valve 및 제어기 개발

  • Song, Jae-In;Kim, Yeong-Ok;Kim, Gwang-Pyo;Chu, Yong;Park, Gap-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05-205
    • /
    • 2012
  •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KSTAR) 장치는 국내 유일의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핵융합 연구 장치로서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차세대 에너지원인 핵융합 에너지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플라즈마를 생성부터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소 동위원소를 토카막 내부로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소동위원소를 "연료"라 부르며, 이 연료를 토카막 내부로 공급해 주는 시스템을 연료주입 시스템(Fueling System)이라고 한다. KSTAR에서는 토카막 내부로 고속의 연료 주입이 필요하고 정밀한 양의 연료를 공급하는 밸브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밸브를 제어 할 수 있는 제어기를 필요로 한다. 위의 사항에 적합한 피에조 밸브(Piezoelectric Valve)는 2 msec 이내의 개폐시간과 500 Torr ${\ell}$/s 이상의 유량을 흘려줄 수 있는 피에조 밸브로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전압(0~250 V)에 따라 변위의 양에 비례하여 연료가 진공용기 내로 유입된다. 압전소자의 변위는 최대 140 ${\mu}m$로 최적화되어 있어야 하며, 정전용량(Capacitance)는 30~40 nF이어야 한다. 또한 소자에 힘(Force)를 가해 최대 7 N으로 136 ${\mu}m$의 변위를 가진 소자를 사용해야 한다. 피에조 밸브의 특성으로는 아날로그 신호로 작동이 되어야 하며, 유량신호를 피드백하여 밸브의 구동 전압을 정밀하게 제어 되어야 한다. 피드백 제어를 위해 압력센서는 XCS-190 Series를 사용하여 낮은 유량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작하였으며, 고전압이 유기 되었을 때 제어기를 보호하기 위한 정션박스를 설치하였다. 밸브 제어기는 피에조 밸브의 개방 속도를 높이기 위해 밸브 구동 전압을 순간적으로 높이는 POP 전압을 생성하는 기능과 유량 신호를 피드백해서 밸브 구동 전압을 정밀 제어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어장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제어회로의 전원용 +15 V DC와 밸브 구동용 +250 V DC 출력용의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펄스 및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Master Programmer unit), Pop 전압과 피드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Valve controller unit로 제작 되었다. 피에조 밸브와 제어기는 상호 작용하여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특성 실험을 진행하여야 하며, 진공상태에서 Lack의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현재 개발 제작된 밸브의 진공누설시험 및 특성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KSTAR 5차 캠페인에 적용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