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디오 품질 조절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4초

높은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A Buffer-based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for HTTP Adaptive Streaming in Long-Delay Networks)

  • 박지우;김동칠;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0호
    • /
    • pp.824-831
    • /
    • 2014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적응적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변화에 적응적으로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기반으로 비디오를 전송하기 때문에 높은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가용대역폭을 부정확하게 측정하여 불필요하게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부드러운 재생을 위해 버퍼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지연을 고려한 스트리밍 모델을 통한 정확한 가용대역폭 측정, 불필요한 품질 조절을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 품질의 유지 가능성 계산, 버퍼상태에 적응적으로 비디오를 요청할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높은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드럽게 비디오 품질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적응적인 전송률 조절 기법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to Improve QoE of Streaming Service)

  • 이성희;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34-237
    • /
    • 2011
  • 최근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네트워크 상태에 적응적으로 전송률을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사용자 측면의 체감품질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품질 (QoE)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적인 전송률 및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네트워크의 가용대역폭과 클라이언트의 버퍼 상태를 기반으로 전송률 및 비디오 품질을 조절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재생의 불연속성과 잦은 비디오 품질 변화에 의한 사용자 체감품질을 개선하였다. 시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하는 기법이 부드럽게 (Smoothly) 비디오 품질을 조절하는 것을 보였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비디오 품질 유지 기법 (Video Quality Maintenance Scheme for Improve QoE of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

  • 김윤호;김희광;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2호
    • /
    • pp.187-194
    • /
    • 2018
  • 최근 HTTP 적응적 스트리밍(HTTP adaptive streaming)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은 네트워크의 대역폭이나 클라이언트의 버퍼량에 따라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그러나 기존 품질 조절 기법은 빈번한 대역폭 변화나 고정된 버퍼 임계로 인해 불필요한 품질 변경이 발생하여 QoE(Quality of Experience)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해 평균 비디오 품질을 높이면서 불필요한 품질 변경을 최소화하는 비디오 품질 유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버퍼 점유율과 비디오 품질이 높을 경우 품질 유지 기간을 길게 설정하여 높은 품질을 오래 유지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평균 비디오 품질을 향상시키고 품질 변경을 최소화하여 QoE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율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일시적인 확장성을 이용한 품질 적응 기법 (Quality Adaptation with Temporal Scalability for Efficient Video Streaming)

  • 이선헌;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3호
    • /
    • pp.143-155
    • /
    • 2007
  • 인터넷을 통한 비디오 스트리밍 응용에서 TCP 친화적인 전송률 조절기법은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프로토콜간의 형평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안정성 및 프로토콜간의 형평성 향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의미하진 않는다. 비디오 스트리밍에서 네트워크의 안정성 향상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서비스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품질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키는 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네트워크의 상태를 기반으로 서비스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품질을 조절하는 새로운 품질 적응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현재 네트워크 상태에 적합한 TCP 친화적인 전송률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율을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태에 적응적으로 전송률 및 서비스 품질을 조절하게 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하는 기법이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네트워크 상태 적응적인 품질 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끊김없이 부드러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디오 품질 향상을 위한 전송률 조절 기법 (Rate Control Scheme for Improving Video Quality in Broadband Wireless Networks)

  • 윤두열;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334-336
    • /
    • 2012
  •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모바일 단말의 이동에 따른 무선 채널 상태 변화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비디오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모바일 단말의 이동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상태 변화와 네트워크 혼잡상태를 고려하여 비디오 전송률을 조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세그먼트 처리량과 버퍼 점유율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Based on Segment Throughput and Buffer Occupancy for Improving QoE in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

  • 김상욱;윤두열;정광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80-785
    • /
    • 2015
  • 최근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기존 HTTP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은 세그먼트 처리량을 표본으로 대역폭을 예측하고 평탄화 (Smoothing)를 한다. 그러나 기존 기법은 고정된 표본 개수로 평탄화를 하기 때문에 버퍼 언더플로우와 빈번한 품질 변화가 발생하여 QoE (Quality of Experience)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그먼트 처리량과 버퍼 점유율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세그먼트 처리량 변화에 따라 표본의 개수를 적응적으로 결정하고 안정적인 버퍼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는 비트율의 임계값을 기반으로 비디오 품질 조절을 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하여 버퍼 언더플로우 발생을 방지하고 품질 변화를 감소시켜 QoE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세그먼트 특성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A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Based on the Segment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QoE for HTTP Adaptive Streaming (HAS) Services)

  • 김명우;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4호
    • /
    • pp.423-432
    • /
    • 2017
  • 최근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표준인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를 기반으로 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Quality of Experience) 향상을 위해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법들은 비디오의 VBR(Variable Bitrate)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불필요한 품질 변화로 인해 QoE가 저하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세그먼트 특성을 기반으로 품질을 조절하는 SC-DASH(Segment Characteristics-based DASH)를 제안한다. SC-DASH는 다음에 요청할 세그먼트의 크기, 세그먼트 처리량, 그리고 버퍼 점유율을 기반으로 비디오 품질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품질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SC-DASH가 기존 기법보다 불필요한 품질 변화를 감소시킴으로써 QoE를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기술 변환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알고리즘 (Video Coding using Multiple Description Transform Coding)

  • 류상욱;양창모;호요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5-308
    • /
    • 2000
  • IP 네트웍을 통해 실시간 비디오를 전송할 때 네트윅 특성을 고려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하면 패킷 손실로 인한 품질 열화를 최소화하여 더 좋은 품질의 비디오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네트윅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얻어내는 메커니즘과 부호화 변수를 네트윅 상황에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패킷 손실에 강인한 압축 및 전송 메커니즘의 두 가지 기능이 요구된다. 첫번째 메커니즘은 RTP(Real Time Transport Protocol)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두 번째 메커니즘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중기술 변환부호화(Multiple Description Transform Coding) 기법을 적용한 비디오 부호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RTP에서 제공하는 RTCP(Real Time Control Protocol)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네트웍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다중기술 변환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의 패킷 손실률에서 최적의 품질을 보장하도록 부호화 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기술 변환부호화 기법을 비디오 부호화에 적용하여 순수 비디오 정보에 추가되는 잉여 정보량과 패킷 손실에 대한 강인성 사이의 관계를 도출함으로써 다중기술 변환부호화 기법이 네트웍 적응적 부호화 방식에 적합한 방식임을 제시한다.

  • PDF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 (TCP-aware Segment Scheduling Method for HTTP Adaptive Streaming)

  • 박지우;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7호
    • /
    • pp.827-833
    • /
    • 2016
  •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비디오의 품질을 조절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는 여러 품질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비디오 세그먼트로 나누어지며, 클라이언트는 적절한 품질의 세그먼트를 요청한다. 그러나 기존의 세그먼트 스케줄러는 TCP에 대한 고려 없이 일정 간격으로 세그먼트를 요청하므로 TCP 연결이 초기화되어 Slow-start를 다시 수행해 비디오 전송률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TCP 연결이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세그먼트의 요청 시간을 조절하며,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시점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끊김 현상 없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DASH 환경에서 QoE 향상을 위한 콘텐츠 특성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A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Based on Content Characteristics for Improving QoE in DASH Environments)

  • 윤기명;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8호
    • /
    • pp.1039-1048
    • /
    • 2015
  • 최근 웹 기반의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인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DASH 환경에서 네트워크와 버퍼 기반의 품질 조절 기법은 콘텐츠의 VBR (Variable Bit Rate)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세그먼트 처리량의 변화가 크며 이로 인해 잦은 품질 변화, 영상의 끊김과 같은 사용자 체감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DASH 환경에서 사용자 체감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C-DASH (Content Characteristics based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기법을 제안한다. C-DASH 기법은 세그먼트의 처리량과 버퍼 상태, 그리고 콘텐츠의 세그먼트 크기를 고려하여 끊김 없고 비디오 품질 변화가 적은 품질 조절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기법이 기존 품질 조절 기법들에 비해 사용자 체감품질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