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단쑥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taxonomic review of Artemisia sect. Absinthium in Korea (한국산 쑥속(Artemisia L.) 산흰쑥절(sect. Absinthium)의 분류학적 재검토)

  • Park, Myung Soon;Chung, Gyu 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3
    • /
    • pp.188-195
    • /
    • 2013
  •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scientific names of Korean Artemisia sect. Absinthium were reviewed based on the type specimen, the original description, observation of the living materials and voucher specimens. The form of the habitat, the structure of underground, the leaf shape and capitulum features were valuable characters in identifying the taxa. The sect. Absinthium in Korea was classified as three taxa of A. sieversiana, A. lagocephala, A. fauriei. Th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each taxa were provided. Particularly, A. fauriei in this section with hair on receptacle and A. fukudo in sect. Abrotanum without hair on receptacle grow in mixed groups on the West shore of Korea. Two species with populations which grow in mixed groups, was observed as being putative hybrid individual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Chromosome numbers of vascular plants of Mt. Baekdu and adjacent area in China (백두산 및 인근지역 관속식물의 염색체 수)

  • Kwon, Young Ju;Sul, Mi Ra;An, Jin Kap;Kim, Chul Hwan;Sun, Byung-Y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5 no.1
    • /
    • pp.47-55
    • /
    • 2005
  • During the course of the field trip to Mt. Baekdu and Manchurian region especially along the border of North Korea, young flower buds were collected and fixed to analyze the meiotic configuration of chromosomes and to discuss the cytotaxonomic characteristics of these areas. A total of 29 taxa with 31 populations of vascular plants were analyzed chromosomally. Among them, 26 taxa with 28 populations were collected from Mt. Baekdu which include Papaver radicata var. pseudoradicata, Bupleurum euphorbioides, Oplopanax elatus, Silene jenisseensis, and Gentiana jamesii and three taxa collected from Manchurian region which include Scrophularia buergeriana, Ostericum grosseserratum and Callistephus chinensis. The first report of chromosome numbers were provided here for those species of Artemisia lagocephala as 2n = 9II, Cacalia komaroviana as 2n = 30II,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as 2n = 27II and Rodiola rosea as 2n = 11II,

Evaluation of Caffeine Contents in Major Flower and Leaf Teas (주요 꽃차 및 잎차의 카페인 함량 평가)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4-104
    • /
    • 2020
  • 꼭두서니과 커피속 식물의주요 2차대사산물인 카페인은 커피나무, 카카오, 차나무 등에서 관찰되는 알칼로이드 화합물로 다른 식물의 발아 억제, 살충 기능이 알려져 있다. 인체에 있어 카페인은 각성효과가 있어 수면 장애나 불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섭취를 중단 시 졸음, 두통 등 금단 증상을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 다양한 식물 종과 부위를 이용한 차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커피 2종류과 녹차 2종류를 비롯하여 꽃차 37종류, 잎차 15종류, 씨앗차 2종류, 열매차 1종류 및 뿌리차 2종류를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카페인 함량에 대한 정성, 정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조로 사용된 시판 커피 2개사 제품은 각각 1.18 mg/g, 35.94 mg/g의 caffeine 함량을 나타냈으며 시판 녹차 티백 제품 2종은 1.3 mg/g, 3.42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사된 37종의 꽃차 중에는 차나무 꽃차에서만 1.50 mg/g 수준의 caffeine이 검출되었을 뿐 국내 소비가 확대되고 있는 구절초, 국화, 금계국, 금목서, 금어초, 금잔화, 노랑코스모스, 당아욱, 도라지, 동백나무, 뚱딴지, 라벤다, 마리골드(노랑), 마리골드(주황), 매화, 맨드라미, 무궁화, 백목련, 벚나무, 복사나무, 비단향꽃무, 생강나무, 수레국화, 아까시나무, 연꽃, 유채, 작약, 장미, 진달래, 천일홍, 캐모마일, 패랭이꽃, 팬지, 해당화, 홍화, 히비스커스 등 36종에서는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다. 잎차의 경우 레몬그라스, 레몬밤, 로즈마리, 뽕나무, 세인트존스워트, 스테비아, 쑥, 애플민트, 연잎, 적양배추, 조릿대, 차수국, 티트리, 파인애플민트, 페퍼민트 등 평가된 15종류 모두에서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씨앗차인 펜넬 및 작두콩, 열매차인 진피차, 뿌리차인 자색당근과 비트차에서 역시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할 때, 시판되는 다양한 식물 종과 부위를 이용한 차의 경우 대부분 caffeine을 함유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