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닐

검색결과 1,462건 처리시간 0.029초

이벤트 알림서비스를 이용한 효율적인 비닐하우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Automtical Control System of GreenHouse Using Sensing Information)

  • 이주경;안현우;정상우;송특섭;전용하;김혜영;곽내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9-54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센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닐하우스 내부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비닐하우스의 모니터링을 PC와 핸드폰에서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비닐하우스의 센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에 이상 변화 이벤트가 감지가 될 경우 모니터링부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통일계(統一系) 수도품종(水稻品種)의 만식재배(晩植栽培)를 위(爲)한 육모방법(育苗方法) 개선(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Nursery method for Late-seasonal Cultivation of Rice Varieties (Indica × Japonica))

  • 최범렬;조재성;이종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11-16
    • /
    • 1976
  • 만식재배(晩植栽培)에 알맞는 묘대양식별(苗垈樣式別) 육묘일수(育苗日數)를 구명(究明)코져 유신(維新)과 조생통일(早生統一)을 공시(供試)하여 6월(月) 25일(日)에 이앙(移快)하여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비닐보온육묘(保溫陸苗)가 비닐보온절충묘(保溫折衷苗)에 비(比)하여 분얼수(分蘖數) 및 수수(穗數)가 많았으며 육묘일수간(育苗日數間)에는 육묘일수(育苗日數)가 긴 것일수록 많았다. 2. 유신(維新)은 묘대일수감응도(苗垈日數感應度)가 작아서 묘대양식(苗垈樣式) 불구(不拘)하고 육묘일수(育苗日數) 60일(日)에서도 불시출수(不時出穗)가 없었으나 조생통일(早生統一)은 비닐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에서 육묘일수(育苗日數) 50일(日) 이상(以上)에서 불시출수(不時出穗)가 나타났고, 비닐보온육묘(保溫陸苗)에서는 60일(日)까지도 불시출수(不時出穗)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불시출수(不時出穗)가 조장(助長)되지 않는 묘대환경하(苗垈環境下)에서는 조파(早播)에 의(依)하여 출수촉진(出穩足進)의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기중(其中) 조생통일(早生統一)이 유신(維新)보다 현저(顯著) 하였다. 4. 주당수수(株當穗數)는 비닐보온육묘(保溫陸苗)가 비닐보온절충묘(保溫折衷苗)보다 육묘일수(育苗日數)에 관계(關係)없이 증가(增加)되었다. 5. 수량(收量)은 양(兩) 품종(品種) 공(共)히 비닐보온육묘(保溫陸苗)에서 많았으며 육묘일수간(育苗日數間)에는 비닐보온절충묘(保溫折衷苗)에서는 40일묘(日苗) 비닐보온육묘(保溫陸苗)에서는 60일묘(日苗)에서 양(兩) 품종(品種) 공(共)히 증수(增收) 되었다.

  • PDF

직립마늘 파종기의 생육측정 (The growth measurement of garlic for upright seed planter)

  • 이충호;장지운;이인범;김현경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84-84
    • /
    • 2017
  • 직립식 마늘파종기는 마늘 종구를 한 알씩 집어 올려 중간이송컵으로 이송하는 자세교정컵과 배종부와 자세교정컵에서 낙하된 마늘종구를 땅속으로 파종하는 구조로 설계 제작되었으며,전라북도 익산시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기계파종을 통한 파종기의 성능개선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계파종은 1차년도 기존 파종기의 성능을 개선한 7조식 시제품과, 국내산과 스페인산 마늘을 파종하였으며, 11조용 참여기업의 기존 파종기를 이용하여 테스트베드에서 수행하였다. 비가 온 뒤의 땅에 파종한 라인의 샘플링 자료조사 결과(5m 구간 기준으로 체크) 결주율이 각각 17.81%, 35.6%로 평균적인 결주율이 0.57%인 일반 기상상태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결주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마늘 파종법에 대한 결과로, 총 4가지의 파종법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파종방법에는 2조 병목식 스페인식 파종법, 11조식 트랙터용 파종법, 7조식 트랙터용 파종법, 6조식 이양기용 파종법이다. 이 4가지 파종법 중에서 3가지 파종법에 대한 성장률에 대해서 조사를 해보았다. 11조식의 경우에는 제주도식 파종을 하여 비닐 멀칭이 되어있지 않으며, 7조식의 경우에는 비닐 멀칭이 되어있는 파종방식을 사용하였고, 2조식 병목식 스페인식 파종법의 경우에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비닐 멀칭의 유무에 따라 성장률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결주율은 파종된 마늘 중 샘플링한 데이터에 대해서 얼마나 파종이 잘되었는지에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11조식의 경우 비닐멀칭도 없고 비온 뒤에 파종 되어 파종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사료됨. 비가오지 않은 날씨에서 측정한 7조식 1차년도 성능개선 시작품의 결주율은 0.5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발아율은 파종된 마늘 중 샘플링한 데이터에 대해서 다립파종 되어서 미성장된 것과 결주율을 합하여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시제품으로 개발한 7조식 파종기는 스페인산과 국내산 마늘의 발아율이 모두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차이점은 파종시기의 차이에 따라 발아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토양, 재배환경 및 기후에 따른 변동요인이 많음)되며, 이는 파종법의 종류뿐만 아니라 비닐멀칭의 온도유지가 마늘 성장률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병행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성장률에 대해서는 아직 표준화, 정형화 되어있는 측정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 정형화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직립식 마늘파종기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키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 PDF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Mulching Methods)

  • 박정민;강진호;정은호;송근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0
    • /
    • 2004
  • 재배 생력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최적 멀칭방법을 확립하고자 무멀칭, 볏짚, 투명비닐, 흑색비닐, 이들 비닐과 왕겨를 혼용한 멀칭이 삽주의 어린싹, 초기 및 후기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주의 어린싹 무게는 투명 비닐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어린싹과 관련된 형질중에서는 엽수, 어린싹의 길이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작았다. 2. 생장초기에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시 엽수, 근수, 경수, 엽폭, 지상부 및 근경의 생체중이 가장 적었던 반면, 왕겨와 흑색비닐 혼합멀칭시 뿌리 관련 형질인 근수, 근경중 및 근중이 가장 많았다. 3. 생장후기에는 지온이 낮았던 생장초기의 멀칭효과가 고온기를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사라져 생장 및 형태적 형질에서는 멀칭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4. 단위면적당 수량과 상품 수량은 볏짚 단독멀칭과 왕겨와 흑색비닐의 혼합멀칭 에서 가장 높았다.

비닐하우스 경작에 따른 팔당호 유역의 수질특성 및 오염도 평가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Vinyl House Cultivation in Pal-dang Lake Basin)

  • 안태웅;최이송;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09-2013
    • /
    • 2009
  •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내의 농작물 경작은 자연환경과 차단된 조건에서 작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므로 비료의 사용량이 많아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휴작기에 비닐을 제거 방치하므로 비닐 표면에 집적된 오염물은 강우 시 유출되어 이들로 인한 주변 하천수 및 지하수 오염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팔당호 유역내 하천 부지에서 비닐하우스 등이 집단화 되어 있어 이로 인해 팔당호 유역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팔당호 유역내 하천부지에서 대단위 비닐농가가 집단적으로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팔당호 유역내 산발적으로 비닐하우스 농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비닐하우스로부터 비강우시에는 유출 오염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강우 시 강우유출수가 표면 유출되는 과정에서 오염수가 팔당호로 직접 유입되어 팔당호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팔당호 유역의 비닐하우스 경작에 의한 수질특성 조사 결과, SS 농도는 북한강 $372{\sim}446$ $mg/{\ell}$, 남한강 $488{\sim}547$ $mg/{\ell}$, 경안천 $345{\sim}415$ $mg/{\ell}$로 조사되었으며, BOD 농도는 북한강 $12.2{\sim}15.3$ $mg/{\ell}$, 남한강 $13.3{\sim}16.8$ $mg/{\ell}$, 경안천 $15.6{\sim}18.8$ $mg/{\ell}$으로 조사되었고, COD 농도는 북한강 $23.9{\sim}26.8$ $mg/{\ell}$, 남한강 $25.2{\sim}26.0$ $mg/{\ell}$, 경안천 $26.4{\sim}32.9$ $mg/{\ell}$로 조사되었다. 또한 T-N 농도는 북한강 $17.39{\sim}23.64$ $mg/{\ell}$, 남한강 $17.87{\sim}22.09$ $mg/{\ell}$, 경안천 $18.34{\sim}19.55$ $mg/{\ell}$으로 조사되었으며, T-P 농도는 북한강 $1.425{\sim}1.795$ $mg/{\ell}$, 남한강 $1.519{\sim}1.767$ $mg/{\ell}$, 경안천 $1.727{\sim}1.827$ $mg/{\ell}$로 조사되었다. 또한, 오염부하량으로부터 산정된 비닐하우스의 하천에 미치는 오염부하기여율은 SS의 경우 17.3%, BOD 4.5%, COD 5.2%, T-N 11.0%, T-P 7.4%로 조사되었다. 이는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유출되는 SS 및 T-N, T-P 오염부하량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비닐하우스 주변이 주로 나대지로 되어 있고 비료 또는 영양물질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탄소성 유기물질을 나타내는 BOD 및 COD의 오염부하기여율은 주변 토양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비닐하우스의 재배는 토양 표면피복의 효과적인 관리 및 영양물질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팔당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장 흐름 분획법에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혼성중합체들의 머무름거동에 관한 연구 (Retention Behavior of Poly(Ethylene-co-Vinyl Acetate)s in Thermal Field-Flow Fractionation)

  • 전선주;조경호;이대운;문명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27-434
    • /
    • 1994
  • 본 연구는 열장 흐름 분획법을 이용하여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혼성중합체들의 머무름에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함으로써 혼성중합체의 물리화학적인 성질 중 열확산계수의 특성과 효율적인 분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료로 선택한 8종의 혼성중합체들의 분자량 범위는 110,000 ~ 285,000이고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은 25% ~ 70%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점도와 열전도도 값이 서로 다른 THF, 톨루엔 및 클로로벤젠을 선택하였다. 혼성중합체의 머무름은 시료의 분자량, 조성 및 이동상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였는데 시료의 분자량과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머무름이 증가하였다. 실험으로부터 측정된 열확산계수는 1.36∼5.97 $cm^2/(s.K)$로서 시료의 조성 및 이동상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였다. 즉 열확산계수는 아세트산 비닐의 조성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조성과 열확산계수의 도시에서 조성이 무게백분율로 표시될 때 1.36∼5.97 $cm^2/(s.K)$로서 시료의 조성 및 이동상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였다. 즉 열확산계수는 아세트산비닐의 조성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조성과 열확산계수의 도시에서 조성이 무게백분율로 표시될 때 상관계수가 큰 $(r^2(\geq)0.928)$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혼성중합체의 조성에 대한 열확산계수의 변화율은 이동상이 THF인 경우에 가장 컸으모로, 조성이 서로 다른 혼성중합체의 분리에 적합한 이동상은 THF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열장 흐름 분획법이 중합체의 크기가 유사하고 조성이 서로 다른 혼성중합체의 분리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일천궁재배지(日川芎裁培地)의 효율적(效率的) 잡초방제(雜草防除) 방법(方法) (Weed Control in the Field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 권태영;정기채;박노권;박선도;최부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55-259
    • /
    • 1997
  • 일천궁재배시(日川芎栽培時) 효율적(效率的)인 잡초방제방법(雜草防除方法)과 제초제약량수준별(除草劑藥量水準別)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고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방법별(處理方法別) 4월5일 정식후 천궁의 출현(出現)은 C.D.U. +Ethalfluralin EC+백색비닐 피복 처리구가 가장 빠르고 기타 흑색(黑色)비닐 및 관행재배구(慣行栽培區)는 비교적(比較的) 늦었으나 4월 26일경에는 100% 출현(出現)하였다. 2. 재배방법별(栽培方法別) 생육(生育) 초기(初期)에는 완효성복합비료+비닐피복구가 초장(草長)이 길고 주당(株當) 분지수(分枝數)가 많았으나 후기(後期)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고 수확기(收穫期)의 노두수(蘆頭數)는 관행재배구(慣行栽培區)와 C.D.U.+흑색비닐피복구가 많았다. 3. 정식후(定植後) 60일에 처리별(處理別) 제초방제(除草防除)는 흑색비닐 멀칭재배구와 Ethalfluralin EC+백색비닐멀칭구는 100%, Ethalfluralin EC는 99.5%를 보였다. 4. Pedimethalin GR의 약량(藥量) 수준별(水準別) 시험결과(試驗結果) 생육(生育)은 처리가 유의성(有意性)이 없었고 약해증상(藥害症狀)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방제효과(防除效果)는 10a당 4.5kg이상 살포구(撒布區)에서 $93.7{\sim}97.3%$ 방제가(防除價)를 보여 기준량 3.0kg/10a의 방제가 91.8%와는 유의성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파종기별(播種期別)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이 쇠무릎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wing Dates and Black P.E. Film Mulching on the Growth and Yield in Achyranthes japonica N.)

  • 김명석;박규철;정병준;박태동;김상철;심재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9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1994년(年)부터 1995년(年)까지 전남농촌진흥원(全南農村振興院) 특용작물(特用作物)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지방종(地方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쇠무릎의 파종기(播種期) 및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하였으며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立毛率)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고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과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많았으며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波覆栽培)가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에 비해 경장(莖長)은 14cm 길었고 분기수(分技數)는 2.4개(個) 많아 주근장(主根長) 및 주근경(主根徑)은 각각(各各) 2.8cm, 1.8mm 더 길고 굵었다. 2. 건근수량(乾根收量)은 4월(月) 1일(日) 파종(播種),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에서 3,190kg/ha로 가장 높았고, 흑색(黑色)비닐 피복재배(被覆栽培)가 토양적습(土壤適濕) 유지(維持)와 제초(除草) 노력(勞力)의 성력효과(省力效果)가 높아 무피복(無被覆) 재배(栽培)(2,660kg/ha))에 비하여 20% 증수(增收)되었다. 3. 파종기별(潘種期別), 흑색(黑色) P.E. 피복재배하(被覆栽培下)에 따른 생육특성(生育特性),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간(收量間)에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도라지 유기재배시 피복재료에 따른 생육 및 약용성분 변화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and Medicinal Ingredients in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Organic Cultivation)

  • 전승호;노일래;김영국;조영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7-201
    • /
    • 2017
  • 이 연구는 도라지의 유기재배를 위하여 피복물 처리에 따른 도라지 뿌리의 생육특성 및 사포닌,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3년근 도라지를 이식 후, 흑색 비닐, 톱밥, 쌀겨 및 무피복구의 뿌리의 길이는 비닐, 톱밥, 무피복구에서 24.0~27.5 cm로 길었으며, 직경에서는 비닐 피복구에서 가장 굵은 30.0 mm로 나타났다. 지근의 수도 비닐 피복구에서 가장 많은 36.0개로 조사되었으며, 수량과 관련성이 있는 생체중은 지근의 수와 직경이 가장 굵었던 비닐 피복구에서 13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피복구에서 56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lantycodin D3와 deapioplatycodin D 함량은 톱밥 피복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라지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비닐 피복구에서 각각 11.0, 8.6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galacin D와 ABTS와의 상관관계는 $-0.591^*$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성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라지 유기 재배 시 피복재료에 따른 뿌리의 특성, 사포닌함량과 항산화성분 등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ching방법별(方法別) 토양온도(土壤溫度)와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변화(變化) (Effects of Mulching Practices on Soil Temperature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 정필균;이광식;고문환;엄기태;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6-372
    • /
    • 1985
  • 경사지(傾斜地) 토양(土壤)에서 멀칭방법별(方法別) 지온(地溫)과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20m^2(2m{\times}10m)$의 lysimeter가 설치(設置)된 20% 경사지(傾斜地)의 예산사양토(禮山砂壤土)에서 고추(한별)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고, 투명(透明)비닐과 볏짚멀칭을 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생육기간중(全生育期間中) 지온(地溫)은 비닐멀칭구(區)가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해 10cm 깊이에서 $1.6^{\circ}C$, 20cm 깊이에서 $1.1^{\circ}C$가 높았고, 볏짚멀칭구(區)는 10cm 깊이에서 $1.1^{\circ}C$, 20cm 깊이에서 $0.7^{\circ}C$, 30cm 깊이에서 $0.3^{\circ}C$가 낮았다. 2. 일중지온(日中地溫)의 변화폭(變化幅)은 비닐멀칭구(區)가 가장 컸고, 토심(土深)이 깊어질수록 적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기온(氣溫)과 지온(地溫)은 각처리(各處理) 공(供)히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3. 토양(土壤) 10cm와 20cm간(間)의 열용량(熱容量)과 열확산율(熱擴散率)은 나지구(裸地區)가 가장 높았고, 표준구(標準區) 비닐멀칭구(區), 볏짚멀칭구(區)의 순(順)이었다. 4.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은 비닐멀칭구(區)에서 103kg/10a. 볏짚멀칭구(區)에서 36kg/10a로 표준구(標準區) 2.090kg/10a에 비(比)하여 무시(無視)할 정도(程度)로 낮았다. 5. 비닐멀칭과 볏짚멀칭으로 토양(土壤)의 경도(硬度), 가비중(假比重), 공극율(孔隙率) 등(等)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이 현저(顯著)히 개선(改善)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