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4초

법무실무를 위한 변호사의 법률정보 추구행태 탐구 (Exploring the Lawyers' Leg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for the Law Practice)

  • 김지현;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76
    • /
    • 2015
  •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연구는 전문가 정보추구행태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되어왔다. Leckie 등의 모델과 같은 선행 연구들에서 분석되었던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가 오늘날 한국 변호사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를 연구 질문으로, 본 연구는 변호사의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21명의 변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특히 변호사의 경험(경력)과 소속 로펌규모 별로 조사대상을 선정하여 정보추구행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Leckie 등의 모델은 오늘날 한국 변호사에도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선행 연구에서 파악되었던 변수(변호사 경력, 로펌규모 등) 역시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오늘날 변호사들은 비공식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비공식 정보보다는 공식 채널을 통한 정보추구를 보다 선호하며, 전자형태 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도 분석됨으로써 기존 선행 연구와는 상이한 정보추구행태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개별 인터뷰를 통해서는 첫 번째 온라인 검색이 실패한 경우에 동료나 선후배를 통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소프트웨어의 공유, 재사용 및 인용과 관련된 현재 관행의 의미 (The Implications of Current Practices Relating to the Sharing, Reuse, and Citation of Research Software for the Future of Research)

  • 박형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5-8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소프트웨어의 공유, 재사용, 인용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학술커뮤니케이션에서 연구소프트웨어는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연구소프트웨어의 인용이 일반적인 관행이 아니거나, 적어도 데이터인용색인(DCI)이 연구소프트웨어의 인용과 재사용을 제대로 인덱싱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소프트웨어인용은 주요 레포지토리(prominent repositories)에서 발견되었다. 소프트웨어인용이 많은 레포지토리는 CRAN(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과 Zenodo였다. 연구소프트웨어가 재사용되는 경우, 비공식 소프트웨어인용(informal software citation)과 공식 소프트웨어인용(formal software citation)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비공식 소프트웨어인용은 연구소프트웨어가 논문의 본문에서는 언급되지만 참고문헌에는 없는 경우였고, 공식 소프트웨어인용은 참고문헌에도 있는 경우였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연구소프트웨어의 자기 인용(self-citation) 현황을 설명했다.

사이버스칼러쉽 환경에서의 융복합 연구 촉진을 위한 인문학 분야 학술 커뮤니케이션 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 역사학 분야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f Characterizing Scholarly Communication Patterns in Humanities for Facilitating Consilience in Cyberscholarship Environment: Based on Historians' Research Activities)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1-35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스칼러쉽 환경이 실제 국내 인문학 연구활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다면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인문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결과물인 학술 문헌 내 내용각주를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심층 면접 분석 결과 국내 인문학 연구 과정은 "기본 지식습득, 연구 및 논문쓰기('연구 아이디어 생성-관련 연구 파악-연구 데이터 획득-논리 구조화'의 순환 구조와 논문쓰기), 논문투고 및 출판"의 단계로 파악되었으며 연구 및 논문쓰기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단계의 순환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정보원/방법이 공식 및 비공식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여 다양하며, 특히 연구 데이터와 관련 연구 파악 단계에서 사이버스칼러쉽 관련 요소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와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을 기반으로 할 때, 인문학자들이 인지하는 공동연구의 형태를 인정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데이터 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아키비스트의 적극 활용, 인문학 연구자들의 다양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기반을 마련하고 제공하는 것이 인문학 기반 융복합연구 촉진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정보요구별 탐색행태 분석 (Searching Behavior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Based on Their Information Needs)

  • 한승희;이지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요구별 탐색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정 정보요구에 대해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정보탐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과정에서 이용자가 느끼는 정보부족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보요구별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정보탐색환경에서 연구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정보요구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요구를 바탕으로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탐색행태 분석결과를 적용함으로써 이용자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과학기술 정보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노인들을 위한 인터넷기반 정보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Older Adults)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85-208
    • /
    • 2002
  • 노인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도전이다. 공공도서관을 주체로 하는 인터넷기반 노인정보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인들의 정보원 정보요구 그리고 정보이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1060명의 노인에 대한 면접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들은 대중매체와 비공식 구두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며, 요구정보는 건강의료, 뉴스, 취미, 종교, 레저여행의 순서로 나타났다. 23%에 해당하는 인터넷 이용 노인들의 활용현황과 인터넷 비이용자들의 장애요인을 식별하였다. 분석결과와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정보개발 참고봉사 인터페이스 교육 등으로 구성된 서비스 개발 모델과 협동운영방식을 제안하였고 향후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Government's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 during the MERS Outbreak)

  • 이미나;홍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24-136
    • /
    • 2016
  • 최근 몇 년간 거듭된 재난 재해 발생으로 인해 재난 재해 발생 시에 정부의 위기 대응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5년 발생한 파급력이 큰 재난 위기 상황이었던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부가 위기를 어떻게 인식 하였고 어떤 대응을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르스 확산 양상에 따라 3단계로 시기를 나누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메르스 관련 보도자료 총 134건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보도자료에 나타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메르스 초기에 중앙 정부에서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환자 경유 병원과 예방법 등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하며 충분한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드러났다. 메르스 확산기와 쇠퇴기에 서울시와 경기도에서는 중앙정부에 비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일상생활에서의 행동 수칙, 의료인 및 해제자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메시지를 중점으로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전염병 관련 재난 상황에서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그 메시지에 내포된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화 공간을 제공하는 마을 같은 도시형 공공병원의 건축공간 구성방식과 설계적용 연구 (A Study of Architectural Space Organization for the Promotion of Interactive Conversations and the Design Application for a Public Hospital Project)

  • 이영진;이정만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7-55
    • /
    • 2015
  • Purpose: While medical standard is rapidly improved, welfare of users and employees in hospitals is not treated correspondingly. Intercommunication of hospital users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for their welfare, and provision of conversation spaces within hospital environment needs to be expanded by architectural design. Space organization methods for the design of conversation space is to be embellished. Methods: Literature and hospital designs are analysed in order to develop the basis of argumentation for the hospital conversation space. 15 hospitals are reviewed and designed spaces for the intercommunication of the users are examined, Space organization efforts and design experiments are identified, and 6 organizational methods are proposed such as: 1) reducing territoriality 2) flowing space 3) categorizing and separating spaces 4) height variation 5) contact with outside and 6) Sun-lighted space. Results: 6 organization methods are confirmed in precedent hospital cases, and these proposed methods are applied in a new hospital design project to verify their usefulness. Implications: A hospital design project is presented based on these proposed methods of organization for the conversation spac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the formulation of human intercommunication spaces in other facilities.

경영전략 내재화가 공공기관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Internalization of Management Strategy in Public Organization)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10
    • /
    • 2016
  • 새로운 제도나 경영전략 등이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조직의 성과제고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내재화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성공적인 내재화를 위해서 많은 기관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교육방법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이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간 신뢰와 협력지향적인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융합전략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공공기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새로이 도입한 조직비전, 핵심가치 등에 대한 내재화 정도 및 조직문화 등에 대해 조사해보고, 성공적인 경영전략 내재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경영전략 강화 교육을 위해서는 반복학습을 통해 자주 노출시키고 자주 대화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집합교육과 이러닝 등 집중적인 교육방법을 병행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장이 직원들과의 내재화를 위한 의사소통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다양한 방법의 의사소통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끝으로, 조직문화의 변화를 위해서는 동료들간 개방적이고 협조적인 문화구축을 위한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의 장을 자주 마련하고 인적네트워크의 양적, 질적 확대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커피 브레이크는 성과에 도움이 되는가?: 업무 외적인 활동 관점 (Are Coffee Breaks Good for Performance?: A Perspective on Non-Work-Related Activities)

  • 이종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67-17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에서의 업무 외적인 활동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업무시간 중 업무 외적인 커피 브레이크 및 스마트폰 사용, 그리고 소비한 시간을 보충하기 위한 수당지급 없는 야근이 성과에 미치는 간단한 이론모형을 개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업무시간 중 업무외 목적의 오프라인 커피 브레이크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시간 중 업무외 목적의 스마트폰 사용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장 동료와의 의사소통에서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업무시간 중 업무 외적으로 소비한 시간 보충을 위해 하는 수당지급 없는 야근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의 데이터요구와 데이터 재이용 행위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Data Needs and Data Reuse Behavior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 김나연;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26
    • /
    • 2020
  • 오늘날 점차 데이터 집약적으로 변모하는 학문 환경 속에서 데이터는 연구부산물이 아닌 연구성과물로써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공급의 확대나 접근가능성의 확보만으로는 실제적인 데이터 재이용을 담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술연구자의 데이터 재이용 행위와 데이터요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자의 주요 데이터 재이용 행위와 데이터요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의 최근 3개년 데이터 재이용문헌 중 KCI 등재 논문의 저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인터뷰를 수락한 연구자 12명과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면담 분석결과, 데이터를 재이용하는 요인은 개인적,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데이터 재이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 그 자체를 이용하거나 데이터가 지닌 맥락정보를 활용하였다. 웹 기반의 정보원으로부터 데이터를 주로 습득하였으나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파악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데이터 재이용 시에 발생하는 학술연구자의 데이터요구를 살펴보면 생산 단위는 기관을, 언어는 영어를, 국가로는 미국을 선호하였다. 또한 조사원 기입식 대인면접 조사 방식으로 수집된 양적 데이터를 우선시하였다. 메타데이터와 식별정보를 충분히 포함한 원자료 수준의 데이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접근 및 이용이 통제된 데이터는 데이터가 지닌 가치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려워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데이터의 규모나 최신성과 관련된 선호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선택 가능한 유사 데이터가 부재하였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