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블루투스

검색결과 1,093건 처리시간 0.038초

블루투스 HCI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Bluetooth Host Controller Interface)

  • 류수형;김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6-70
    • /
    • 2001
  •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인 블루투스 기술은 최근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의 개발은 블루투스 기술의 응용을 위한 기술적 독립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하드웨어와 호스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계층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HCI 계층을 설계하였고,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기본 동작 과정 및 기 개발된 타사의 블루투스 어뎁터와의 동작 호환성도 연구해 보았다.

  • PDF

트랜드리포트 / 홈네트워킹 기술, 호환성을 위해 표준화 절실

  • 정진영
    • 디지털콘텐츠
    • /
    • 3호통권94호
    • /
    • pp.50-54
    • /
    • 2001
  • 지난호에서는 여러가지 무선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먼저 블루투스의 유래와 블루투스 SIG 등 블루투스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이처럼 이슈가 되고 있는 블루투스에 대한 시장에서의 전망과 블루투스 이외의 무선 프로토콜 HomeRF, IrDA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킷 전송 기법 연구 (A Efficient Delivery of Broadcast Packet in Bluetooth Network)

  • 박미선;김길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411-1414
    • /
    • 2002
  • 블루투스는 본래 이동전화 핸드셋, 헤드셋, 그리고 휴대형 컴퓨터와 같은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저가, 저 전력, 단거리의 무선 기술이다. 그러나 전자 제품간에 표준화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 인하여 블루투스는 휴대전화나 PDA, 노트북 PC 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어 무선 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블루투스는 시분할 다중화 시스템(TDM) 방식으로 최대 8 개의 블루투스 기기가 모여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는 '피코넷(piconet)' 을 형성할 수 있고 여러 개의 피코넷을 연결하여 '스캐터넷(scatternet)' 이라는 더 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단순한 재전송 방식으로 인해 신뢰성과 효율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블루투스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신을 보장하면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 전송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블루투스 기반 WBAN 응용 시스템 개발 (WBAN applications based on Bluetooth)

  • 김명규;손지연;양일식;박준석
    • 정보와 통신
    • /
    • 제25권2호
    • /
    • pp.47-53
    • /
    • 2008
  • 블루투스는 IETE 802.15 BAN스터디그룹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WBAN 응용 시나리오를 이미 지원하고 있는 매우 성숙된 기술로서 향후 새로운 WBAN MAC/PHY의 시장 진입을 위해 블루투스 응용 방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블루투스를 활용한 WBAN 응용 서비스로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원격 제어/IO와 착용형 멀티미디어 스트림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살펴본다. 생체 정보 모니터링이나 원격 제어/IO의 경우는 시스템 개발 초기엔 블루투스를 많이 활용하였으나 저전력을 위해 지그비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새로운 WBAN 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착용형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경우는 블루투스가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에서 기술하는 착용형 블루투스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웨어러블 MP3 플레이어와 같은 개인용 음악 재생기를 확장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무선으로 오디오를 공유한다. 착용형 블루투스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PMP와 같은 국지 동영상 파일 재생기의 발전된 모습으로 비디오는 안경형이나 손목시계형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하고 오디오는 무선 헤드폰에서 비디오와 동기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국지 미디어뿐만 아니라 근거리 IP 무선망에 있는 미디어도 UPnP-Bluetooth 브리지를 통하여 스트리밍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의료정보 신호의 전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Medical Information using Bluetooth Technology)

  • 엄정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97-30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용 심전계로부터 취득한 심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블루투스란 2.4GHz 대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매우 적은 전력 소모특성과 고속의 주파수 호핑 방식에 따른 높은 신뢰성 및 자체 에러 정정 기술을 갖추고 있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간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현된 시스템과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전화, 노트북 및 개인 휴대용 단말기 등간의 연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취득한 의료정보신호를 각종 무선 통신 기기를 통하여 병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블루투스 모듈과 호스트 부로 구성한 하드웨어 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성한 소프트웨어 부로 구성된다 호스트 부에서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도 신호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적합한 패킷으로 바꾸어 모듈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에러 정정 코드를 추가하고 블루투스 주파수 호핑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송한다.

  • PDF

비익명성 그룹키를 이용한 안전한 블루투스 피코넷 (A Secure Bluetooth Piconet using Non-Anonymous Group Keys)

  • 서대희;이임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2호
    • /
    • pp.222-232
    • /
    • 2003
  • 무선 정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에 대한 풍족감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많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이 개발 연구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의 표준으로 각광받고 있는 Bluetooth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블루투스가 자체 보안 요소는 좀 더 큰 네트워크에 적용하기엔 많은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의 일반적인 개요 및 블루투스의 보안에 관해서 알아보고 취약점을 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안전한 블루투스 조회과정에서의 안전한 연결을 거쳐 ECDSA와 그룹 키를 이용한 블루투스 피코넷의 형성과 유지 과정을 제안함으로써 블루투스가 가지는 자체 보안성의 취약점을 보완한 안전한 블루투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사용자 참여를 통한 미래 사용자 사용패턴 예측 방법론 제안>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UI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based on Bluetooth Handsfree Headset UI Design Project)

  • 조현재;김선아;이현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24-529
    • /
    • 2006
  • 짧은 기간에 비약적으로 기술이 발전하는 시대에는 사용자의 미래환경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태를 미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UI 디자인 개발을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제품 사용행태 예측 과정을 통해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차로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 사용자가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행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조사의 결과를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방법으로 구성하여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보조도구로 개발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주요 사용자 층인 10 대 후반에서 20 대 중반에 속하는 사용자 그룹이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변용 가능한 패션 액세서리를 선정하고 선정한 액세서리를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으로 가정하여 사용시의 그들의 사용 포즈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주사용자 층의 사용행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블루투스 헤드셋 개발팀내의 기획자, 기술자, 디자이너들이 제품의 개발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를 위하여 Macromedia Flash 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으로 제작하여 디자인을 위한 보조 툴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과 같이 사용자의 새로운 요구와 사용성이 기대되는 제품 UI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미래 요구사항을 예측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배경에서 시작되었으며,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사용자의 요구 파악 및 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제품과 사용자의 사용 포즈를 연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블루투스를 이용한 의료정보 신호의 전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Medical Information using Bluetooth Technology)

  • 엄정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20-52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여 휴대용 심전계로부터 취득한 심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블루투스란 2.4GHz 패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매우 적은 전력 소모특성과 고속의 주파수 호핑 방식에 따른 높은 신뢰성 및 자체 에러 정정 기술을 갖추고 있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간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현된 시스템과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전화, 노트북 및 개인 휴대용 단말기등간의 연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취득한 의료정보신호를 각종 무선 통신 기기를 통하여 병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블루투스 모듈과 호스트 부로 구성한 하드웨어 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성한 소프트웨어 부로 구성된다. 호스트 부에서 다른 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심전도 신호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적합한 패킷으로 바꾸어 모듈로 전송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에리 정정 코드를 추가하고 블루투스 주파수 호핑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송한다.

  • PDF

NBAS: NFT를 활용한 블루투스 장치 인증시스템 (NBAS: NFT-based Bluetooth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 황성욱;손성무;정성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93-801
    • /
    • 2022
  •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대부분의 블루투스 장치는 무선이라는 편리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소형 무선기기라는 특성으로 자주 분실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블루투스 장치에서는 합법적인 소유자에 대한 인증 기능 제공이 미흡하며, 분실된 블루투스 장치를 습득한 제 3자는 해당 기기를 손쉽게 자신의 스마트기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실이 잦은 블루투스 장치에서 NFT를 이용하여 합법적인 소유자를 인증하는 NBAS(NFT-based Bluetooth Device Authentication System)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NBAS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인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이더리움상에 디지털 지갑을 생성하고, 디지털 지갑에 블루투스 장치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NFT를 생성하고 보관한다. 지갑의 소유자는 개인키를 사용하여 NFT의 소유를 증명함으로써 블루투스 장치의 합법적인 소유자임을 인증하게 된다. NBAS는 평균 10.25sec의 초기 페어링 시간을 보였으며 재연결 시간은 0.007sec로 기존 방식과 비슷하며, 미승인 사용자에 대한 페어링 거절 시간은 평균 1.58sec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제안하는 NBAS는 미승인된 블루투스 장치의 연결을 방지하여 기존의 보안성이 약한 블루투스 인증 방식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을 보여준다.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설계 및 구현을 통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Educational Software Development through Bluetooth Protocol Stack Design and Implementation)

  • 최진섭;정중수;정태윤;이용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196-198
    • /
    • 2002
  • 오늘날 무선통신 기술은 기존 유선 통신방식에 추가하여 매우 주목받고 있는 정보통신 혁명을 주도하였다. 무선 통신에서 자체 피코넷(piconet)을 형성하여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은 많은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이제 액세스 망을 통해 공중망과 접속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핵심적인 기술을 교육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RS232 또는 USB 인터페이스로 접속된 PC에서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핵심적인 스택인 HCI, L2CAP, RFCOMM, SDP를 설계, 구현하였다. 아울러 PC 상에서 이러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체계적이고 쉽게 교육하고자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의 개발 환경으로는 윈도우 OS와 비주얼 C++을 사용하였다. 비주얼 C++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실장 된 펌웨어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개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