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블록 정합 기법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Block-based Disparity Estimation Algorithm Using Edge information (영상의 경계 정보를 이용한 블록기반 시차 예측기법)

  • 이병진;유지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2C
    • /
    • pp.121-128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isparity estimation method called object based block matching algorithm(OBMA) for stereoscopic images which is able to reduce the blocking artifact. In the proposed algorithm, edge information of the given image is first extracted and then we estimate the disparity of each segmented object to remove the blocking artifact. I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prove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about the same performance as the old BMA algorithm while it achieves much better subjective quality.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Using Fast Search Algorithm (고속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한 블록정합 움직임 추정)

  • 오태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T
    • /
    • v.36T no.3
    • /
    • pp.32-40
    • /
    • 199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st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 (S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center-biased motion vector distribution in the search area,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SEA with a reduced the number of the search positions in the search area, In addition, to reduce the computational load, this method is combined with both the reduced bits mean absolute difference (RBMAD) matching criterion which can be reduced the computation complexity of pixel comparison in the block matching and pixel decimation technique which reduce the number of pixels used in block matching.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existing fast algorithms and similar to full-search block motion estimation algorithm.

  • PDF

Fast Stereo Matching Using Graphic Hardware (그래픽 하드웨어를 이용한 고속 스테레오 정합)

  • Lee, Sang Hwa;Oh, Jun Ho;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62-26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하드웨어와 그래픽 프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스테레오 영상의 시차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컬러 스테레오 영상에 대하여 mean-shift 기법을 이용하여 컬러를 이용한 영역분할을 수행한다. 분할된 컬러 영역 단위로 가중치를 계산함으로써, 화소단위로 가중치를 계산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블록정합함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채택하여, 새로 블록안으로 들어오는 화소열과 빠져나가는 화소열의 정합함수값을 가감하여 화소마다 반복적으로 합산되는 정합함수의 계산량을 크게 줄인다. Middlebury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 및 평가를 수행한 결과, VGA 급 스테레오 영상을 기준으로 10 프레임 이상을 처리하면서도 기존의 적응적인 가중치를 갖는 블록정합 방식의 성능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속화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적응적인 가중치를 이용한 블록정합 방식에 비하여 훨씬 고속으로 스테레오 정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시차추정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an Adaptive Matching Block for Object Tracking (객체추적을 위한 적응적 정합 블록을 이용한 블록정합 알고리즘)

  • Kim, Jin-Tea;Ahn, Soo-Hong;Oh, Jeo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2
    • /
    • pp.455-461
    • /
    • 2011
  • In object tracking using the block mating algorithm, it is not proper to use a fixed matching block to track an object of which size may be various and can be changed at any time. This paper defines an adaptive matching block for the dynamic environment and proposes a block matching algorithm for it. The matching block is composed of a main-block of $10{\times}10$ pixels and 8 sub-blocks of $6{\times}6$ pixels in a wide area of $42{\times}42$ pixels, the main-block located its center is used as an object block, and the sub-blocks located its boundary are used as candidates for the object block.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the object blocks from the sub-blocks by using their motion vectors for 10 previous frames and performs the block matching with the main block and them. The experiments for perform estimation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just valid object blocks from the matching block and keeps an object having free movement in image center area.

Study on a Correction of Geometrically Over-Deformed Regions for Deformable Block Match Algorithm (왜곡 블록 정합 방식의 기학학적 오류 보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고기석;이우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339-342
    • /
    • 2002
  • 동화상 압축에서 사용되는 움직임 벡터는 영상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이전 영상과 가장 예측 오류가 적은 곳을 지정하여 예측한다. 블록의 이동 정도는 수직. 수평의 선형적인 움직임(translational displacements)을 가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화상에서 자주 나타나는 물체의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한 크기 변화. 회전. 일그러짐 등의 변화에 올바르게 예측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블록의 선형적인 이동은 물론이고 4개 노드를 자유롭게 움직임일 수 있는 왜곡된 블록 정합 방식의 움직임 예측 기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왜곡 블록 정합 방식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하학적인 오류를 수정하는 보정 방법에 관해 논의한다.

  • PDF

A NTSS of 3 Levels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Multi-Resolution (다중해상도를 이용한 새로운 3단계 블록정합 알고리즘)

  • Joo Heon-Si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6
    • /
    • pp.633-644
    • /
    • 2004
  • In this paper, we notice that the original NTSS algorithm can be proposed as the NTSS-3 Level algorithm by the multi-resolution technique. The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affects the speed by the patten combination and this paper proposes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in different levels by multi-resolution technique, quit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NTSS Patten.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requires the multi-candidat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low-image quality by the local minima problem. The simulation result compared to FS shows search speed 16 times quicker, and the PSNR 0.11-0.12[dB] gets improved Image quality compared to the original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NTSS, and the speed is improved up to 0.1 times for improved image by the search point portion.

An Efficient Spatial Error Concealment Technique Using Selective Edge-Oriented Interpolation (선택적 방향성 보간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적 에러은닉 기법)

  • Park, Sun-Kyu;Kim, Won-Ki;Jin, Soon-Jong;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77-8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블록 기반의 영상압축에 있어서 선택적 방향성 보간을 이용하는 공간적 에러 은닉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공간적 경계 정합 기법은 에지가 단순한 영역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손실 블록 내에서 에지의 변화가 큰 영역에서는 좋지 못한 성능을 보인다. 제안된 기법은 이웃한 상하 블록들을 이용하여 에지의 연결성을 추정하고, 이에 따라 공간적 경계정합 기법과 이동 스트라이프 정합 기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에지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우수한 복원영상을 구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은 슬라이스 단위의 에러에 대해 적합한 방식으로써, 복잡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객관적 주관적으로 우수한 복원 화질을 얻게 해준다.

  • PDF

Fast Adaptive Motion Estimation Considering Directivity (방향성을 고려한 적응적 고속 움직임 추정 기법)

  • Oh, Chang-Jo-Ui-Bull;Lee, Gang-Joon;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21-12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압축에 있어서 사용되는 새로운 고속 움직임 추정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전역 탐색 블록 정합 알고리즘(FSBMA)은 최상의 PSNR을 갖는 화질로 움직임 벡터를 추정할 수 있지만 높은 계산량으로 인하여 실시간 구현에 부적합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계산량을 낮추면서 유사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많은 고속 탐색 기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잘 알려진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수정 보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움직임 추정에서의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즘에 있어 변형된 다이아몬드(Diamond)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이 갖는 서로 다른 움직임 패턴에 대해 움직임의 방향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탐색 방향과 패턴을 달리하면서 움직임을 예측하여 다이아몬드(Diamond)탐색 알고리즘과 유사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보다 적은 계산량을 가지고 움직임 벡터를 추정학 수 있다. 또한 이를 PMVFAST(Predictive Motion Vector Field Adaptive Search Technique)와 결합함으로서 보다 좋은 화질을 가질 수 있다.

  • PDF

An adaptive search area adjustment of the block-matching algorithm for motion estimation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의 적응적 탐색 영역 조정 기법)

  • 오황석;서영호;이흥규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8B
    • /
    • pp.1109-1118
    • /
    • 2001
  • 움직임 추정 및 보상 기법은 비디오 코딩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나 많은 계산량으로 인하여 실시간 움직임 추정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비트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전역 탐색 기법의 블록 정합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탐색 영역을 적응적으로 줄여주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연속한 비디오 프레임에서 변위된 블록의 차이(displaced block difference)와 블록 구분 정보(block classification information) 등과 같은 상관성을 이용하여 탐색 영역의 범위를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전역 탐색 영역 기법과 비교하여 계산량에서 1/2의 계산량 이득이 있으며, 비슷한 MSE(mean square error)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 PDF

Hierarchical Stereo Matching Using Window Warping Technique (윈도우 와핑 기법을 이용한 계층적인 스테레오 정합)

  • 김재철;이호근;권순규;김희수;하영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663-66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정합시에 발생하는 투영적인 왜곡을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와핑(warping)을 이용한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방법을 제안한다. 투영된 영역에의 왜곡은 고정된 윈도우를 사용해서는 변위값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블록정합 시에 윈도우 와핑기법을 사용한다. 와핑이 이루어지는 지점은 이전에 구해진 변위값의 신뢰성에 근거해서 구해진다. 초기의 신뢰성과 변위값은 계층적인 정합에서 구해진다. 실험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정합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