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경험 디자인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세미나 - 브랜드 쇼핑백 디자인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선호도 (Consumer's Awareness and Preference on Brand Shopping Bag Design's Eco-friendly Resource)

  • 양초산
    • 월간포장계
    • /
    • 통권245호
    • /
    • pp.98-112
    • /
    • 2013
  • 친환경 디자인이란 환경과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제반 디자인 활동이나 경향을 의미하며, 최근 많은 기업체에서 친환경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일반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쇼핑백 디자인의 재활용 여부와 경험, 횟수, 관심도, 조형성 평가를 통해 주요 3개국(한국, 일본, 미국) 백화점 쇼핑백에 대한 일반소비자들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결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연구범위를 주요 3개국 고급백화점으로 제한하였으며, 분석 대상업체의 개수를 한국 4업체, 일본 4업체, 미국 6업체 등 최종 3개국 14업체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통계분석(spsswin18.O)하였다. 본 고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통권 제24호에서 발췌했다.

  • PDF

실내공기질 측정 및 관리를 위한 브랜드 서비스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Brand Service Design for Measuring and Managing Indoor Air Quality)

  • 김승범;김회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25-333
    • /
    • 2018
  • 우리나라 대기환경의 질적 하락으로 인한 영향과 주변환경에 의해 실내공기질은 매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인들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대기환경 뿐만이 아니라 실내공기의 질적 하락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방안은 설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에 대한 궁극적인 관리를 위해 측정과 관리를 위한 신규 브랜드의 기초설계 연구로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적용한 일반 소비자의 실내공기질 관리 행태에 대한 관찰을 통해 브랜드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서비스디자인의 설계로 일반가정, 일반 소형사무실, 공공시설의 이용행태에 대한 관찰과 현재 법률상의 이유로 시행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측정에 대한 프로세스를 관찰하여 기록한 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보편적인 문제점과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ZEPETO를 통한 패션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태도와 오프라인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10-2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Effect of Fashion Brand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and Offline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by using ZEPETO - A Case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their 10s and 20s -)

  • 최다희;송수민;장등예;고리;신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7-57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s of ZEPETO platform users on thei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 survey on 10-20 Korean and Chinese virtual fashion consumers was conducted. Brand experiences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offline purchase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mong the four factors of the brand experience, Korea and China have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Second, the brand experience of Korean consumers significantly impacted their brand attitude. Additionally,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brand positively impacted their brand attitude. Third, the brand experience of Chinese consum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brand attitud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brand experience, cognitive experience positively affected brand attitude. Fourth, the brand experience of Chinese consume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offline purchase inten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brand experience, cognitive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ir offline purchase intention. Overall, an emotional branding strategy that provides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must be implemented for the Korean market encouraging consumers to develop a positive and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brand. The Chinese market would benefit from formulating a reliable branding strategy that easily provides a wide range of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focusing on cognitive experiences.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재구매의도 결정요인: 죠링허우(90後)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Repurchase Intention on Smart Phone for Post-90th Generation in China)

  • 박현재
    • 무역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39
    • /
    • 2017
  • 최근 세계 1위 시장인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급경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회사들이 빠른 속도로 부상 중이며,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중국에서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한 죠링허우(90 後)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자아이미지일치성(SIC)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브랜드요인, 개인적경험요인은 재구매의도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기타 다른 요인들(디자인요인, 가격요인, 기능적요인)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SIC는 브랜드요인과 재구매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지만, 개인적경험요인과 디자인요인은 SIC의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죠링허우를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하여 어떻게 명품브랜드로 육성할 것인지 그리고 개인적 경험요인을 어떻게 증강시킬 것인지 고려해야한다. 또한 SIC를 강하게 느낄수 있도록 브랜드 관련 다양한 마케팅 활동 및 이미지 제고에 노력해야한다.

  • PDF

장소 브랜딩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삼성, 애플의 체험 매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place branding -Focused on the experience store of Samsung and Apple-)

  • 정승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93-298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체험 매장에서 장소 브랜딩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들이 보급을 넘어 포화상태가 되면서 IT업계들은 사용자들에게 경험 측면을 통해 구매욕을 높이고 있으며, 체험 매장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임으로써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 애플로 국한하여 연구하였고, 체험 매장 간의 장소 브랜딩이 미치는 영향을 정성, 정량적 측정을 통해 분석하고 사용자들 장소 브랜딩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총 8명의 피실험자에게 태스크를 준 후 참여 관찰법을 통해 실험하고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체험이 사용자들에게 유의미한 효과를 내고 있었지만 각 브랜드 간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험자 위주의 경험 요소를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능성의류 인식에 따른 소비자 분류와 이에 따른 제품정보 및 행택 활용도 연구 (Consumer Categorization Based on Perception of Functional Jacket and their Utilization of Functional Information and Hang-tag)

  • 방기성;유신정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75-86
    • /
    • 2015
  •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기능성 의류제품의 효과적인 정보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 중 일부로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과 행동양식에 따라 응답자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시 활용하는 정보원과 행택에 대한 행동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경험이 있는 20~60대 남, 녀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은 '기능성', '가격', '경험/지식', '브랜드/디자인'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에 따라 응답자들은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 '고가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인터넷을 정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20대, 30대의 회사원과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의 경우에는 행택(Hang-Tag)을 정보원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문직의 40대, 50대가 주를 이루었다. '고가제품 선호집단'은 60대 이상,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판매원을 정보원으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정보제공에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이었으며 성능정보 관심도가 떨어지는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오히려 상대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재킷 소비자 유형의 특징과 성능 정보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기능성 의류제품의 성능 정보 제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NS 쇼핑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in SNS shopping service -Focused on Instagram-)

  • 김고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07-41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밀레니얼 세대의 인스타그램을 통한 쇼핑으로 한정하여 더 구체화한 SNS 쇼핑 서비스에의 쇼핑경험을 측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ISAS 구매 단계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병행하여 SNS 쇼핑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정성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미적 경험은 Attention(주의) 단계와 Interest(흥미) 단계에서, 감성적 경험은 Action(구매) 단계와 Share(공유) 단계에서, 인지적 경험은 Search(검색) 단계에서 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SNS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지만, 본 연구에서 SNS 쇼핑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의 맥락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향후 SNS 쇼핑 서비스 제공 시 기존의 모바일 쇼핑 서비스와 차별화한 브랜드 및 서비스 전략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 이주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3-38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린 소비자를 위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채널 브랜드 제안 (Branding for TV Channel Focusing on Well-being Lifestyle of Green Consumers)

  • 김예지;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7-131
    • /
    • 2016
  • 종합편성채널의 도입으로 인해 시청자들의 욕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채널 경쟁이 날로 과열되고 있다. 지속적인 웰빙(Well-being)과 그린소비 열풍으로 인해 웰빙 채널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채널 브랜드 전략 사례 및 국내 웰빙 라이프 프로그램에 관하여 현황조사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의, 식, 주 전반에 관한 웰빙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은 존재하지 않으며 교양, 오락 등의 프로그램에서 단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임을 파악하고 웰빙 라이프 채널 브랜드 전략을 제안하고 채널 브랜드 마크와 스테이션 ID(station Identification) 제작하였다. 채널 브랜드 전략과 디자인의 객관적 검증을 위해 환경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체로 해당 채널의 필요성과 연구자가 제안한 컨텐츠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브랜드마크와 관련된 가독성과 같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를 개선하였으며 비교 검증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브랜드마크에 대해 이전과는 달리 긍정적인 결과가 타나났다. 본 연구가 향후 그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웰빙 라이프 스타일 채널 제작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한국과 중국 우유 포장 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 - 한 중 흰 우유 Top 4위 중심으로 - (Korea and China milk packaging association comparative study - Korea and China top 4 white milk as the center -)

  • 호민;김기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9-310
    • /
    • 2014
  • 지난 수십 년간 괄목할만한 경제성과 정치 사회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최근에는 국재화의 흐름 속에서 또 다른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품의 포장디자인은 <무언의 세일즈맨>이라고 말할 수 있고 브랜드 시각이미지 디자인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분 논문은 흰 우유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 판매량 TOP 4위인 흰 우유업체의 흰 우유 포장디자인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다. 디자인의 표현 요소와 포장 이미지를 분석하고 포장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시각 조형적 요소의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