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감정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9초

영상 몰입도에 따른 중간광고 배치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짜증 정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terstitial Position of In-program Advertising based on the Engagement to the Media Contents on Consumer Behavior: Focusing on the Irritatioin)

  • 이류함;고서진;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5-195
    • /
    • 2018
  • 본 논문은 시청하던 영상이 중단되고 광고가 삽입되는 시점에서 유발되는 소비자들의 감정이 광고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시청하던 영상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영상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짜증을 더욱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이 느끼는 짜증은 부정적 감정일치 현상으로 인해 광고 제품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편으로는 짜증을 느끼는 시점에서의 고각성 상태는 광고 제품의 브랜드 기억(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간광고가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이끄는 매커니즘으로서 짜증이라는 감정의 역할을 탐구하였으며 짜증이라는 부정적인 감정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긍정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해당 연구의 폭을 넓혔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중간광고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브랜드 태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Br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Food-Franchised)

  • 앙지안;이상윤;이동한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3권1호
    • /
    • pp.26-45
    • /
    • 2012
  • 최근 기업들이 마케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브랜드 경험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마케팅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자사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체험을 경험하도록 하여 충성도를 제고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이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은 채 다양한 분야의 산업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 정보공개서에 등록된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모두 3,034개이며, 이 가운데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145개로, 지난 10년간 양적인 성장을 거듭해 오면서 경쟁이 매우 치열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 상황 하에서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오감을 통한 반응이나, 브랜드에 대한 연상, 그리고 매장을 직접 방문하면서 느낀 행동 요인들이 포함된 브랜드 경험과 브랜드를 살아있는 대상으로 인식하여 인간의 특성을 브랜드에 부여하여 형성된 이미지를 의미하는 브랜드 개성이 모두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브랜드 경험이 개성보다는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경험과 브랜드 개성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재 구매 의도 또한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두 가지의 구성개념 간에 영향력의 크기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태도는 재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매 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같은 결과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형성이 외식프랜차이즈 브랜드의 단골 고객 확보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경험, 브랜드 개성이 모두 재 구매 의도와의 관계에 브랜드 태도가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또한 브랜드 개성보다는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태도를 매개하여 재 구매 의사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연예인에 대한 브랜드애착의 선행 및 후행변수들에 대한 연구 (Investigating Antecedents and Consequents of Brand Attachments to Celebrities in Korean Wave)

  • 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3호
    • /
    • pp.249-270
    • /
    • 2012
  • 본 연구는 휴먼 브랜드로서 한류연예인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는 요인 및 그 애착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휴먼브랜드에 대한 연구에 대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동시에 한류의 효과 및 앞으로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람 대 사람의 관계에서는 충성도보다 애착(attachments)이라는 표현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많은 마케팅 연구자들이 해당 브랜드의 마케팅 성과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류연예인의 능력보다는 자아일치성과 신뢰가 더욱 브랜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감성적인 부분이 연예인 평가에서 더 크게 작용해서 그런 것이 아닌지 유추해 볼 수 있다. 특히, 자아일치성의 개념은 아무래도 이성적 보다는 감성적 측면에서 해당소비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측면이라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대체로 연예인에 대한 평가에서는 감정적 측면의 평가가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한류연예인의 확장제품으로 가치에 대한 영향 및 국가 이미지 개선효과를 검증한 결과, 해당 과거 일반 브랜드에서 수행된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광고모델이 좋으면 광고되는 제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해당브랜드의 차기 후속모델에 대한 관심을 높이며, 새로운 분야로의 브랜드 확장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소비자-브랜드 감성적 관계에 대한 사랑의 삼각이론적 접근 -이동통신 서비스와 단말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Approach on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based on Triangular Theory of Love -With focus on Mobile Phone Service and Product Brands-)

  • 최원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7-43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하며 전략적인 브랜드 사랑을 사랑의 심리학적 측면에서 계량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에서 브랜드 사랑은 어떠한 의미인가? 브랜드 사랑은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소유를 통해 그들의 삶에 의미를 더하며 자신을 표현함으로써 브랜드를 사랑한다. 사랑이야말로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가장 대인관계 차원에서 이해하는 척도이며, 감정 이입적 파트너십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은 브랜드 이미지, 신뢰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를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우위까지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랜드의 위기 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오히려 관계의 전환점으로 작용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 강도를 더욱 상승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시대적, 이론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의 감성적 관계로서의 사랑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하였다. 사랑 이론과 분류 가운데 대표적인 Sternberg의 삼각이론을 중심으로 브랜드 사랑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동통신서비스와 단말기 브랜드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통해 552개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발견된 브랜드 사랑 유형은 Sternberg의 사랑 유형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제품 유형에 따라 브랜드 사랑 유형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서 브랜드 사랑이라는 개념은 중요한 전략적 아이디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이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xury Brand Marketing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Customer-Based Brand Equity)

  • 황유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35-951
    • /
    • 2013
  • The recent entry and heated competition of numerous fashion brands in the luxury fashion market have all compelled luxury businesses to change. The issue of brand equity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areas for luxury marketing management. Despite strong interest in the subject, there is little evidence of how brand equity is created by marketing activities and what their effects are.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luxury marketing activities on the brand equity of luxury items, utilizing Keller's (2001) 'CBB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onceptual model for brand signature, heritage, premium price, controlled distribution, and promotion on customers' view on brand equity was tested. To test the hypothesized building paths of luxury brand equity,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an AMOS 7.0 program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First, luxury brand equity was defined in terms of four components (brand awareness/association, customer judgment, customer feeling, and customer-brand resonance). Second,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partially significant. We can provide an effectiveness of Keller's CBBE model to conceptualize the building process of luxury brand equity; subsequently, marketers should develop core elements to position a brand strategy to create a competitive advantage.

패션 브랜드 자산가치(資産價値)의 구성요인(構成要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 진(Jeans)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 Emphasis on Jeans brands -)

  • 이지원;나수임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117-146
    • /
    • 2006
  • The brand equity is defined differently as each view of careers such as consumers, producers, distributors, however, the brand loyalty can be thought to be made from consumers, which means that it can be more reasonable to be looked into as part of consumer rather than financial affairs or account. The brand equity based on the customers' perception can be called the preference that it be made after the presence of brand. The value of the brand that consumers feel emotionally is as important as the value of the brand in the real marke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rand loyalty in the future by the consumers' inclinable feeling to the brand. This inclinable feeling to the brand can be connected to the purchase, however,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consumer's emotional attitude to the brand is less considered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brand awareness and the brand experience after using it, the identity as perceived quality, brand personality, consumption emotion, the brand image and how the consumer emotionally feel the brand, the brand loyalty for fashion br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how to build the value of the fashion brand equity after investigating into those factors.

캐주얼 브랜드 자산의 측정에 관한 연구 (How to Measur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of Casual wear)

  • 김혜정;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660-167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the casual brand equity measurement, utilizing Heller 5(2001) ‘CBBE(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rom May to November in 2001. In the exploratory step, focus-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5 times for gathering responses related to fashion equity. In Pilot study, 945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and to develop questionnaires. In the main research, 696 university students evaluated three brands in order to compare their equity that were formed in customers' percep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 and LISREL 8.12 program using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sual brand equity was defined in terms of six components; customer-brand resonance, customer feeling, customer judgment, brand imagery, brand performance and brand awareness. Second, casual brand equity was multi-dimensional brand attitude, which could be measured by 23 items that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measurement such as Aaker's ‘Brand Equity Ten' and K-BPI.

고객평가에 기초한 패션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The Components of Consumer-Based Fashion Brand Equity)

  • 김혜정;임숙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6호
    • /
    • pp.680-696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customer-based fashion brand equity which was built from customers´perception to equity. As a method, bot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were made. This study performed in three stages from May to November in 2001. In the exploratory step. focus-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5 times for gathering responses related to fashion brand equity, and free association test of 17 respondents was additionally conducted. In pilot study, 40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and to develop questionnaire. In the main research, 905 university students evaluated fashion brand equity in order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in customers´percep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 program using factor analysis, cronbach´α, frequency, and me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ellows. First, fashion brand equity was defined in terms of four components; customer-brand resonance, brand imagery/customer feeling, brand performance/customer judgment and brand awareness. Second, fashion brand equity was multi-dimensional brand attitude, which could be measured by 29 variables that were different from uni-dimensional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 PDF

개인정보 우려가 MZ세대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짜증, 광고회피의 매개효과와 브랜드충성도 조절효과 (The impact of privacy concerns on MZ generation's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s of advertising irritation and ad avoida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brand loyalty)

  • 김익수;손수연;현병환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13-25
    • /
    • 2024
  •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개인화 광고의 발전과 함께 발생한 개인정보 우려 및 광고 짜증과 같은 부정적 감정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정보 우려는 광고 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광고 짜증과 브랜드 회피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광고 짜증은 광고 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회피나 구매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광고 회피는 브랜드 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 회피와 브랜드 회피 모두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광고 짜증은 개인정보 우려와 광고 회피 사이를 완전히 매개하지만, 개인정보 우려와 브랜드 회피 사이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광고 회피는 광고 짜증과 구매 의도 사이를 완전히 매개하지만, 브랜드 회피는 광고 자극과 구매 의도 사이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MZ세대의 특성을 고려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등대의 브랜드화로 해양문화 활성화

  • 김정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515-518
    • /
    • 2009
  • 감성의 시대를 맞이하여 인간의 감정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정책에 도입하여, 등대를 편안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트랜드로 브랜딩하고 나아가 해양분화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