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편감 종류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ffects of Blanket Application on Reducing Cold Discomfort after 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후 적용한 담요의 종류가 저온불편감 회복에 미치는 효과)

  • Kim Myung-Hee;Kim Ju-S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9 no.2
    • /
    • pp.237-245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cold discomfort according to the type of blanket used after surgery. Methods : Women scheduled for Cesarean Sec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fter the surgery, 30 patients were covered with a warming blanket which was set at $40^{\circ}C$ by the warmer and the other 30 patients were covered with an ordinary blanket. Both group's cold discomfort was measured at 5 time points using a mercury thermometer, shivering scale. an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ean scores with t-test, paired t-test using the SPSS/WIN program. Result: At 30 min after being covered with the blanket, the axillary temperature had returned to the pre-operation temperature in both groups. At 45 min after being covered with the blanket, the women in the warming blanket group had no further shivering but for those in the ordinary blanket group shivering continued. At 45 min after being covered with the blanket, the women in the warming blanket group had returned to the condition before surgery, but those in the ordinary blanket group continued to complain of cold sens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use of a warming blanket helps to relieve cold discomfort following surgery.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data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complaints and objective data about cold discomfort.

  • PDF

A method of Pseudo-stereoscopic image detection and correction (Pseudo-stereoscopic 영상 자동 판별 및 보정 방법)

  • Park, Young-Soo;Hur, Nam-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244-247
    • /
    • 2010
  • 입체 영상의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바뀐 'pseudo-stereoscopic' 영상에서는 올바른 입체감을 느끼기 어려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 눈으로 보고 'pseudo-stereoscopic' 영상 여부를 판단하여 두 영상을 바꿔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입체 영상 사이에 갖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pseudo-stereoscopic 영상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꿔주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체 영상으로부터 카메라의 종류를 확인하여, 교차축 카메라의 경우는 교정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한 쪽 영상에서 선택한 비교 영역과 다른 쪽 영상의 대응 영역 사이의 변이 값을 비교함으로써 pseudo-stereoscopic 영상을 판단하고, 올바르게 바꿔줌으로써 시청자가 올바른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Wearing Tests of Mastectomy Brassieres with Prostheses (유방절제환자를 위한 보정용 브래지어와 부속물 착장실험연구(III))

  • Hei-Sun Choi;Kyung Mi Lee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13-2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절제수술을 받은 여성들을 위해 개발한 다섯 종류의 브래지어와 두 종류의 보정물 유형에 따른 착용감과 쾌적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피험자로는 유방절제시술기간이 3년 이상이며 브래지어 사이즈 85에 컵사이즈 A컵인 여성 세 명을 선정하였다. 실험방법은 보정물을 삽입한 브래지어를 하루에 최소 15시간 이상 연속착용하도록 하고 실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피험자들의 일상과 그에 소요된 시간을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이 때 착용한 브래지어와 보정물에 대한 느낌을 5점 척도로 표시하게 하였다. 실험기간은 다섯 종류의 브래지어를 하루에 한 가지씩 정해진 순서대로, 처음 5일은 옥보정물과 함께 착용하도록 하고 그 후 5일은 스펀지 보정물과 함께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순서를 두 번 반복하게 하여 총 20일이 소요되었다. 각각의 피험자들에 대해서는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반복적인 면접을 통하여 진행상황을 기록하였으며 아울러 실험복에 대한 제언을 수렴하여 보다 나은 제품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화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래지어에 있어서는 세 명의 피험자가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어 일반적인 브래지어 형태와 가장 유사하면서 어깨 끈과 하변밴드 폭만 약간 넓혀준 실험복이 착용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착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앞트임으로 제작한 실험복의 경우에는 앞으로 구부렸을 때 밴드부분이 꺾이는 현상이 생겼으며 피험자들이 모두 뒤트임에 익숙하여 앞트임 브래지어 착용에 불편함을 나타내었다. 브래지어 착장평가에 있어서는 피험자들의 일상적인 행동이나 보정물의 종류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정물 평가에 있어서는 모든 피험자가 옥가루 재질의 보정물만으로는 수술부위를 자극하는 느낌이 든다고 하였으나 3mm 두께의 스펀지와 함께 삽입했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정물의 무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실리콘재질의 보정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무게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피험자는 없었다. 그러나 스펀지로 제작된 보정물에 대해서는 무게가 너무 가벼워 모든 피험자들이 양 쪽 가슴의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고 답하였으며 특히, 운동을 즐기고 활동이 많은 피험자의 경우 스펀지로 제작된 보정물에 대해 큰불만을 표시하였다.

A study of affective circumplex model on gesture property (동작 속성에 따른 정서 차원 분석)

  • Yoo, Sang;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79-1386
    • /
    • 2006
  • 전자우편이나 문자 메세지를 이용할 때 겪는 불편함 중 하나는 상대방이나 기계에 정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서 정보를 메시지에 싣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디지털 기기가 정서를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정서를 입력해야 한다. 기존의 정서 인식 방법은 생리적, 신체적 측정치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 경우 측정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현재 자신의 정서 상태와 다른 정서를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때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서를 기계에 입력하기 위해 동작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Fargerberg, Stahl, & Hook, 2003). 본 연구에서는 Laban Movement Analysis에서 동작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 중 노력(effort)과 모양(shape) 요소를 재구성하여, 방향성 차원, 무게감 차원, 시간감 차원으로 동작을 구분하고 총 20개의 동작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덕웅과 강혜자(2000)가 수집한 834개 정서 어휘를 평정하여 동작을 통해 표현하고 전달되기 쉬운 정서 어휘 50개를 선택하였다. 최종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20개의 동작에 대해 50개의 정서 어휘를 평정하고 데이터는 범주형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ussell(1980)의 이차원 정서 구조 모형에서 각성 수준 차원은 동작의 무게감과 시간감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하고 빠른 동작일수록 각성 수준이 높은 정서가 나타났다. 또한 동작의 방향성 차원은 정서의 종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선 움직임은 높은 각성 수준의 부정적 정서와, 흔듦 움직임은 불안 및 초조와, 원형 움직임은 즐거운 정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작을 통하여 정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동작과 정서를 연관 짓기 위해 방향성 차원과 무게감 차원 그리고 시간감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Prospect users' perceptions of TSI technologies: An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adolescents (실감공간기술(Tangible Space Initiative)에 대한 잠재적 수용자의 인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Yang, Yeon-Hee;Yang, Hae-Young;Kim, Joo-H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98-60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실감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반응을 바탕으로 향후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조언을 하기 위하여 총 4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소집단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의 종류와 이유, 미디어 사용에서 느끼는 불편한 점, 그들이 상상하는 미래형 미디어의 모습과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반응을 묻고, 그 결과를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가자들은 자주 사용하는 미디어로 휴대폰과, 인터넷, MP3, 활자 매체 등을 꼽았다. 활자매체의 장점으로는 높은 몰입도를, 인터넷의 장점으로는 편리한 인터페이스, 핸드폰의 장점으로는 이동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핸드폰과 관련하여 청소년들은 불편한 인터페이스, 작은 용량과 빨리 닳는 배터리를 단점으로 지적했고 뉴미디어 공통적으로 느린 속도, 미디어에 의존하게 되는 강박증적 증세, 사생활 침해의 문제와 대인관계유지에 있어서의 부작용, 높은 이용료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들은 일상생활이 미디어 이용에 의해 방해받고 있으며 미디어 이용으로 인해 불필요한 '필요'가 생겨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래형 미디어에 대한 바람은 기존 미디어의 단점이 보완, 개선되는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더욱 편리해진 인터페이스와 기존 뉴미디어의 장점이 접목되는 방향의 미디어 통합도 요청되었다. 그러나 실감공간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을 수적으로 우세해 주목을 끌었다. 진화된 형태의 미디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실감공간기술이 기존의 면 대 면 대인관계를 파괴할 것이며 사생활을 침해하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등의 거부감과 공포를 구체적으로 피력한 것이다. 이러한 두려움(fear)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새로운 매체에 대해 갖는 두려움과 이로부터 발생하는 두려움에 대한 대응은 혁명적 변화의 가능성을 억압하여 기존의 질서와 새로운 질서가 공존하는 기간을 늘림으로써 미시적 차원에서 단절적 역사의 경험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연구 결과 나타난 실감공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즉 인터뷰 참가자들이 피력한 두려움은 뉴미디어 도입과 함께 반복되는 현상이며 이것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두려움은 기존 질서와 새로운 질서가 공존하는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완충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향후 기술 개발과 확산 과정에서 실감공간기술의 긍정적인 면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수용자들의 바람과 신기술에 대한 공포감을 이해하고 이를 기술 개발 방향 설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자세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 PDF

The Change in the Amounts of Proteins and Lipids Deposited on Soft Contact Lens Caused by Drinking (음주로 인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및 지질 침착양 변화)

  • Kim, So Ra;Lim, Shin Gyu;Bae, Seok Chun;Choi, Jung Hyun;Park, Sang Hee;Park, Miju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7 no.2
    • /
    • pp.233-239
    • /
    • 2012
  • Purpose: In the study, the change of protein and lipid deposits on soft contact lens by drinking was investigated. Methods: Fifty male subjects wearing soft contact lens were surveyed whether they felt any discomfort induced by drinking or not. Further, 32 male subjects who has no ocular disease drank 190 mL alcohol. The protein and lipid deposits on soft contact lens (etafilcon A material) of subjects were measured after 4 hours later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n-drinking subject. Results: When subjects drink alcohol with soft contact lens on, 58% of subjects answered they experienced the change of lens awareness such as stiffness, blurry sight, dryness and so on. The protein deposit on soft contact lens increased an average of $59.3{\mu}g/lens$ by drinking and the case of more than double in protein deposit was reached in 9 eyes. However, the protein deposited on soft contact lens was lysozyme which was unchanged by drinking. The amounts of cholesterol and methyl oleate after drinking were 85.5% (p=0.25) and 52.6% (p=0.002) of non-drinking's indicating some change of lipid deposit on soft contact lens by drinking.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e composition of protein and lipid deposited on soft contact lens was changed due to drinking. Thus, it is suggested that wearing soft contact lens when drinking might be one of the reasons to feel discomfort.

Changes in Centration of Contact Lenses on Cornea and Blink Rate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isposable Lenses (일일 착용 렌즈의 착용기간 초과시 유발되는 렌즈의 중심 안정 위치 및 순목횟수 변화)

  • Park, Mijung;Yang, Jae Heon;Kim, Sun Mi;Park, Sang-Il;Park, Sang Hee;Kim, So Ra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3 no.4
    • /
    • pp.51-58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assessed to investigate adverse effect induced by overuse of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CL). Methods: Three disposable lenses (etafilcon A, hilabilcon A, and nelfilcon A) were applied to 19 normal subjects free from any eye diseases for either a single day or variable periods by when subjects complained any discomforts. On the first and last days, localizations of lens' center on corneal surface and blink rates were recorded at every case. Results: Among CL wearers, 10.5% and 47.4% of total subjects quit wearing on the second day and third day, respectively. The case of stopping disposable lens wear wa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extended hour of lens application. On fourth day, 70.2% of CL wearers reported severe discomforts such as redness, dryness, irritation, pain and blurred vision. When subjects stopped CL wear, decentration of lens from the center of cornea was observed when it compared to the case of single usage of disposable CL. Also about 80% of total subjects showed increased blink rate when CL were worn for more than 2 days. These changes in lens centration and blink rate were consistantly shown regardless of lens types. Conclusions: Blurred vision and acute/chronic discomforts could occur to CL wearers by decentration of lens and increased blink rate when CL were overused more than 2 days even the numbers of two parameter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variable by each subject or lens types. Therefor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ens types is critical to prevent adverse effects may induced by overusage of disposable lens.

  • PDF

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es in Korea on the Effects of Aromatherapy to Relieve Pain (아로마테라피의 통증 감소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논문 분석)

  • Park, Jeong-Sook;Park, Jeong-Eon;Yang, Jang-Soon;Kwak, Hye-Weon;Han, Jung-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4 no.1
    • /
    • pp.8-19
    • /
    • 2011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research trends and provides fundamental data related to curative power of aromatherapy to relieve pain in Korea. Methods: The study analyzed 44 experimental studies on human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before the end of December, 2009. The key words used for searching were: aroma, aromatherapy, hyang-yobeob, hyanggi-yobeob, hyanggichilyo, aromatherapy and pain, headache, scapulodynia, omodynia, feeling uncomfortable in the perineal region, sense of pain, labor pains, arm pain, menstrual pain, aches, and dysmenorrheal. Those words were found on websites, including those for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ISS, KoreaMed, and NDS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essential oils to relieve pain is composed of three to four kinds of oils, including Lavender, Roman chamomile, Rosemary, and Clarysage. Aromatherapy is applied usually by means of massage (50%), inhalation (13.6%),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 two (13.6%). Measuring instruments as a dependent variable include VAS, questionnaire, GRS, blood pressure, pulse, and Algometer. Aromatherap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othing headaches and arthralgia. However, when it comes to labor and menstrual pain, it doesn't seem to be effective.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different kinds of oil, frequencies, and periods of time are used for the same symptoms. Further research should employ standardized oil blending, application, duration, and measuring instruments, and more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aromatherapy to establish the effects on relieving pain.

Study on a Linking Strategy between the Flood Damage Prediction Map and System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시스템 연계 전략 수립에 대한 연구)

  • Jung, Da Som;Hong, Sung Soo;Jung, Young Hun;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0-590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풍수해의 발생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연재해 예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이다. 또한 풍수해와 관련하여 정부 및 지자체에서 재해지도를 작성하고 있으나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재해지도를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있다. 결국 호우, 산사태, 바람 등 각각의 재해에 대해 여러 시스템에서 자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자료, 지역 등에 따라 사용자가 시스템을 찾아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존재하며 전국이 아닌 일부 지역만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각 기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종류와 제공형태가 시스템별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작업을 해야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국민안전처에서 추진하는 '풍수해저감 종합계획'의 활성화를 위해서 통합적인 재해지도 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관련기관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활용자료, 구성도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한 연계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풍수해 피해예측지도의 공동활용을 위한 표준연계모듈 적용방안을 제시하여 추후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구축 및 피해예측지도 작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Effect of Circle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in Clinical Application on the Eyes (써클 및 동일 재질 콘택트렌즈의 임상 적용시 눈에 미치는 영향)

  • Park, Sang Hee;Kim, So Ra;Park, Miju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6 no.2
    • /
    • pp.147-157
    • /
    • 2011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ircle lens wear and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pigmentation in blinking rate, non-invasive tear break-up time (NIBUT), and lens surface between circle and soft contact lens wear during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Eighty subjects were surveyed to know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circle lens. Blink rate, NIBUT of 20 subjects in twenties were measured after separately wearing soft contact lens and circle lens for 5 days. Their lens surfaces were also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Fifty percent of circle lens wearers answered that major reason for changing circle lens was discomfort and 67% of answerers wore circle lens more than 6 hours a day. The tendency of increased blink rates in both wearers of circle and soft contact lens at 30 minutes later when tear film stabilized and 3 hour after lens wearing was shown on the 1st, 3rd and 5th day with expanding wearing time. Especially at 3 hours after lens wearing on the 3rd and 5th day, the difference of blink rates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circle lens wear and soft contact lens wear. The NIBUT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and circle lens wearers were 6.0 and 3.7 secs, respectively, at 30 min later on 1st day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NIBUT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and circle lens wearers were also statistically different 3 hrs after lens wearing on the 1st day and the similar pattern of NIBUTs was shown on the 3rd and 5th day. The roughness of both surfaces in soft contact lens and front surface in circle lens was same. However, pigmented front surface of circle lens was rougher and uneven. Conclusions: As the results, the circle lens wearers might feel discomfort in clinical application since the difference in lens surface of circle lens would change lens wettability during wearing. The difference by tinting contact lens was shown from the result, which could help better wearing circle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