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쾌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A Clinical Review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 Hwang, Gul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5 no.1
    • /
    • pp.14-21
    • /
    • 2007
  • Premenstural dysphoric disorder(PMDD) imposing 4-5% of women is possibly caused by an enhanced responsiveness to the changes of sex steroid hormones and the decrease of serotonin, melatonin and GABA. The common clinical features between PMDD and depression, seasonal affective disorder, panic disorder and anorexia nervosa suggest a relatedness between PMDD and each of them.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IV-Tr for PMDD requires psychological symptoms, that commonly include irritability, anger, depression, mood swing, affect lability, tension, anxiety, fatigue and food craving. As of today, the best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PMDD is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er, and leuprolide, danazol, estradiol, spironolactone and bromocriptine are possible alternative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ymptom severity are diet, exercise, light therapy, psychotherapy and keeping a diary.

  • PDF

Quantific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y Single-Channel Brain Wave (단일 전극 뇌파에 의한 쾌,불쾌 감성의 정량화)

  • 최정미;황민철;배병훈;유은경;오상훈;김수용;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99-204
    • /
    • 1997
  • 뇌전위에서 개인차가 없는 일반적인 규칙을 지닌 두 개의 정보 변수, 즉 ILF와 LHF 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반성을 지닌 정보 변수가 청각, 후각, 촉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쾌하거나 불쾌한 감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전두엽에서 그 경향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전두엽의 뇌전위에서 감성 자극이 주어지기전과 자극이 주어지는 동안의 ILF, IHF값을 정규화함으로써 새로운 변수, Relative Quantified Emotional State(RQES)을 구현하였다. RQES는 쾌, 중립, 불쾌한감성의 정도를 선형적으로 정량화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전극으로 측정한 전두엽부분의 뇌전위로부터RQES 값을 계산하면 인간의 쾌, 불쾌 감성을 신뢰도있게 정량화 할 수 있다.

  • PDF

3.0시대 건강수명 120세를 위하여 1 - 찜통더위에 샘솟는 짜증 불쾌지수야 물러가라!

  • Geum, Gyo-Yeong
    • 건강소식
    • /
    • v.38 no.8
    • /
    • pp.8-9
    • /
    • 2014
  • 무더위에 높은 습도까지 겹친 날씨가 지속되면 쉽게 짜증이 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 부정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몸이 나른해지고 입맛이 떨어지며 심한 경우 대사기능에 불균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폭염과 불쾌한 습도에 현명하게 대처하고 건강까지 지켜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Batter's Performance and Discomfort Index using Big Data: focusing on the Number of Pitches and On Base Percentage (빅데이터를 활용한 타자의 출루 관련 경기력과 불쾌지수의 관계 분석 : 투구 수 유도와 출루율을 중심으로)

  • Kim, Semin;You, Kangsoo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61-66
    • /
    • 2020
  •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data to operate games, seasons, and teams in professional basebal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llected baseball game record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base rate and pitching count induction, and this was defined as the third record for non-game factors such as discomfort index, which includes the weather application data. When the discomfort index was over 75, the pitcher's induction of pitching was high, and when the discomfort index was less than 69.9, the on-base rate was high, but when the discomfort index was 70 or more and less than 75, the batter's on-base performance was the lowest.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discomfort index, the batter's on-base rate, and the number of induction pitches are related, and that it is highly likely to be related to the pitcher's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defining a cumulative/ratio record defined as the primary record and a saver metric defined as the secondary record, and a third, tertiary record linking data outside the game.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alatability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따른 맛 선호도 및 식품섭취 변화)

  • 정범석;김창윤;이철;장남수;김지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35 no.3
    • /
    • pp.314-321
    • /
    • 2002
  • Women with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 report increased cravings for certain foods and altered taste preferences ding the premenstrual perio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MDD with luteal phase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references in 1,078 nurses. Among the 626 nurses who gave valid responses, the prevalence of PMDD and premenstrual syndrome (PMS) was 4.6% (N = 29) and 78.3% (N = 490), respectively. A high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preference for sweet tasting foods during the luteal phase, compared to the follicular phase. Desire for sweet foods during the premenstrual perio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eing highest in the PMDD group, lower in the PMS group, and lowest in women with no symptoms. Both the PMDD and PMS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preferences for pungent tasting foods during the luteal phase. A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on the taste preference data revealed that the desire for sweet tasting food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for others such as salty, sour, and pungent tastes. A greater proportion of the subjects in the PMDD and PMS groups reported an increase in their total food intake during the luteal phase, compared to those women without premenstrual symptoms. Compared to the PMS group or the women with no symptoms, the PMDD group reported increased intakes of high carbohydrate foods during the luteal phase. The most commonly reported food cravings were for sauteed spicy rice cakes (ddukbokki), or for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in chili pepper sau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uteal phase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references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severity of the premenstrual symptoms.

An Experiment of Discomfort Glare from Non-uniform Glare Source (불균일한 휘도를 갖는 창면의 불쾌글레어 평가실험)

  • Shin, Ju-Young;Kim, Jeong-Tai;Kim, Won-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2
    • /
    • pp.1-9
    • /
    • 2009
  • Impact of daylighting on the visual environment can improve occupant's well-being by providing visual comfort. Also, daylighting can save energy. However, glare from window can be a direct hazard to vision and can cause serious discomfort. Selecting glare source on a window plane is very important for evaluating discomfort glare from windows. But former glare indices can not identify the range of the glare source properly. In this study, difference in glare sensation with uniform and non-uniform glare sources are evaluated to identify the range of the glare source. The glare source was assumed as $120{\times}120[cm]$ window model. The window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different luminance valu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1[m], 1.5[m], 3[m] distance from the glare source. Two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First, the degree of discomfort glare increased as average window luminance increased. Second, the middle and lower part of the window plane can affect evaluation of discomfort glare as well as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plan.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selecting the glare source in a window with non-uniform luminance.

The Assessment of Odors Using EEG and Autonomic Responses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을 이용한 향(香)의 영향 평가)

  • 민병찬;전순철;김유나;신정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1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 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을 이용하여 향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6세의 남자 10명, 여자 10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100% Rose oil bulg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e abs., Lavender oil france (KIMEX.co.ltd) 등 4가지의 향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두엽 (Fz)과 두정엽 (Cz)에서 EEG를 기록하여 대역별 relative power spectrum 값을 구하고 $\alpha$대역에 대한 $\beta$대역의 비($\beta$/$\alpha$)를 통하여 향에 대한 감성 평가를 시도하였다. 또한 자율신경계 반응은 심전도, 피부온도, 피부저항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주관적 평가는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후각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여, 양극의 7점 척도 25문항, 단극의 5점 척도 40문항, 그리고 각 향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묻는 양극의 7점 척도 2문항으로 구성하여 자극제시 전, 후에 각각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피험자들은 Lemon을 가장 쾌하고 연하다는 평가를, Rose를 가장 불쾌하며 진하다고 평가하였다. $\beta$/$\alpha$의 비는 쾌하고 연할수록 감소하였고 불쾌하고 진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심박 변화율과 피부온도는 쾌하고 연할수록 감소하였고, 불쾌할수록 반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쾌하고 연한 향과 불쾌하고 진한 향 사이에 $\beta$/$\alpha$의 비와 자율 신경계 반응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Crime Prediction Model based on Meteorological Changes and Discomfort Index (기상변화 및 불쾌지수에 따른 범죄발생 예측 모델)

  • Kim, JongMin;Kim, MinSu;Kim, Kuinam J.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4 no.6_2
    • /
    • pp.89-95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a correlation between crime and meteorological changes and discomfort index of Seoul and p resented a prediction expressio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For data used in this study, crime data from Januar y 2008 to December 2012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and meteorological records and discomfort index recor ded in the Meteorological Agency through the portal sites were used. Based on this data, SPSS 18.0 was used for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rime and meteorological changes and discomfort index and a prediction expression wa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risk index was shown in 5 steps depending on predicted values obtained through the prediction expression derived. The risk index of 5 steps classified like this is considered to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crime prevention activities.

감성개념 차원구조의 특징에 관한 연구 -아동청소년 및 임상집단을 중심으로-

  • 문혜신;김진관;오경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59-64
    • /
    • 1998
  • 정상 성인의 경우, 감성 개념의 내적 차원 구조는 쾌/불쾌 차원과 각성 차원이라는 2차원 구조에 원형의 체계적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2차원 구조가 얼마나 보편적이고 일관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1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15개의 정서 관련 어휘로 이루어진 10i개의 단어 쌍에 대한 7점 척도의 유사성 평정을 시행하였으며, 연구 2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통일한 절차를 시행하였다 다차원 분석 결과, 1차원(초등5년:74%, 중등2 년:72%, 정신분열증 환자: 60%)과 2차원(초등5년: 18%, 중등2년16%, 정신분열증 환자: 11%)이 도출되었다 정상 성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차원은 쾌/불쾌 차원, 2차원은 각성 차원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따라서, 감성 개념의 구조에 있어서 쾌/불쾌 및 각성은 인지적 성숙의 단계나 인지, 정서적 손상에 관계 없이 매우 일관되게 나타나는 비교적 안정적인 차원 구조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발달 단계나 병리적 속성에 따라 각 차원의 비중치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주로 쾌/불쾌 차원을 통해 감성을 개념화 하는 특징을 보이며,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의 경우, 1,2차원 모두 상대적으로 설명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의 경우, 비중치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내적 차원 구조의 타당성 및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

Emotions and EEG Features Evoked by Tactile Stimulation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서와 EEG 특성)

  • 김지은;박연숙;오애령;최상섭;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53-160
    • /
    • 1998
  • 본 연구는 피부에 가해지는 직물촉각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정서와 관련된 뇌파특징을 알아보려는 기초연구이다. 실험l에서는 촉각에 의한 정서가 생리적인 측정치를 통해 구분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피험자에게 물리적 특성이 극단적으로 다른 자극을 선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0명의 대학생 치험자 (20-25세)에게 자극이 무선적으로 제시되었고, 각 자극제시후 피험자는 제시자극에 대한 느낌을 주관적 정서척도로 평정하였다. 뇌파는 양쪽 귓볼(A1, A2)을 기준전극으로 하여 F3, F4, C3, C4, T4, P3, P4, O1, O2에서 측정되었고, 측정된 뇌파는 FFT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피험자의 주관적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쾌한 자극과 가장 불쾌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측정한 뇌파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영역에서 쾌자극 제시시에 alpha파가 유의미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후두엽 영역에서 불쾌자극 제시시 beta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ll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1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실험ll가 실시되었다. 실험l의 결과에 근거하여 측정 부위를 F3, F4, P3, P4, O1, O2로 축소되었다. 쾌자극 제시시의 뇌파는 불쾌자극 제시시보다 slow alpha(8-10Hz)파의 출현량이 많은 반면, slow beta(13-20Hz)파의 출현량은 적었다. 결론적으로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적 반응에 특정적인 뇌파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촉각에 의해 유발되는 주관적인 쾌.불쾌정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뇌파특징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