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일치 상황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Exploration of Discrepancies between Text and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an Analysis of Questions and Answers Created in the Interactive Reading of a Teacher's Guide: Focusing on a 'Shadow and Mirror' Unit (상호작용적 독해 과정에서 생성된 질문과 답변의 분석을 통한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예비교사의 내용지식 사이의 불일치 탐색 -'그림자와 거울' 단원을 중심으로)

  • Arla Go;Jiwon 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3
    • /
    • pp.253-263
    • /
    • 2023
  • This study explor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ext of a teacher's guide about straight and reflective light and the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total of 455 questions and 543 answers generated by 27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fter reading a 'Shadow and Mirror' unit in the teacher's guide were analyzed. The ques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cepts and discrepancies, and the answers were analyzed for accurac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s of question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most curious about the shadow in the straight concept, the mirror image in the reflection concept, and the light source in other concepts. The questions with a low correct answer rate due to incorrect- or non-answers, such as those concerning the superposition principle of light by reflection, the principle of experimental tools, and images by lenses, were only partially or not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 When the ques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crepancy, the frequency of questions due to knowledge deficit was higher than that due to knowledge clash. This demonstrates that the concepts that teachers need to know must be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teacher's guide. Discrepancies due to knowledge clashes are often caused by conflicts between what is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and what is presented in text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exts of the teacher's guide and the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y inclu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context of everyday life and the context of the textbook in the teacher's guide.

The Consistency of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Concepts of 'Atmospheric and Water Cycle' according to Task Contexts ('대기와 물의 순환' 관련 개념들에 대한 과제 상황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응답의 일관성)

  • Jeong, Jin-woo;Jang, Myoung-Duk;Nam, Youn-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8
    • /
    • pp.656-662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nowledge sources and of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on tasks in scientific context and tasks in everyday context, and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istency of responses and cognitive style. One hundred fif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study. The students were asked to solve ten paris of problems about several concepts of circulation of atmosphere and water. Each pair of the problems consisted of two questions which were about the same concept but were about different context. That is to say, one questions related to scientific context and the other related to everyday context. Every questions included one subquestion in other to investigate the students' sources of knowledge. The students' responses on two questions in each problem were analyzed in order to compare the sources of knowledge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knowledge sources varied by task contexts. That is to say, the students selected 'Science activities in school' as main source in questions related scientific context and chose 'Experience in daily life' as main source in questions related to everyday context. Second, inconsistency score on all paris of proble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sistency score (p<.01). This result indicated students' responses were much dependent on context. third, field-dependent students were more dependent on context, considering higher inconsistency score than field-dependent on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Logistics Alerting System (u-Logistics 알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Yong-Mi;Jin, Long;Seo, Sung-Bo;Oh, Se-Won;Lee, Yong-Joon;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1-63
    • /
    • 2004
  • 지능화된 사물이 스스로 공간의 상황을 인식하여 필요한 행위를 대신해 주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응용 환경 하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e-Logistics 물류 시스템에서는 실물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간에 불일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화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화물에 센싱 가능한 스마트 태그를 부착하고, 이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u-Logistics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u-Logistics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기술하고, 특히 규칙의 정의에서부터 알림 서버가 실시간으로 이벤트를 수집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 화욜 또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까지의 알림 시스템의 전반적인 처리 과정을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물류 환경에의 적용 시나리오를 통하여 u-Logistics 알림 시스템의 구현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Traffic Prediction and Optimal Traffic Control System for Highway based on Cell Transmission Model in Cloud Environment (Cell Transmission Model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환경 아래에서의 고속도로 교통 예측 및 최적 제어 시스템 개발)

  • Tak, Se-hyun;Yeo, Hwa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4
    • /
    • pp.68-80
    • /
    • 2016
  • This study proposes the traffic prediction and optimal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cell transmission model and genetic algorithm in cloud environment. The proposed prediction and control system consists of four parts. 1) Data preprocessing module detects and imputes the corrupted data and missing data points. 2) Data-driven traffic prediction module predicts the future traffic state using Multi-level K-Nearest Neighbor (MK-NN) Algorithm with stored historical data in SQL database. 3) Online traffic simulation module simulates the future traffic state in various situations including accident, road work, and extreme weather condition with predicted traffic data by MK-NN. 4) Optimal road control module produces the control strategy for large road network with cell transmission model and genetic algorithm. The results show that proposed system can effectively reduce the Vehicle Hours Traveled upto 60%.

위성 추진시스템의 열적 거동 비교 연구

  • 한조영;김정수;이균호;김병교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66-66
    • /
    • 2003
  • 우주 공간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운용되는 인공위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제작 공간인 지상에서 가능한 모든 우주 공간에서의 위험을 예측하여 원하지 않는 재난을 방지할 수 있는 설계를 수행함이 요망된다. 위성의 기동 및 자세 제어에 사용되는 하이 드라진 추진시스템의 경우 예상되는 가장 큰 재난은 추진제의 동결로 인한 추진시스템의 작동 불능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진시스템의 안정적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추진제의 동결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히터 사양을 결정하며 이를 위해 위성 추진시스템의 열ㆍ수학적 모델을 개발한다. 개발된 열ㆍ수학적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치적으로 계산된 결과를 열진공 시험의 결과와 비교 연구한다 이론적 해석 모델과 열진공 시험조건 사이의 다소의 불일치성에도 불구하고 두 결과는 정성적으로 잘 부합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위성 추진시스템의 히터가 적절히 설계되었으며 개발된 열ㆍ수학적 모델은 인공위성 추진시스템의 주요한 설계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검증한다.

  • PDF

Error Concealment for MPEG-2 Video Transmission in the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s (패킷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MPEG-2 비디오 전송시의 오류 은닉 기법)

  • 이학만;김상길;최영식;이상홍;최연성;박한엽;신현숙;김선우;김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309-31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이나 Ethernet에서 MPEG-2 비디오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보상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오류는 발생 크기에 따라 비트 오류, 패킷 손실, 버스트 손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태에 따라 시간적인 것과 공간적인 것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송수신 통신망 속도의 불일치 환경, 즉, 고속 송신 대 저속 수신, 저속 송신 대 고속 수신의 경우에 비디오 패킷 손실, 패킷 삽입, 패킷 삭제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인코더와 디코더가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지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즉, 첫째, 인코더는 실시간 압축, 디코더는 저속 재생, 둘째, 인코퍼는 저속 압축, 디코더는 실시간 재생인 상황에서도 적용된다. 인터넷과 같은 전 세계적인 규모의 영상회의, 영상전화 시스템에서는 망과 송수신 시스템이 매우 다양하므로 이런 경우는 실제로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이에 대한 해결은 원활한 영상통신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 PDF

A Study of Updata Scheme of Spatial Data on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 공간 데이터 변경 기법에 관한 연구)

  • 안성우;서영덕;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08-310
    • /
    • 2000
  • 웹 환경의 성장으로 현재 GIS 응용은 기존의 랜 환경에서의 서비스를 웹에서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쉽게 다양한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웹 환경에서의 GIS 응용은 다양한 사용자 층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이 데이터들은 빠른 시간 내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변경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 변경을 서버에서 모두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변경이 필요할 때 적절히 변경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랜 환경에서의 공간 데이터 변경과는 달리 웹 환경에서의 공간 데이터 변경은 현재까지 환경의 차이와 이로 인한 프로토콜의 복잡함 등의 이유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웹 클라이언트가 서버측의 공간 데이터를 변경하는 문제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웹 환경에서 공간 데이터를 변경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HTTP 프로토콜의 연결 해제(Connectioness)와 상태 비유지(Stateless)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상황의 발생을 고려하여 잠금과 서버 데이터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구현을 통하여 검증을 한다.

  • PDF

RTE: Routing Tree Estimation Scheme for Reliable Multicast (RTE: 신뢰적 멀티캐스트를 위한 라우팅 트리 추정 기법)

  • 윤원용;이동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439-441
    • /
    • 1999
  • 트리 기반 신뢰적 멀티캐스트에서 효율적이고 확장성 있는 손실 복구를 하기 위한 RTE(Routing Tree Estimation) 기법을 제안한다. 에러 비트맵(error bitmap) 정보를 통하여 멀티캐스트 라우팅 트리와 유사한 논리적 트리(logical tree)를 구성함으로써 멀티캐스트 라우팅 트리에서 상위에 위치하는 수신자들이 재전송을 요청한 수신자의 신뢰성을 책임지도록 보장한다. 논리적 트리는 세션 멤버쉽이나 멀티캐스트 경로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재구성되는데 이는 멀티캐스트 세션 진행동안 논리적 트리와 멀티캐스트 라우팅 트리 사이에 불일치를 최소화함으로써 멤버십과 경로가 변하는 상황에서도 implosion과 exposure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제안한 기법과 정적 트리기반의 신뢰적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세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안한 적응형 트리 기반의 복구방식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 PDF

Innovative Paradigm for Quality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3))

  • Jeon, Han-Jong
    • Korean Architects
    • /
    • no.1 s.465
    • /
    • pp.70-75
    • /
    • 2008
  • 국내 건축설계분야는 건설산업의 성장과 함께 양적인 팽창을 하였으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의 국제적인 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왜곡된 발주 시스템은 능력있는 건축사의 시장참여를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아직도 많은 설계도서가 하청을 통해 생산되고 있고, 각 분야 간의 느슨한 협업시스템으로 인해 검토되지 않은 설계도서들이 현장에서 설계도면간의 불일치나 비기능적, 비경제적인 설계를 초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시공업체 중심으로 고착화 되어있는 국내 건설산업의 특성도 설계나 엔지니어링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가 건설정책의 초점은 시공분야에 맞추어져 있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설계나 엔지니어링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도가 지속될 경우, 종국에는 설계나 엔지니어링업체가 시공업체에 종속되어 우리나라 설계분야의 전문화 및 설계 경쟁력은 상실되고 말 것이다. 대한건축시험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 '건축설계업 발전 종합방안 연구'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국내 건설.건축산업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보다는 건축설계분야의 문제점 즉, 설계경쟁력 약화, 느슨한 협업시스템 그리고 이에 따른 건축설계품질의 저하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PDF

nnovative Paradigm for Quality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2))

  • Jeon, Han-Jong
    • Korean Architects
    • /
    • no.12 s.464
    • /
    • pp.64-68
    • /
    • 2007
  • 국내 건축설계분야는 건설산업의 성장과 함께 양적인 팽창을 하였으나 질적인 문제에 있어서의 국제적인 경쟁력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왜곡된 발주 시스템은 능력있는 건축사의 시장참여를 원척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아직도 많은 설계도서가 하청을 통해 생산되고 있고, 각 분야 간의 느슨한 협업시스템으로 인해 검토되지 않은 설계도서들이 현장에서 설계도면간의 불일치나 비기능적, 비경제적인 설계를 초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시공업체 중심으로 고착화 되어있는 국내 건설산업의 특성도 설계나 엔지니어링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가 건설정책의 초점은 시공분야에 맞추어져 있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설계나 엔지니어링 분야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구도가 지속될 경우, 종국에는 설계나 엔지니어링업체가 시공업체에 종속되어 우리나라 설계분야의 전문화 및 설계 경쟁력은 상실되고 말 것이다. 대한건축시험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6년 '건축설계업 발전 종합방안 연구'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국내 건설.건축산업에 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기 보다는 건축설계분야의 문제점 즉, 설계경쟁력 약화, 느슨한 협업시스템 그리고 이에 따른 건축설계품질의 저하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