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

Search Result 24,234,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Levels on the Number of Fecal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and Fecal pH in Horses (말에서 사료 급여 수준이 분 젖산 생산 박테리아 및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

  • Lee, Chong-Eon;Kim, Nam-Young;Park, Nam-Geon;Oh, Woon-Young;Cheong, Ha-Yeun;Joa, Jae-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2 no.2
    • /
    • pp.111-11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levels on the number of fecal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and fecal pH in horses. In Exp. 1, 6 female cross-bred horses ($332.4{\pm}50.4\;kg$, 5 year old) were fed 2% hay or 2% concentrates of BW for 30 d, and the number of fecal Lactobacilli and Streptococci was measured. For Exp. 2, 5 castrated Thoroughbred ($474.5{\pm}64.6kg$, 4 year old) and 5 female cross-bred horses ($343.6{\pm}56.3\;kg$, 5 year old) were allotted to high- or low-concentrates diets (5 levels) for 30 d in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and the fecal pH was assessed. In Exp. 3, 3 castrated Thoroughbred ($482.6{\pm}53.3\;kg$, 4 year old) were fed high- or low-alfalfa hay diets (3 levels) for 30 d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and the fecal pH was measured. Feeding high-concentrates diets increased (P<0.05) the number of fecal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Lactobacilli and Streptococci) and decreased (P<0.01) the fecal pH. Feeding alfalfa hay with high-concentrates diet (2% alfalfa hay + 1% concentrates of BW) decreased (P<0.01) the fecal pH. These results showed that feeding high-concentrates diets increased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in the large intestine and decreased the intestinal or fecal pH causing colic or laminitis, indicating that the proper fiber/concentrates (1:1) should be maintained in horses.

The effects on fatigue and accur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the verbal-order method based on different time intervals (3, 4 minutes) (시간 (3분, 4분)에 따른 구령방법이 심폐소생술의 피로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Lee, Mi Kyoung;Yang, Jeong Ok;Jung, Joo Ha;Lee, Kyeong Jun;Cho, Youngseu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2
    • /
    • pp.409-41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 on the degree of fatigue and accur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time delays (3 minutes, 4 minutes). Carrying out repeated measures of variance (repeated ANOVA), we have shown that time effect (F = 7.835, p <.01) and group effect (F = 8.695, p<.01)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and group (F = 12.582, p<.001)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in the test of the main effect of group and time (3 minutes, 4 minutes) using the Bonferroni method, it turned out that the amount of lactic acid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1), and there was no difference until 3 minutes, but the difference of the amount of lactic acid was shown between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4 minutes, and between 3 minutes and 4 minutes (p <.05), respectively. Then, in the resul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for comparing th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the accuracy after 3 minutes became higher than the case of 4 minutes (t = 4.584, p <.001). Therefore, before 119 arrives perform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emergency, rescuers need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lternating with others before 3 minutes.

Effect of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Wet Noodle (대두분말의 첨가가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 홍예문;김주숙;김동원;김우정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6 no.4
    • /
    • pp.417-422
    • /
    • 2003
  • Addition of whole soy flour(WSF) to wheat flour(WF) was studies for its effects on dough and noodle characteristics. The WF used was medium grade of strength and WSF was a fine flour of 350 mesh. The addition ratio of WSF to. n was up to 20%. The dough properties and textural properties of wet and cooked noodles were measured with using Farinograph, Amylograph and Rheometer. Farinogram data showed the minimum dough development time and stability at 6% addition of WSF. Amylograph data of initial past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increased while the maximum and final viscosity and setback were decreased as the WSF added more to W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2.0∼6.0% WSF added flour were comparable to 100% WF eventhough viscosity was almost half of WF.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was increased from 81.6% to 92.3% at 6.0% WSF and then decreased as the addition ratio of WSF increased. The extensibility of dough showed a maximal value at 8.0% WSF addition. Strengthness and hardness of wet and cooked noodle were increased to the heighest measurement as the WSF added up to 6.0% followed by a steady decrease thereafter. It was also found that WSF addition resulted an increase in adhesiveness of wet noodle and decrease in hardness and strengthness of cooked noodle.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w Material for Noodles -I.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 of Dried Noodle Using Mungbean-Wheat Composite Flour- (면류(麵類) 가공원료(加工原料)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 : 녹두-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Yang, Han-Chul;Suk, Kyung-Sook;Lim, Moo-Hy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2
    • /
    • pp.146-150
    • /
    • 1982
  • In order to improve the nutritional and cooking quality of noodle, and to develop the utility of mungbean, the mungbean-wheat composite flour which contained 20, 40 and 60% mungbean flour were prepar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oodle-making properties of the composite flours were examined. The water absorption of the composite flour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mungbeen content. Amylograph data showed that the more mungbean the composite flour contained the higher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the flour was. The composite flour containing 40% mungbean flour showed the maximum viscosity. Analysi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odles indicated that the more mungbean flour the noodle contained the more hard, cohesive and gummy the noodles were. Analysis of the turbidity of the fluid obtained after cooking the noodles showed that the turbidities of noodles containing 20 and 40% mungbean were lower than that of wheat flour alone. The quality and sensory tests showed that the noodles of the composite flour containing 20 and 40% mungbean flour were superior to those of wheat flour alone.

  • PDF

Fractionation of KOCC by Froth-Flotation(IV)- (부상부유처리에 의한 국산 골판지 고지의 분급(IV))

  • 여성국;윤혜정;류정용;김용환;신종호;송봉근;서영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0-40
    • /
    • 2000
  • 우리나라의 제지산업은 천연펄프 자급능력이 20% 내외로서 낮은 실정이며 주원료의 7 70% 이상을 수입펄프와 고지에 의존하는 원료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된 상태이다 .. 1999년도 제지통계에 의하면 골판지 원지로 사용되는 라이너지와 골심지의 연간 생산량이 각각 169만 톤과 88만톤을 점유하여 국내 전체 지류생산량 887만톤의 약 29%를 점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제지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골판지 원지는 주로 국내에서 발생되는 고지를 원료 로 하여 생산되고 있어 환경친화적인 지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산 골판지 고지( Korean O Old Corrugated Container)의 경우 골판지 고지 이외에 각종 인쇄고지와 기타 산업용지가 혼합된 최하급지로서, 고지 재생 시 여러 가지 많은 제한요소를 지니고 있다. 국산 골판지 고지는 거듭된 재생처리로 인하여 미세분의 함량이 전체 지료의 절반에 달할 만큼 많으며, 아울러 섬유가 각질화됨에 따라 재생처리가 거듭될수록 그러한 미세분의 형성이 더욱 조장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 75µm 이하의 무기질 및 단섬유를 일걷는 미세분은 골판지 원지 의 초지시 습지필의 탈수를 저해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골판지 고지를 스크린 또는 클리너 둥으로 정선 처리하여 장단섬유를 분급한 다음, 장섬유분을 선택적으로 고해하여 종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이 개발되어 적용돼 왔으나, 이러한 기술은 우리 나라와 같이 장섬유 보다 미세분 함량이 많은 저급의 골판지 고지를 주원료로 삼는 골판지 원지의 강도 개선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이는 기존의 섬유 분급 처리는 고급 고지의 경우에는 효과적이 나 저급의 혼합고지를 100% 재활용하여 구성되는 국산 골판지의 생산 시에 적용하기에는 5 50-60%에 이르는 미세분이 포함되어 분리의 대상이 섬유장이 다른 펼프 섬유라기 보다는 미세섬유를 펄프섬유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포의 수력학적 포집작용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미세분을 선택적으로 분급시키는 부상부 유 분급처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미세분의 농축을 위한 부가적인 처리가 필요치 않으며, 분급에 천공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분급처리 시 천공의 plugging 문제가 발생되 지 않는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미세분 분급을 위한 최적의 부상부유 조건은 장섬유의 응 집을 촉진하면서 미세분은 그러한 응집체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자유로이 부상하여 걷혀 지는 경우이다. 응집거동을 조절하기 위한 시도로서 부상부유 처리시 유량을 달리한 실험결 과에 의하면 유량이 낮을수록 장섬유 손실이 줄고 미세분이 선택적으로 포집되나 전체 부상 부유 리젝트의 양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장섬유의 응집에 영향 하는 또 다른 인자로서 지료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미세분의 부상부유를 촉진시키도록 유 량을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부상부유 처리에 의한 미세분 분급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 PDF

Influences of Cultural Temperature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배양온도가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증식속도에 미치는 영향)

  • 소명환;이영숙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0 no.1
    • /
    • pp.110-116
    • /
    • 1997
  • Growth curves of seven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graphed during cultivation at 1$0^{\circ}C$, 2$0^{\circ}C$, 3$0^{\circ}C$ and 4$0^{\circ}C$ in filter sterilized Chinese cabbage juice, and then lag time and generation time at each conditions were calcurated. At 3$0^{\circ}C$, the lag time of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was 168 min(minutes),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04 min, Leu. paramesenteroides 612 min, Lac. bavaricus 258 min, Lac. homohiochii 228 min, Lac. plantarum 270 min and Lac. brevis 264 min. And at this temperature, the generation times of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ere all 36 min, Lac. bavaricus 33 min, Lac. homohiochii 39 min, Lac. plantarum 66 min, Lac. brevis 42 min and Leu. paramesenteroides 162 min. As cultural temperature was lowed from 3$0^{\circ}C$ to 1$0^{\circ}C$, all strains showed remarkable prolongations in lag time and in generation time, and the prolongations were most conspicuous in Lac. plantarum. At 1$0^{\circ}C$, 2$0^{\circ}C$ and 3$0^{\circ}C$, both the lag time and the generation time of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ere shorter than those of Lac. plantarum. But at 4$0^{\circ}C$, this pattern was completely inverted. As a whole lower temperatures were more favorable for the growth of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while higher temperatures were for Lac. plantarum.

  • PDF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흑참깨분으로 착유한 참기름의 산화안정성)

  • Nam, Mi-Jin;Chung, Ha-Yull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0 no.2
    • /
    • pp.141-145
    • /
    • 2008
  • Oxidative stabilities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and white sesame flour, and commercial sesame oil prepared from whole white sesame were compared by measuring oxidation induction periods, peroxide value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each oil. Oxidation induction period (12.25 hr)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was longer than those (4.37 and 9.1 hr, respectively) of sesame oil from white sesame flour and commercial sesame oil. Peroxide values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sesame oil prepared from white sesame flour and commercial sesame oil were 1.3, 18.2 and 1.7 meq/kg oil, respectively. We ascertained that the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was superior than sesame oil from white sesame flour as well as ommercial sesame oil. This was based on the fact that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was 9% higher than that of sesame oil prepared from white sesame flour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superior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prepared from black sesame flour was expected, not only because only it had lignans such as sesamol and sesamolin, but also because of its brownish coloring compounds such as tannin which were not contained in white sesame flour.

Generating and evaluating 10 min. flood operation data on Wangsin reservoir at typhoon Hinnamnor (태풍 힌남노에 따른 왕신저수지의 10분 단위 홍수운영자료 생산 및 평가)

  • Jaekyoung Noh;Jaenam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0-60
    • /
    • 2023
  • 태풍 힌남노에 경주에 위치한 총저수량 184만m3, 유역면적 22km2인 왕신저수지는 303m의 제체가 2시간여 동안 전면 월류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다. 그때 다행히 저수지 수위는 10분 단위로 기록됐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제체 월류현상을 평가하기 위해 저수지 운영의 기본자료인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 등을 10분 단위로 생산코자 했다. 방법은 인근에 위치하고 운영자료가 있는 총저수량 260만m3, 유역면적 3.7km2인 감포댐에 대해 유입량 모의방법을 검증하고, 왕신저수지에 그대로 적용하여 유입량을 모의하고, 물수지에 의해 방류량을 계산하는 것으로 했다. 모의결과는 저수량 오차로 신뢰도를 확인했다. 여기서 저수지 유입량은 ONE 모형을 이용하여 10분 단위로 생산했다. 2022년 9월 5일부터 6일까지 10분 단위로 모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포댐 유역은 강우량은 10분 최대 32.3mm, 총강우량 196.0mm였고, 유입량은 10분 최대 80.1m3/s, 총유입량 59만m3로 모의됐고, 신뢰도는 RMSE 2.120mm, NSE 0.947, R2는 0.94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수량 모의 신뢰도도 RMSE 0.153m, NSE 0.993, R2는 0.997로 높았다. 둘째, 왕신저수지 유역은 강우량은 유역내에 위치한 환경부 관리의 화산리 관측소에서 10분 최대 21.0mm, 총강우량은 10시간 동안 422.0mm였고, 유입량은 10분 최대 716.5m3/s, 총유입량 904만m3로 모의됐고, 유출률은 95.7%로 강우량 거의가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왕신 저수지의 방류량은 10분 최대 610.8m3/s, 총방류량 848만m3로 계산됐고, 총유입량의 93.8%에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수지 물수지에 의해 10분 단위 모의 저수위의 신뢰도는 RMSE 0.117m, NSE 0.994, R2는 0.9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왕신저수지의 제체고 EL.59.20m를 월류한 시간은 9월6일 5시50분부터 8시까지 2시간10분 동안였으며, 관측 저수위는 EL59.24m~EL.60.28m, 모의 저수위는 EL.59.31m~EL.60.29m로 나타났다. 월류되는 동안 총유입량은 544만m3, 총방류량은 527만m3로 나타나, 유입량의 96.8%가 월류되는 것으로 계산돼 저수지의 저류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유입량은 전기간의 60.2%, 방류량은 62.1%에 상당했다. 다섯째, 힌남노에 따른 왕신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첨두유입량을 105.7m3/s 저감시켰고, 홍수량을 56만m3을 저류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 PDF

순환식 반응기에서 유리판에 고정화된 $TiO_2$ 광촉매를 이용한 유기인계 농약의 광분해

  • 오윤근;류성필;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163-167
    • /
    • 2002
  • $TiO_2$ 고정화 지지체를 이용한 유기인계농약의 광분해에 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Chlorpyrifos의 광분해 제거효율을 초기 pH 9에서는 반응시간 200분만에 완전 분해되었으며, 초기 pH 7, 5에서는 각각 반응시간 240분, 260분만에 완전히 분해되었다. 또한 Diazinon인 경우 초기 pH 9에서는 반응시간 200분만에 완전 분해되었으며, 초기 pH 7, 5에서는 각각 반응시간 220분, 240분만에 완전히 분해되었다. Chlorphyrifos와 Diazinon은 pH가 증가할수록 즉 산성에서 염기성쪽로 갈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Splitting policies using trajectory clusters in R-tree based index structures for moving objects databases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R-tree 기반 색인구조에서 궤적 클러스터를 사용한 분할 정책)

  • 김진곤;전봉기;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7-39
    • /
    • 2003
  •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과거 궤적 색인으로 R-tree계열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R-tree계열의 색인은 공간 근접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동일 궤적을 검색하기에는 많은 노드 접근이 필요하다. 이동체 색인의 검색에서 영역 질의와 궤적 질의는 공간 근접성과 궤적 연결성과 같이 상반된 특징으로 인하여 함께 고려되지 않았다. 이동체 색인에서 영역 질의의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노드 간의 심한 중복과 사장 공간(Dead Space)을 줄여야 하고, 궤적 질의의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이동체의 궤적 보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R-tree 기반의 색인 구조에서 새로운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색인 구조의 노드 분할 정책은 궤적 클러스터링을 위한 동일 궤적을 그룹화해서 분할하는 공간 축 분할 정책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시간 축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R-tree기반의 색인 구조에서 변경된 분할 정책을 구현하고, 실험 평가를 수행한다. 이 성능 평가를 통해서 검색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