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 변화시점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Land Use Changes around Urban Railway Stations in Integrated Urban-Rural Cities: A Case Study of the Gyeonggang Line Stations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도농복합도시 도시철도 역세권의 토지이용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광주시 경강선 역세권을 중심으로)

  • Jong-Bum Shin;Chan-Ho Kim;Chang-Soo Le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3
    • /
    • pp.61-77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s around urban railway stations in peri-urban mixed-use cities. The research focused on four station areas along the Gyeonggang Line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based on their opening dates to analyze land use changes. The analysis method utilized building permit registry data from 2012 to 2020 within a 1 km radius of each station, at 250-meter intervals, examining temporal, spatial, and functional distributions. Statistical analysis employed SPSS for weighted cross-tabulation to explore differences in building permits and concentration levels among various building types. The findings revealed: firstly, peri-urban mixed-use city station areas exhibited the highest number of building permits at the time of opening; secondly, significant land use changes were observed within the 500-meter radius from the station; thirdly, residential buildings dominated, reflecting a trend towards housing supply-oriented land use changes; fourthly, cross-tabulation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ilding permits across time, distance, and type (p < 0.01). Lastly, the concentra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sidential buildings were distributed most evenly, while buildings for educational, social, and agricultural and fisheries purposes were distributed unevenly.

통신서비스 해지자수 예측모형

  • 임철주;전덕빈;주영진;박윤서;박명환;박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04a
    • /
    • pp.319-322
    • /
    • 1996
  •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 수에 대한 예측은 이제까지 주로 확산모형(diffusion model)에 의한 신규가입 자 수의 예측을 위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의 변화 및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디지털이동전화, 발신전용이동전화 등의 신규 이동통신 서비스들이 시장에 소개됨에 따라 기존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들중 다수가 그 서비스를 해지하고 새로운 경쟁 서비스로 전환하게 되었다. 이 경우 특정 이동통신서비스의 기존 가입자 중에서 발생되는 해지자 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해당 이동통신 가입자 수를 합리적이고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해지자 수의 예측을 확산모형을 확장시켜 적용하거나, 설문조사에 따른 방대한 자료의 분석에 의존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의 기존 가입자가 지니는 해지 특성을 가입시기에 따른 해지성향과 특정시점의 가입자가 나타내는 해지까지의 가입수명분포로 정의하고, 기존의 해지자 수 자료에서 해지성향 및 가입수명분포를 추정함으로써 해지자 수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기존의 아날로그 셀룰라폰의 해지자 수 예측에 적용하였다.

  • PD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afes in Jeju Island and the Changes: Offline and Online Influences (제주도 카페 입지의 특성과 변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영향)

  • Ham, Yuhee;Park, Sohyun;Lee, Keumso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1
    • /
    • pp.131-14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afes in Jeju Island and the changes. For the purpose, we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openings and closings by period from the first opening of cafes in Jeju Island to the present.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locations of cafes that have been opened and clos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which new stor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we identify the regional attributes and the influence of online that have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currently open cafes and cafes that have opened or closed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Jeju Island is a tourist destination and island reg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ing major destinations through information search, showing a different distribution form from the location of cafes in inland citie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y extracting keyword search volume for cafes in Jeju Island, online accessibility such as information search for new areas and places in Jeju Island has become more diversified and expanded after COVID-19. In addi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distance to cafes by road 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location and road accessibilit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an important factor, was relatively lo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afe locations in Jeju Island b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online and offline.

Long-term Simul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Soyanggang Reservoir in Response to RCP 4.5 Climate Scenario (RCP 4.5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소양호 수온 변화 장기 모의)

  • Yun, Yeojeong;Park, Hyungseok;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5-265
    • /
    • 2019
  • 기후변화로 의한 기온의 상승은 가뭄, 홍수와 같은 재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깊은 호수나 저수지와 같은 수자원에도 용존 산소, 물질, 영양소 및 식물플랑크톤의 수직적 분포 등과 같은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WAT, HEC-ResSim 및 CE-QUAL-W2(이하 W2)모델을 사용하여 미래의 기후 변화에 따른 소양호의 수온, 성층강도 및 열적 안정성의 변화를 장기 예측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W2 모델의 보정은 2005 년부터 2015 년까지의 실측 과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IPCC의 AR5 RCP 4.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기후자료는 GCM 모델인 HadGEM2-AO 결과를 상세화하여 모의기간의 자료를 생성하였다. SWAT모델을 이용하여 모의기간인 2016 년부터 2070 년까지 일단위로 저수지 유입을 예측했으며 HEC-ResSim모델을 이용하여 소양강댐 저수지 운영 조건에 따라 저수지 방류량 및 수위 변화를 모의하였다. 수온 해석을 위해 W2를 적용하여 저수지의 장기간의 수온 변화를 예측하였다. 결과적으로 대기 온도는 $0.0279^{\circ}C/year$(p < 0.0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동일기간 상층(수면으로부터 5m 깊이)과 하층 (바닥으로부터 5m 높이) 수온은 각각 $0.0191^{\circ}C$/년(p < 0.05) 및 $0.008^{\circ}C$/년(p < 0.0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모의된 수온을 계절별로 분석했을 때 상층수온은 여름철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하층의 경우 겨울철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계절별 상-하층 수온의 차는 여름이 가장 컸으며, 겨울에 온도차가 가장 작았다. 또한 미래 온도의 상승에 따라, 소양호의 성층 강도가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층 및 하층의 온도차 $5^{\circ}C$를 기준으로 성층이 형성되는 기간은 큰 변동이 없었으나 소멸되는 시점이 점점 늦어지는 추세를 보여 성층 형성 기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 표면의 수온 상승은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성장률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정 조건에서 규조류는 최적 성장 범위를 벗어나는 고온 조건에서 성장속도가 감소하였으나 녹조류와 남조류의 출현 시기가 빨라지며 장기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due to Global Warming : 1. Change of Daily Rainfall Depth Distribution due to Different Monthly/Yearly Rainfall Depth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1. 연/월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분석)

  • Yun, Yong-Nam;Yu, Cheon-Sang;Lee, Jae-Su;An, Jae-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617-625
    • /
    • 1999
  • Global warming has begu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is getting worse recently. Even though the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O_2$ is thought to be the main cause for global warming, its impact on global climate has not been revealed clearly in rather quantitative manners. However, researches using General Circulation Models(GCMs) has shown the accumulation of greenhouse gases increases the global mean temperature, which in turn impacts on the global water circulation pattern. This changes in global water circulation pattern result in abnormal and more frequent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severe floods and droughts, generally more severe than the normal ones, which are now common around the world and is referred as a indirect proof of global warming. Korean peninsula also cannot be an exception and have had several extremes recent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mpact of global warming 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frequenc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now is a point in a continuously changing climate due to global warming, we analyzed the observed daily rainfall data to find out how the increase of annual rainfall amount affects the distribution of daily rainfall. Obviously, the more the annual rainfall depth, the more frequency of much daily rainfall, and vice versa. However, the analysis of the 17 points data of Keum river basin in Korea shows that especially the number of days of under 10mm or over 50mm daily rainfall depth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annual rainfall depth, not the number of dry days with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quite high around 0.8 to 0.9.

  • PDF

Ecosystem Vulnerability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Du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지자체의 생태계 취약성 평가)

  • Kong, Woo-seok;Lee, Slegee;Park, Heena;Yu, Jeong Ah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3 no.1
    • /
    • pp.51-69
    • /
    • 2012
  • This work aims to propose a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of ecosystem at present time, and an to suggest an adaptation strategy of ecosystem in the future for local government, in the fields of plant, animal and conservation area, which would occurred due to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in ecosystem includes first, tree growth and distribution part, mainly for conifers, secondly, insect part for pest and bee, and thirdly conservation area management part, especially at the national parks. To evaluate the degree of vulnerability of each substitute variables, such as exposure of climatic element, sensitivity, and adaptation ability, are respectively selected. Vulnerabilities of conifer growth and distribution, pest and bee, and national park management seem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osure of climatic element than other factors, such as sensitivity and adaptation ability. With time regional gaps of ecosystem vulnerability are expected to be greater in both conifers growth and distribution, and national park management, but reduced in pest and bee in 2100 in comparison with present time.

Forecasting Modeling for the Numb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Cancelers: Application to Cellular Phone Service (이동통신 서비스 해지자수 예측모형: 셀룰라폰 서비스의 경우)

  • Jun, Duk-Bin;Lim, Churl-Zu;Joo, Young-Jin;Park, Yoon-Seo;Park, Myoung-Hwan;Park, Young-Seon
    • IE interfaces
    • /
    • v.9 no.3
    • /
    • pp.194-201
    • /
    • 1996
  •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수에 대한 예측은 이제가지 주로 확산모형[2][3][4](diffusion model)이나 로지스틱 모형에 의한 신규가입자수의 예측을 위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가입자들의 통신욕구의 변화 및 개인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들 중 다수가 서비스를 해지하고 있다. 이 경우 특정 이동통신서비스의 기존 가입자 중에서 발생되는 해지자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해당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 수를 합리적이고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나, 기존에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설문조사에 따른 방대한 자료의 분석에 의존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의 기존 가입자가 지니는 해지 특성을 가입시기에 따른 해지성향과 특정 시점의 가입자가 나타내는 해지까지의 가입수명분포로 정의하고, 기존의 해지자수 자료에서 해지성향 및 가입수명분포도를 추정함으로써 해지자수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기존의 셀률라폰 서비스 해지자수 예측에 적용하였다.

  • PDF

도시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을 위한 도시홍수범람 모형 개발

  • Lee, Suk Ho;Kim, Jin Hyuck;Lee, Dong Seop;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8-38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는 국지적이고 집중적인 강우를 유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외수범람에 의한 제내지 침수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제내지의 침수로 인한 피해를 예측하기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의 파쇄로 인한 홍수량이 제내지에서 어떤 경로로 침수-확산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홍수의 침수경로를 모의할 수 있는 분포형홍수범람모형인 SIMOD(Simplified Inundation MODel) 모형을 개발하였다. 침수경로를 모의하기 위하여 홍수가 발생된 시점에서 그리드화된 주변셀로의 홍수전의를 위하여 주변셀과의 경사를 이용하여 차등 분배하는 다중흐름방향법(Multi Direction Method, MDM)과, 하나의 낮은 고도의 셀에서 수위가 높아져 인접셀보다 수위가 증가하면 그 수위는 인접 셀들과 균등해 진다는 가정인 평수가정법(Flat-Water Assumption, FWA)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평가를 위하여 가상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대상지역에서 시간에 따른 침수범위를 산정하였다. SIMOD 모형은 지형도(DEM)와 유입 홍수량의 간단한 입력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의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강우-유출 모형 또는 제방붕괴 모형 등을 통해서 유입되는 홍수량만 파악을 할 수 있다면 수 분 내에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EAP(Emergency Action Plan)과 같은 도심지에서 침수로 인한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levational distribution and Flora of vascular plants along the Baekdudaegan trail(NeuljaeHaneuljae) (백두대간 등산로(늘재하늘재) 관속식물상 및 고도별 수직분포)

  • Kim, Se-Chang;Son, Yong Hwan;Han, Gyu-Il;Park, Seong-Ho;Seo, Han-na;Park, Wan-Ge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66-66
    • /
    • 2019
  • 본 연구조사의 대상지인 백두대간은 시점인 백두산에서 종점인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한반도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생태축이며, 남북한을 이어주는 산맥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 중 속리산 권역내 늘재하늘재(56.3km) 구간을 2018년 4월에서 10월까지 계절별로 식물의 고도별 수직분포, 식물상을 조사하여 한반도 식물의 기초 자료를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구간의 고도는 최저 310m에서 최고1,052m(평균 726m)로 전형적인 온대낙엽활엽수-침엽수 혼효림으로 구분된다. 주요 조사지인 300m1100m 고도에서 발견된 식물은 85과 227속 358종 4아종 37변종 5품종 총 404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노각나무, 자란초, 처녀치마 등 15과 19속 19종 2변종 총 21분류군, 희귀식물은 개병풍, 모데미풀 등 12과 19속 22종 총 22분류군, 기후변화 취약식물은 특산식물 9종, 남방계 1종, 북방계 16종으로 15과 20속 25종 총 25분류군으로 북방계 식물이 대다수 등장하였다. 고도별 분포를 보면 접속구간 300m 제외한 400m 107종, 500m 306종, 600m 137종, 700m 209종, 800m 190종, 900m 92종으로 종수-고도간 유의관계는 낮았으나, 생활형으로 구분한 목본(MM, M, N) 및 초본(CH, HH, H, G, Th, E)간 종의 구성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400m에서 목본의 구성비는 40%였으나 고도에 따라 증가해 900m에서는 61%에 달했으며, 초본의 구성비는 60%에서 40%로 낮아졌다. 해당 구간의 이러한 경향을 봤을 때 마루금의 평균 해발고도 중심으로 식물이 주로 발견된 경향이 있으나 구성비의 변화를 봤을 때 700m를 중심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으며 이는 각 정상부, 접속부의 물리적 환경의 차이로 이해된다.

  • PDF

A Study on Heat Release Fluctuation Using Various Hydrocarbon Fuels (다양한 탄화수소 연료를 이용한 열방출 섭동 연구)

  • Hwang, Donghyun;Ahn, Kyub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0 no.6
    • /
    • pp.1-10
    • /
    • 2016
  • For the active control of a combustion instability, a change should be made in pressure fluctuation or heat release fluctuation using an acoustic driver or a secondary fuel injection. Also,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timing of a secondary fuel injection, one needs to know the distribution of heat release fluctuation under combustion instability. In the present research, the distribution of heat release fluctuation has been experimentally measured by changing hydrocarbon fuel, inlet velocity, equivalence ratio, and acoustic forcing condition. It was confirmed that heat release fluctuation with regards to vortex shedding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amk{\ddot{o}}hler$ number. Under the cases of the $Damk{\ddot{o}}hler$ number above approximately 4 - 5, hot spot region was generated in the leading edge of vortex and cold spot region was in the trailing edge. On the contrary, the cases of the $Damk{\ddot{o}}hler$ number below 3 showed the opposite 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