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 및 생태

Search Result 1,72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자연계로부터 방선균의 선택적인 분리 및 탐색

  • 김창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3
    • /
    • pp.35-40
    • /
    • 1992
  • 방선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학문적으로 흥미롭거나 상업적으로 유용한 경우도 많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 자연계에 있어서의 자세한 분포 및 역할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적절한 균 분리원의 선택 및 이로부터의 신규 또는 유용한 방선균만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논의의 여지가 있지만 자연계에는 아직 미지으 유용한 방선균이 많이 존재함에는 이의가 없다. 따라서 목적을 가지고 방선균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이용하는 기술이 향상되면 스크리닝은 성공적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이에 필요한 적절한 균 분리원의 선정, 시료의 전처리, 적절한 배지 등의 선정, 배양조건의 검토 및 효율적인 균 선별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검토하였으며 차후 보다 기본적인 생태학적인 조사 및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지원을 통하여 이 분야의 연구는 더욱 발전하리라 보여진다.

  • PDF

Development of linkage system between grid-based hydraulic model and ecological connectivity assessment model (격자기반 수리해석 모형과 생태적 연결성평가 모형의 연동시스템 개발)

  • Kim, Chang Wan;Chegal, Sun Dong;Cho, Gil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3-75
    • /
    • 2018
  • 최근의 하천복원 사업은 제외지 중심의 하천복원에서 벗어나 제내지의 격리 차단된 구하도까지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복원에 따른 수리적 및 생태적 연결성 향상이 적절히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량적 평가 수단이 부족한 상태다. 본 연구에서는 구하도 복원에 따른 생태적 연결성 평가수단으로서 복원전 후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대상어종의 서식처적합도지수(HSI)와 식생의 공간분포를 분석 또는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공간분포된 수리특성을 위해서는 2 3차원의 모형이 필요하지만 복잡한 계산과정, 고도의 기술 및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1차원 홍수추적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1차원 수리특성을 2차원으로 확장시키는 수치모형도 함께 개발하였다. 다만 개발된 각 모형의 단계별 실행 결과는 개별적인 요소의 평가로서 그 의미가 작으므로 하천복원의 종합적 평가를 위한 수리-물리서식처-식생의 통합적 모의가 필요하다 개발된 모형의 사용성 증대 및 생태적 연결성 평가 통합모형으로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모형을 하나의 연동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며,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리적 및 생태적 연결성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해석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Management and Present-Condi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외래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 Park, Sang-Heon;Lee, Hae-S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488-496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Gangwon Province's current implementation of its elimination of invasive plants and explored a plan to effectively manage invasive plants. The percentage of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was 39.6% for riverside areas, 23.3% for roadside areas, 12.4% for roadside & riverside areas, and 4.6% for areas around farm land and river banks. To ensure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invasive plants, the current study suggests a) developing an invasive plants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b) reinvigorat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private organizations, and military posts; c) planting of native replacement plants and the conversion of the locations as attractions, and d) nurturing the project for using invasive plants. For policy directions to be pursu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a) improving laws and systems regarding invasive plants, b) developing a cooperative system for managing invasive plants, c) implementing the training of civilian professionals, d) implementing the elimination of invasive plants, e) developing replacement plants for cities and counties, f) fostering industries that tap into invasive plants, and g) using the Han River Water System Management Fund for funding and greater efficiency.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한반도에 자생하는 소나무과 나무의 생물지리)

  • Kong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1 s.112
    • /
    • pp.73-93
    • /
    • 2006
  • Despite of ecological and landscape importances and public popularity of Pinaceae, not much scientific informations are known about Korean Pinaceae. Present work aims to understand the biogeography of Korean native Pinaceae, i.e., taxonomy, phylogeny, origin, life form, distribution, dispersal and migration. Korean native Pinaceae consists of five genera and sixteen species. Pinus is systematically closely related to Picea and Larix, but Abies is related to Tsuga. Boreal conifers which have migrated from NE Asia during the Pleistocene glacial epochs successfully survived, but now confined to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the Korean Peninsula mainly due to climate warming since the Holocene. Species, such as Picea pungsanensis and Abies koreana have gradually adapted to local environment, and later became an endemic species of Korea. Disjunctive distribution of Pinus parviflora and Tsuga sieboldii are also indicatives of climate change of the Pleistocene. Major dispersal agent of pine trees with winged seed is wind, but wingless pine tree seeds seem to dispersed by birds and rodents. Pine trees with bigger wings are easily dispersed by wind, and now show broader distribution. Species of Pinaceae with disjunctive distribution on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seems to be more vulnerable to global warming.

우리나라 조사료 포장에 발생하는 주요 외래잡초의 생태적 특성 및 방제에 관한 연구

  • 박근제;이종경;윤세형;김영진;오세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1.1-81
    • /
    • 1999
  • 초지 및 조사료포장에 자생하여 사료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수량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외래잡초의 분포를 조사하여 적정 방제법을 구명하고 유입경로를 차단하여 조사료포장의 생태적 환경을 개선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외래잡초로서 가축에 해를 미치거나 뜯지 않아 초지를 부실화시키는 잡초는 도깨비가지, 도꼬마리, 독말풀, 붉은서나물, 개꽃아재비, 방가지똥, 미국자리공 등이었다.(중략)

  • PDF

Ecological studies of the venus clam Notochione jedoensis (Liscke) on the Daechean areas of Korea (대천산 살조개, Notochione jedoensis (Liscke)의 생태학적 연구)

  • 김용호;김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30-331
    • /
    • 2001
  • 우리나라 근해산 살조개, Notochione jedoensis (Liscke)는 백합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서남연안과 일본의 혹가이도, 중국의 산동 및 황해 등지의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20m 까지의 모래 밭이나 작은 돌이 많은곳에 분포하며, 연안 어민들이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높으나 어획되는 양도 많지 않고, 현재 양식도 실시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살조개의 어획량이나 자원의 변동, 생태 및 번식 등을 포함한 양식기술 개발에 요구되는 기초자료가 거의 없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양식기술의 개발에도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Applied by Citizen Science in the Wetland Protected Areas(Inland Wetland) (시민과학을 활용한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교란 식물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 Inae Yeo;Kwangjin C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5
    • /
    • pp.305-317
    • /
    • 2023
  • This study suggested a citizen science based model to enhance the efficacy of the managing invasive alien plants and examined whose applicability in 3 Wetland Protected Areas (Jangrok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Madongho of Goseo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Ungok of Gochang in North Jeolla Province). The process consists of (a) collecting citizen scientist including local residents of 3 protected areas and piling up information on the 4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Solidago altissima L) in a information platform Ecological Information Bank (EcoBank) from September 18th to October 31th, (b) constructing distribution map containing the location and density (3 phases: individual-population-community) of target plants, (c) providing distribution map to Environment Agency and local government who is principal agent of managing invasive alien plants in 3 protected areas, and from whom (d) surveying applications of the distribution map and opinion for future supplement. As a result, citizen science based monitoring should be continued to complement the nationwide information for the fiel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plants with the expansion of target species (total 17 plants species that Ministry of Environment in South Korea designated) and period of monitoring in a yea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urveyed information from citizen science. In the long run,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applied by citizen science should be reviewed including efficacy of field management process from citizen's participating in elimination project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time series distribution followed by the management of the spec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Microenviromnent in a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rnbong Biosphere Reserve Area, Korea (점봉산 생물권 보전지역내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의 공간분포와 상관 분석)

  • Lee, Kyu-Song;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3
    • /
    • pp.241-253
    • /
    • 2000
  • The degree to which microenvironmental factors are linked to spatial patterns of vegetational factors within ecosystems has important consequences for our understanding of how ecosytems are structured and for conservation of rare species in ecosystems. We studied this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patterns of micro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al factors in temperate hardwood forest in Mt. Jumbong Biological Reserve Area, Korea. To do this, environmental and vegetational factors from 196 micropoints in a 0.49 ha plot were investigated. Most of all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al factors showed the variations among micropoints. Microtopographic factors, litter depth, soil moisture content and relative light intensity at this site were spatially dependent at a scale of 14∼62 m. Coverage of tree and shrub layer and species diversity of herb layer in autumn were spatially dependent at a scale of < 15 m.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of herb layer in spring and species richness of herb layer in autumn were spatially dependent at a scale of 28∼48 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patial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of herb layer in spring and autumn were affected by litter depth, slope, subtree layer, shrub, Sasa borealis etc. The best predictor for the spatial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of herb layer at this site was the spatial pattern of litter depth.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of herb layer showed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itter depth. We estimate that the spatial pattern of litter depth at this site were affected by direction of wind, microtopography and spatial pattern of shrub layer.

  • PDF

우리나라 서해남부 해역에 분포하는 돗대기새우 (Leptochela gracilis)의 생식생태 및 개체군 동태에 관한 연구

  • 오철웅;김장용;마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22-223
    • /
    • 2002
  • 돗대기새우류(Leptochela sp.)는 전 세계적으로 2아속 12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중7종이 인도태평양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는 돗대기새우 (L.gracilis)와 둥근돗대기새우(L. sydniensis) 2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봄과 가을에 대량 출현한다. 돗대기 새우는 젓새우류와 혼획되어 어획되며 서남 해역에 어가의 주소득원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는 형태학적 분류 (Chace, 1976), 성장 (Park and Lee, 1995)과 2차 성징의 특성 (Park, 1984)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중략)

  • PDF

동굴 환경에 따른 동물의 분포상에 관한 연구 - 백용동굴을 중심으로 -

  • 남궁준;김승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43-59
    • /
    • 1992
  • 동굴의 환경에 따라 동굴내부의 동물상은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백용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환경에 따른 동물의 분포상태 및 동굴동물을 구분하였다 본 동굴의 동물상에 대하여는 과거에 남궁 준(1977.6, 1983.7), 남궁 준·백 남극(1979.12). 김 득수(1977.7, 1975.5), 남궁 준ㆍ조 규송(1989.8) 등에 의해 조사된 바 있고, 그 결과는 한국동굴보존협회의 "종합학술조사보고서(1979.12)", 한국자연보존협회 강원도 지부의 "강원도의 희귀자원 조사보고서 제4집(1987)", 강원도 평창군의 "백룡동굴 학술조사보고서(1989.12)"등을 통하여 모두 8강 24과 26속 28종의 동굴동물의 목록과 분포생태 등이 발표된 바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