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출현상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초고속선을 위한 공기유입 물제트 추진기 개발 (Development of a Ventilating Waterjet Propulsor for Super-High Speed Ships)

  • 이진태;문일성;박영하;김경열;김기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41-49
    • /
    • 1999
  • 초고속선의 추진기로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공기유입 물제트 추진기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추진기는 벤틸레이션 상태에서 작동되므로 완전캐비테이션 단면을 사용하여 로터를 설계하였다. 즉 쐐기형(wedge type) 단면과 캐비테이터형(cavitator type) 단면을 갖는 로터 2종류를 설계 제작하여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로터는 일반적으로 덕트-프로펠러에서 채택하고 있는 Kaplan형 프로펠러 형상을 선택하였다. 캐비테이션 터널 시험부를 개조하여 공기유입 물제트 추진기의 단독특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레이져 유속계를 이용하여 노즐 내부 속도를 엄밀하게 계측하였다. 단독특성 시험은 개조된 캐비테이션 터널의 시험부에서 수행되었으며 완전침수(fully-submerged)상태와 자유분출(free-jet)상태에서 수행되었다. 자유분출상태에서는 후류공기가 유입되어 벤틸레이션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캐비테이터형 단면을 갖는 KP447 로터의 경우 낮은 전진계수에서 작동시킬 경우 완전캐비테이션이 발생하여 성능특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날개 압력면의 뒷날 부근에 높이가 다른 띠를 각각 부착시켜 양력 증가장치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의한 추력과 토오크 변화를 계측하였다.

  • PDF

30cm Wide-Field Solar Spectro-Imaging Telescope (Post SOFT)

  • Yang, Heesu;Choi, Seonghwan;Lim, Eun-Kyung;Kim, Jihun;Park, Jongyeob;Baek, Ji-Hye;Cho, Kyung-Suk;Kim, Yeon-Han;Jang, Bi-Ho;Kwon, Ryun-Young;Kim, Rok-Soon;Kim, Sujin;Park, Yeong-Deuk;Bong, Suchan;Seough, Jungjoon;Kwak, Young-Sil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69.3-69.3
    • /
    • 2020
  • 우주개발과 활용이 주요 화두가 된 현대에 보다 빠르고 정확한 우주환경 예보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우리는 광대역태양영상분광망원경(Wide-Field Solar Spectro-Imaging Telescope, Post SOlar Flare Telescope: PSOFT)을 활용한 태양전면 영상분광감시체계를 구성하고자 한다. 전세계 세 곳에 PSOFT를 배치하여 우주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요소인 태양의 플레어와 홍염 분출과 같은 현상과 표면의 다양한 활동들을 실시간으로 관측 분석하고자 한다. PSOFT는 30cm 구경의 광학계에 고속영상분광기를 결합하여 태양 전면의 분광영상을 약 1초각의 영상해상도와 5분의 시간해상도로 획득한다. 태양 전면을 슬릿으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H alpha와 Ca II 854.2nm선의 분광정보를 획득하는데 팁틸트 미러를 이용하여 1차적인 시상보정과 함께 스캔모션을 함께 구현함으로써 1)광학계 구조를 단순화하고, 2) 빠른 스캔이 가능하다. PSOFT로 얻은 태양전면 채층분광영상 데이터는 정밀한 우주환경 예보에 필요한 플레어나 홍염분출의 발생초기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태양 저층대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재연결, 파동 등에 대한 통계적 연구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내장 카티지안 경계법과 파동전파 알고리즘을 사용한 충격파 집속 현상의 수치적 시뮬레이션 (NUMERICAL SIMULATION OF SHOCK FOCUSING PHENOMENON BY CARTESIAN EMBEDDED BOUNDARY METHOD AND WAVE PROPAGATION ALGORITHM)

  • 정연규;장근식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20
    • /
    • 2010
  • Shock-focusing concave reflectors can have parabolic, circular or elliptic cross-sections. They produce effectively a very high pressure at the focusing point. In the past, many optical images have been obtained on shock focusing via experiments. Measurement of field variables is, however, difficult in the experiment. Using the wave propagation algorithm and the Cartesian embedded boundary method, we have successfully obtained numerical Schlieren images that appear very much like the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we obtained the detailed field variables such as pressure, velocity, density and vorticity in the unsteady domain. The present numerical results have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shock focusing phenomenon in more detail than before.

대향분출류가 있는 맥동연소기의 비 정상 점화현상

  • 이창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59-265
    • /
    • 1997
  • An analytical study has been peformed to investigate the unsteady ignition characteristics of pulse combustion. In many combustion applications, strain rate of the flow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combustion features; ignition, extinction, and reignition. In the pulse combustion, two jets (hot combustion gases and fresh mixtures) com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ombustor will collide in the combustor forming a stagnation region where the chemical reaction is suppressed by the strain rate until this becomes below the critical value. In this research, the method of large activation energy asymptotic is adopted with one step irreversible kinetics to examine the ignition response to the periodic variation of the strain rate of flow. The results show the variation of the maximum value of strain rate can determine whether the ignition or extinction occur.

  • PDF

EOS 자료를 이용한 지구고층대기 연구

  • 최기혁;임효숙;이주희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4호 Proceedings of the 2001 KSRS Spring Meeting
    • /
    • pp.91-91
    • /
    • 2001
  • 현재 진행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지구변화 (Global Change)의 연구는 환경/지구과학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의 분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는 지구환경에 부정적인 효과가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는바, 여러 지구환경 인자들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대기온도이고 아울러 해수온도/해류, 바람속도/방향, 대기화학 조성, 식생분포, 구름량, 얼음분포 등이 간접적인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EOS 위성군 중 고층대기 연구를 위한 UARS 위성의 HRDI 센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HRDI는 대기성분 중 산소 $O_2$ 발광선의 도플러 변이를 측정하여 바람속도를 측정한다.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50~100 km 상공의 바람속도 변화를 지상에서의 OH 발광선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정략적이고 보편적인 결과 도출보다는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지구온난화는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대기 중 에너지의 증가를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층대기의 교란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지구전체 대기의 풍속/풍향의 고도변화가 분석되면 지구온난화에 의한 고층대기 변화가 탐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다종교사회와 종교의 제(諸)문제 (Multi religious communities and religious issues)

  • 이철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11
  • 종교의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종교 문제를 넘어 사회 분열과 통합, 갈등의 문제로 진화되었다. 역사상 종교의 힘은 한 사회를 통합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한 사회를 해체할 수도 분열시킬 수도 있는 막강한 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는 테러의 원인 중의 하나 종교문제이다. 이제 한국사회도 다종교사회로 이미 진입했고, 많은 종교단체 같은 종교 내에서도 종파와 종단이 수 십 수백으로 공존하고 있다. 종교간 갈등과 같은 종교내 종단(宗團)안에서 갈등과 대립현상이 분출되고 있다. 종교계의 정치관여 또는 참여 문제와 관련하여 종교계가 본격적인 정당창당이나 정당과의 연합을 통해 정치세력화 할 경우, 이 문제를 우리 사회가 어떻게 할 것인가도 진지하게 논의할 문제이다.

  • PDF

플랜트 설계 시 배관진동을 유발하는 가진 함수의 수학적 모델링 (A Study on Mathematical Modeling of Forcing Function for the Piping Vibration of Petrochemical Plant Design)

  • 민선규;최명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1-595
    • /
    • 1997
  • In analysis of piping vibration of petrochemical plant, the forcing functions mainly depend upon the equipment working mechanism and vibration resources in the piping systems. In general, harmonic function is used for the system with rotary equipments. Mechanical driving frequencies, wave functions, and response spectrum are use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s, surge vibration of long transfer piping, and seismic/wind vibra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for the spray injection case inside the pipe, forcing function was modeled, in which two different fluids are distributed uniformly. To confirm the results, the scheme used for the forcing function was applied for real piping system. The vibration mode of the real system was consistent with the 4th mode obtained by simulation using the forcing function formulated in this study.

  • PDF

Jet가 분출되는 채널내 정사각단면 실린더 주위유동 및 혼합현상 (Confined laminar vortex shedding and scalar mixing around a square cylinder with a jet)

  • 엄준석;김도형;양경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759-764
    • /
    • 2000
  • In this study, the confined laminar flow around a square cylinder, which ejects a either on the front face or on the rear face, is numerically simulated. In each case, three ratios of jet velocity to the fixed upstream velocity are considered. In all cases of the rear fuel jet, the high mass-fraction region is formed along the streamlines from the jet exit. In case of front jet, drag i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jet velocity ratio is greater than 1. The results obtained exhibit flow and scalar-mixing characteristics encountered in a planar combustor

  • PDF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배관 가진 함수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imulation of Forcing Function for the Piping Vibration in Petrochemical Plants)

  • 민선규;최명진;김경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0
    • /
    • 2001
  • For the simulation of piping vibrations in petrochemical plants, forcing functions mainly depend upon the equipment working mechanism and vibration resources in the piping systems. In general, harmonic function is used to simulate rotary equipment. Mechanical driving frequencies, wave functions, and response spectrum are used to simulate reciprocating compressors, surge vibration of long transfer piping, and seismic/wind vibra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general suggestions for forcing functions were reviewed and proposed the forcing function to simulate the spray injection system inside the pipe in which two different fluids are distributed uniformly. To confirm the results, the scheme was applied for a real piping system. The vibration mode of the real system was consistent with the 4th mode (26.725 Hz) obtained by simulation using the forcing function presented in this study.

  • PDF

착륙선용 충격 완충장치에 대한 고찰 (Review on Shock Absorber for Spacecraft Lander)

  • 이춘우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93.2-193.2
    • /
    • 2012
  • 달착륙선 등과 같은 특수 목적을 위해 제작된 우주용 착륙선에는 착륙 시 전달되는 충격하중이 탑재장비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연착륙(soft-landing)을 위한 충격흡수 메커니즘이 구현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항공기에서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된 유공압식 완충장치를 주로 사용하여, 피스톤 압축으로 실린더 내부 오일 또는 압축공기가 오리피스를 통하여 분출됨에 따라 유체마찰 에너지를 활용한 충격 흡수장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상 장비용 유공압식 충격흡수 메커니즘은 진공 및 무중력 우주 환경하에서 오리피스 기능 상실, 유압유 기화 현상 및 극저온/고온 환경에서의 성능저하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우주용 착륙선 충격완충장치로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우주용 착륙선의 대부분은 충격에너지를 기계적인 좌굴 소성 변형에너지로 변환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허니콤을 주로 많이 사용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공 및 무중력 우주환경에서 착륙선 충격완충 장치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실리콘 포옴과 스프링을 조합하여 구성하였으며, 충격완충 매체로 유압유 및 공압을 대체할 수 있도록 실리콘 포옴을 후방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적용하여 오리피스를 통과한 실리콘 포옴의 변형에너지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함으로서 착륙 완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