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절 절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9초

신경외과 수술에서의 인공 생체재료

  • 심재준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1-6.1
    • /
    • 2009
  • 신경외과는 뇌수술과 척추수술로 나눈다. 이중뇌수술 분야에서는 두개강내압 항진시 감압술이라고 '머리의 뚜껑을 연다'라는 표현과 마찬가지로 두개골의 일부분(손바닥크기)을 절제하는 수술이 있다. 이때 과거에는 떼어낸 뼈를 복부의 피하지방밑에 심어서 보관을 하다가 3-6개월 후 환자의 뇌상태가 안정이 되면 다시 꺼내어 제자리에 놓았는데, 골편이 피하지방에서 녹는 경우가 다소 있고, 복부에 이식한 장소가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서 요즘은 냉동고에서 -70도를 유지하여 보관 후 나중이 복원 수술을 할 때녹여서 사용한다. 이를 '자가골 두개성형술' 이라 한다. 하지만골편의 오염이나 소실 혹은 1차 두개성형술 후 감염 등 어쩔 수 없이 자가골을 사용 못하는 경우에는인공으로 두개골편 모형을 제작하여 '뚜껑'으로 사용해야 한다. 현재PMMA를 이용하여 수술 시 모형을 제작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최근 단단한 스펀지 형태의 인공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매우비싸지만 스펀지 기공내로 자가골이 자란다는 장점이 있다. 척추수술 분야에서는 뼈 대치품을 비교적 많이필요로 한다. 즉 척추 후방고정을 하는 경우 원래 수술의 목적인 감압술이나 교정술 등을 한 후 척추분절간 쇠(티타늄사용)고정을 한 뒤에 뼈조직(자가골이나 동종이식골, DBM, HA stick) 등을 충분히 사용하여덮어줌으로써 분절간 골유합을 유도할 때 많은 양이 필요하며, 척추 전방으로 수술을 하는 경우에도 디스크공간이 빈 상태에서 Cage(추체와 추체를 지지하는 작은 상자모양) 내에뼈조직을 넣어서 척추분절간 골유합이 일어나도록 한다. 최근 HA를 cage 대용품으로 사용한 경우에서 HA가 부서지는 경우가 기사화된바 있다. 또한 경추의 추체 내에 작은 구멍만 뚫고 디스크 수술을 한 후에 그 구멍에 HA+B-TCP 소재를 넣어 천연뼈의 성장 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등 신경외과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소재들이 사용되고 있다.

  • PDF

우연히 발견된 폐내 이물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Surgical Management for Incidental Finding of an Intrapulmonary Foreign Body - A case report)

  • 고무성;이섭;박기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48-250
    • /
    • 2006
  • 48세 여자 환자로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폐내 이물로 내원하였다. 단순흉부촬영에서 좌상엽폐야에 약 4 cm 크기의 금속성 이물이 발견되었고, 흉부단층촬영에서 좌상엽 내에 바느질 바늘로 추정되는 이물이 확인되었다. 바늘 주위에 섬유화 및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수술은 개흉 후 이물을 포함한 쐐기절제를 시행하였고, 이물은 3조각으로 분절된 바늘이었다. 술 후 환자는 별다른 경과나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폐내 이물, 바늘의 수술적 제거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법랑모세포종으로 하악골 절제 및 재건술 시행한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 후 원인 미상의 인접 치아 정출이 발생한 증례 및 고찰 (A case of unexpected adjacent tooth extrusion after implant fixed prosthetic treatment, who had undergone mandibular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due to ameloblastoma)

  • 김수진;하태욱;김형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48-455
    • /
    • 2019
  • 법랑모세포종은 치성 상피성 양성 종양으로 재발률이 높아 주변 조직의 광범위한 절제 및 결손부의 재건을 필요로 한다. 술 후 치아 결손 부위의 보철치료 시에 재건 부위의 해부학적 한계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보철 치료가 추천된다. 본 증례에서는 법랑모세포종으로 인해 하악골 분절 절제술 및 장골을 이용한 하악골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재건 부위 상실치를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였고 임플란트 보철물을 장착 완료 한 14개월 뒤 원인 미상의 인접치 정출로 인해 임플란트를 포함한 전방부 치아에서 1 mm 가량의 개방 교합이 발생하였다. 성인에서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식립 후 잔존 성장으로 인해 임플란트 저위 교합이 발생하는 경우는 보고된 바 있으나 본 증례는 구치부에서 인접한 자연치의 정출로 인해 임플란트 보철물을 포함한 전방 치열의 개방 교합이 발생한 것으로 그 유사 보고가 흔하지 않다. 이에 정출된 치아를 압하 하는 교정 치료를 동반한 전체 치료 과정을 보고하고 원인 미상의 자연치 정출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수술후 폐기능 변화의 예측에 대한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스캔의 비교 (Comparison of Inhalation Scan and Perfusion Scan for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 천영국;곽영임;윤종길;조재일;심영목;임상무;홍성운;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11-119
    • /
    • 1994
  • 배경 및 목적: 폐암 환자의 다수가 흡연력이 있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병발되어 있으므로 수술후 폐기능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폐 절제술 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현재까지 99mTc-MAA를 이용한 폐관류 스캔이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론적으로 폐환기와 폐관류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 오차가 있을 수 있어 $^{99m}Tc$-DTPA 연무흡입 환기 스캔을 이용해 잔류 폐기능을 예측하여 관류 스캔을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수술전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 스캔을 시행하고 수술전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잔여 폐기능을 예측하고 수술후 2개월 뒤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보았다. 전 폐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전체 폐에 대한 잔류폐의 비 폐엽 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1-침범된 폐의 전체폐에 대한 비$\times$절제될 폐의 분절 수/침범된 폐의 총 분절 수) 결과: 1) $FEV_1$에서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과 실측치 간의 상관 계수는 0.94(p<0.0001), 폐관류 스캔을 이용한 경우는 0.86(p<0.0001)이었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FVC에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91(p<0.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0.72(p=0.0005)로 연무 흡입스캔으로 예측한 군에서 상관 관계가 좋았다. 3) $FEF_{25-75%}$에서의 결과는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87(p=0.0001), 폐관류 스캔에서는 상관 계수가 0.87(p<0.000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두 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군에서 비교한 결과를 보면 연무 흡입 스캔에서 상관 계수는 $FEV_1$ 0.97(p<0.0001), FVC 0.95(p<0.0001), $FEF_{25-75%}$ 0.85(p<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FEV_1$ 0.97(p<0.0001), FVC 0.96(p<0.0001), $FEF_{25-75%}$ 0.83(p<0.002)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수술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연무 흡입스캔 및 관류 스캔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비교적 정확했고 폐기능중에서는 $FEV_1$이 가장 상관 관계가 좋았다.

  • PDF

직장암에서 $^{99m}Tc$-항CEA 항체 $F(ab')_2$ 분절을 이용한 수술 전 방사면역신티그라피 및 방사면역지침수술에 관한 기초 연구 (Radioimmunoscintigraphy Using $^{99m}Tc-anti-CEA\;F(ab')_2$ Fragment in Rectal Cancer and a Pilot Study for Radioimmunoguided Surgery)

  • 류진숙;김진천;김창남;공경엽;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3-251
    • /
    • 200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Tc-99m 표지 항 CEA 항체의 $F(ab')_2$분절을 이용하여,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 전 방사면역신티그라피의 유용성을 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시행하였으며, 더불어 수술 시야에서 방사선 탐식자로 종양을 검출하는 조기 방사면역지침수술을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직장암으로 처음 진단 받은 환자로 수술 예정인 성인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99m}Tc$표지 항CEA항체(F023C5)의 $F(ab')_2$ 분절을 정맥 주사 후 4시간 전신 평면 영상과 18시간 복부와 골반부의 SPECT 영상을 얻어서 국소 섭취 증가 부위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방사면역지침수술은 주사 후 $21{\sim}26$시간에 시행되었고, 감마선 탐식자를 이용하여 개복 후 각 장기와 종양, 골반 림프절 및 배후 방사능을 측정하고, 수술로 적출된 종양과 림프절군의 방사능을 다시 측정하였으며, 병리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과: 19명 모두에서 수술 전 검사에서 발견되었던 병변들이 선암으로 진단되었고, 제거된 97개의 림프절군 중에 27개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었고 2례에서 간 전이가 있었다. 수술 전 방사면역신티그라피의 SPECT 영상에서는 20개의 원발 병소들 중 11례에서만 양성 소견을 보여 민감도는 55%였고, 림프절 전이나 간 전이 병소를 수술 전 발견할 수 있었던 예는 없었다. 수술 중 모든 환자에서 간, 비장, 신장, 대동맥 및 주요 혈관의 방사능이 매우 높았고, 원발 종양부위와 림프절의 방사능 측정치는 정상 대장이나 소장의 방사능과 구분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거된 조직들을 다시 감마선 탐식자로 방사능을 측정하였을 때, 원발 종양과 배후방사능의 방사능 측정치는 평균 $3.47{\pm}2.25$로 종양에서 방사능의 집적이 증가되어 있었다. 절제 후 97개 림프절군의 방사성 측정치를 분석하면, 배후 방사능보다 1.5배 이상 높은 방사능치를 양성 기준으로 판정할 때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률과 음성예측률은 각각 78.6%, 73.9%, 55.0%와 89.5%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Tc-99m 표지 항체는 항 CEA 항체의 $F(ab')_2$분절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높은 배후 방사능으로 조기 방사면역지침수술을 하는데 부적당하였고, 방사면역신티그라피도 수술 전 병기 결정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향후, 직장암 환자에서 Tc-99m 표지 항체를 이용하여 조기 방사면역지침수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배후 방사능을 줄이고 종양의 특이 결합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더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선천성 기관 협착 환자의 기관성형술 2예 (Tracheoplasty for Congenital Tracheal Stenosis-Two case reports-)

  • 임홍국;이창하;황성욱;이철;김재현;서홍주;정성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83-588
    • /
    • 2005
  • 선천성 기관 협착증은 드문 질환이며, 장분절성 기관 협착은 아주 치명적이다. 신생아나 영아에서 심한 호흡 부전이 발생하고 복합 심기형이 동반되면 수술 교정이 쉽지 않다. 선천성 심기형을 동반한 장분절성 기관 협착으로 인공 호흡기 이탈이 불가능한 2.6 kg 체중의 어린 영아 1예와 신생아 1예에 서 기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심실중격결손증 수술 후 미만성 기관 협착이 발견된 어린 영아는 기관 절제술 및 좌측 주 기관지로의 확장 문합술을 시행받았으며, 미만성 근위부 기관 협착과 팔로사징을 동반한 신생아는 활주 기관성형술과 팔로사징 완전 교정술을 동시에 시행받았다. 두 환아 모두 술후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현재 증상 없이 건강한 상태이다.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수술 -52례 경험-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A Review of 52 Surgical Procedures)

  • 강창희;이준복;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38-1142
    • /
    • 1996
  • 본 교실에서는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하여 199)년 10월부터 1996년 5월까지 52례를 수술하였다. 성비 는 남자 40명(76.9%), 여자 12명(23.1%)으로 3.3 : 1로 남자가 많았으며 나이는 15세에서 68세까지 평균 31.47$\pm$13.59세였다. 수술적응증은 기흉이 40례(76.9%)로 가장 많았으며, 진단적 폐생검 6례(11.6%), 다한증 3례(5.8%), 흉막의 국소성 섬유성 종양 1례(1.9%), 결핵종 1례(1.9%) 및 aspergilloma 1례(1.9%) 였다. 수술방법은 40례 기층환자에서 36례는 폐부분절제와 늑막유착술을 동시에 시행하였으며(일측, 32례, 양측, 4례), 4례 에서는 폐기포가 발견되지않아 늑막유착술만 하였다. 진단적 폐생검 6례, 폐결핵종과 흉막의 국소성 섬유성 종양에서는 폐부분절제하였으며 좌상엽설구역에 있던 aspergilloma는 설구역절 제하였다. 다한증 3례에서는 양측의 흉부 교감신경절제하였다. 수술시간은 일측 폐수술이 105.38 $\pm$49. 82분(45~280분)이 었고, 양측 폐수술은 174.29$\pm$84.2)분(80~320분)이 었다. 술후 흉관거치기간은 2.00$\pm$ 1.32일(0~6일)이었으며 술후 재원기간은 3.55$\pm$1.45(1~8일)이었다. 술후 합병증은 경도의 흉막액 2명, 발열 1명 등 경미하였\ulcorner며 수술후 재발은 기층환자에서 1명(1.9%)있었다.

  • PDF

분지쇄(分枝?)아미노산(酸)이 재생간(再生肝) 흰쥐에 미치는 영양학적(營養擧的) 효과(?果) (Effects of Branched Chain Amino Acids Added to a Diet on the Liver Regeneration in the Partial Hepatectomized Rat)

  • 김을상;복도수부;직전민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51-458
    • /
    • 1984
  • 18% casein식(食)을 대조식이(對照食餌)로 하여 분지쇄(分枝?) 아미노산(Leu. lie. Val.)을 첨가(添加)한 실험식이(實驗食餌)의 간부분절제후(肝部分切除後)의 Rat에 대한 영양학적(營養學約)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자유채취(自由攝取)시키면, 실험식이군(寶驗食餌群)은 대조식이군(對照食餌群)에 비하여 6일(日)째까지 식이채취량(食餌攝取量)이 적지만, 8 일(日)째부터는 증가하고 체중증가(體重增加)도 그와 평행하였다. 14 일(日)째에 간(肝)의 부분절제(部分切除)를 행하면, 7 일후의 체중(體重)은 식이채취량(食餌攝取量)은 동일(同一)하면서도 실험식이군(實驗食餌群)에서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간부분절제후(肝部分切除後) 5 일(日)째의 간재생중량(肝再生重量) 및 간재생지수(肝再生指數)도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보아, 분지쇄(分枝?)아미노산 첨가식이(添加食餌)는 재생간(再生肝) Rat에 대하여 체중증가(體重增加) 및 간재생(肝再生) 보호작용(促進作用)에 있어서 영양학적(營養學論) 효과(效果)가 있다는 것이 인정(認定)된다.

  • PDF

식도-결장-위 문합술후 만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결장-기관지루 (Colobronchial Fistula as a Late Complication of Esophagocologastrostomy)

  • 이철범;한성호;함시영;지행옥;김혁;정원상;김영학;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77-81
    • /
    • 2002
  • 식도-결장-위 문합술후 발생한 매우 드믄 합병증인 결장-기관지루 1례를 최근 체험하여 이를 보고한다. 환자는 53세 남자로 부식성 식도 및 위 유문부 협착으로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을 받은 30개월후부터 음식물 섭취시 기침, 고열, 오한, 화농성 객담의 호흡기 증상이 반복되었다. 단순 흉부 X-선 촬영과 전산화 단층 촬영상 흡인성 폐렴과 좌폐하엽이 완전 무기폐 소견을 보였다. 식도내시경과 바륨 식도조영술로 식도-결장 문합부 직하방의 결장과 좌폐하엽 상분절 사이의 누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술은 결장-기관지루의 폐쇄술과 좌폐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식도-결장-위 문합술후 음식 섭취시 반복적인 심한 기침이 발생할 경우 매우 드물지만 만기 합병증으로 결장-기관지루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원발성 위암으로 오인된 전이성 비소세포 폐암 1예 (Gastric Metastasis of Primary Lung Adenocarcinoma Mistaken for Primary Gastric Cancer)

  • 박영식;이진우;임효정;이건국;황보빈;이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1호
    • /
    • pp.52-57
    • /
    • 2009
  • 전이성 위암은 발생 빈도가 매우 낮으며, 부검 연구를 통한 발생률은 0.2%에서 1.7%으로 알려져 있다. 전이성 위암과 원발성 위암은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으며, 특히 병리학적으로 선암이 나온 경우 임상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64세 남자 환자가 외부병원에서 객혈을 토혈로 오인하여 우연히 발견하게 된 위악성종양에 대해 위부분절 제술을 먼저 시행 받았다가, 이후에도 지속된 객혈로 폐암이 발견되어 다시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다시 재발한 폐암으로 본원을 방문하였다가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최초의 위암이 폐암의 위 전이였음을 확인한 드문 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