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석 및 활용 가능성

Search Result 3,28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시스템다이내믹스 학문적 매출성적: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방법론의 확산과 발전

  • Park, Heon-Jun;Kim,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5.04a
    • /
    • pp.1-36
    • /
    • 2005
  • 본 연구는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방법론이 학문적으로 어떻게 활용,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보고, 특히 1984년부터 2004년에 이르리까지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학술연구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시스템다이내믹스의 발전 가능성과 확산 가능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방법론이 어떻게 각 학문 분야로 진입하여 수용되고 확산되고 있는지 98개 해외저널에 출판된 시스템 다이내믹스룰 활용한 207개의 논문에 대한 계량적 내용분석을 통하여 분야별, 시기별 진화행태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방법론의 활용범위 및 활용행태를 내용분석 함으로써 시스템다이내맥스 연구방법론이 활용될 수 있는 범위가 넓고 다양하며 공통된 특이성을 가지고 있음을 찾아낸다. 이러한 확산 가능성 및 연구방법론의 특징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시스템다이내믹스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수학 I 교과서의 통계 단원에 대한 분석 - ICT 소재의 활용성 및 접근용이성을 중심으로 -

  • Lee, Gang-Seop;Kim, So-Y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453-46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발행된 수학I 교과서의 통계단원에 수록된 ICT 소재에 대하여 활용성 및 접근용이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즉 각 교과서에 소개된 모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보았으며 그 내용 및 활용의 용이성을 분석하고 소개된 사이트의 폐쇄 여부와 학생들의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교과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통계 단원의 보완점을 모색하고, 교육현장에서 기본 자료로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Procedure to Build Urban Sustainability Indicators -Based on a Case Study in America-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 연구 시설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경기;황희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307-319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요구되는 ‘지표’의 개발방법과 절차를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지역으로 미국의 잭슨빌, 시애틀, 오레건 지역을, 지표개발을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Maclaren의 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성 지표는 단순한 평가수단이 아니라 그 개발과정을 통해 시민그룹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과 동시에 구성원의 협력과 노력에 입각하여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강력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를, \circled1 지표개발 주체 형성 \circled2 목표 및 비전의 정립 \circled3지표개발에 따른 기본방침의 설정 \circled4 지표개발을 위한 측정 및 분석 \circled5 예비지표의 발굴과 지표선택기준 마련 \circled6 예비지표 평가를 통한 최종지표의 선택 \circled7 지표에 대한 측정 및 분석 \circled8 지표분석 결과 보고 및 발표 \circled9 지표작업평가 및 새로운 목표 수립 등 9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 개발절차는 우리 나라의 지역 및 도시단위에서 지속가능성 도시지표를 설정하는데 준거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 PDF

EDISON SW를 이용한 복합재료의 구조해석 시뮬레이션 적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Lee, Da-Un;Kim, Yong-Se;Sin, Sang-J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311-316
    • /
    • 2017
  • EDISON 사업은 이공계 교육 연구 산업용 시뮬레이션 SW의 국산화 및 활용에 취지를 두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묘사하고자 하는 해석 시뮬레이션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SW의 기반이론을 이해하고 해석대상물에 따른 SW의 선택 및 조합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EDISON SW만을 이용한 복합재료의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그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Korean Irregular Verbs Using Syllable Characteristics (음절 특성을 이용한 한국어 불규칙 활용 어절의 형태소 분석 방법)

  • 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385-394
    • /
    • 1993
  • 한국어 형태소 분석 시스템은 형태소를 분리하거나 원형을 복원하는 후보 생성 과정에서 많은 후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사전의 검색이 요구되는 부담이 있다. 특히, 불규칙 활용 어절을 분석하려면 불규칙 활용 어절뿐만 아니라 체언 어절이나 불규칙 활용이 일어나지 않은 모든 어절에 대해서도 불규칙 어절일 가능성을 검사하고, 원형을 복원하기 위해 원형의 후보들을 역으로 추정한 후에, 각 후보에 대해 사전을 검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불규칙 활용 가능성으로 인한 후보들의 과다한 생성은 사전 검색 횟수의 증가를 유발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의 음절 특성을 이용하여 불규칙 활용이 일어난 후보 어절의 수를 줄임으로써 사전의 검색 횟수를 적게 하고 형태소 분석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Land-cover features analysis using reflectance of satellite images (인공위성영상자료의 분광반사율 특성을 이용한 고창지역의 토지피복현황분석)

  • Lee Sung-Soon;Chi Kwnag-H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83-286
    • /
    • 2006
  •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하는 원격탐사는 지질, 환경, 지형도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특히 다중 및 초분광영상자료는 태양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지표면 전자기파의 반응을 영상화하는 다중 및 초분광영상자료의 활용을 위해 분광반사율정보가 더욱 활발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창지역에 대해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분광반사율 및 USGS 분광라이브러리 성과를 이용하여 다중파장대 위성영상자료인 ASTER와 분광반사율을 이용한 위성영상의 활용가능성 및 검보정의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P2P 사용자 인증과 OTP 분석

  • Moon, Yong-Hyuk;Kwon, Hyeok-Chan;Nah, Jae-Hoon;Jang, Jong-Soo
    • Review of KIISC
    • /
    • v.17 no.3
    • /
    • pp.32-40
    • /
    • 2007
  •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프라로 부각되고 있는 P2P(Peer-to-Peer) 네트워크는 사용자 제작 콘텐트, 동영상, 파일 등으로 대표되는 지식 콘텐트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네트워크 자원(Resource)을 다양한 환경에서 N 대 N의 형태로 상호 공유 및 분배할 수 있는 구조적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Open, Dynamic, Anonymous"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P2P 네트워크는 신뢰적 ID(Identity) 생성 및 관리 그리고 이의 적절한 인증에 대한 지원 없이는 현실적으로 잠재적인 보안 위협에 노출되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한편, 최근 금융보안업계가 주축이 되어 일회용패스워드로 지칭되는 OTP(One Time Password) 인증 메커니즘(Authentication Mechanism)을 제 1 등급 보안방법으로 명시화하고 있고, 온라인 업계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기술적 시도 및 개발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OTP 기술의 보안성 검토 및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흐름 및 산업계 동향에 발맞춰 P2P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OTP 메커니즘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이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다.

The Verification of updating road based digital map using GPS-Van (GPS-Van을 이용한 도로기반의 수치지도 수정 가능성 검증)

  • Jeong, Ju-Kwon;Joo, Young-Eun;Choi, Jong-Hyun;Park, Su-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75-181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및 행정자치부 등 범국가적으로 2000년까지 제 1단계 사업을 마쳤으며, 2001년부터 제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가지형 및 시설물 등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속성정보의 획득, 저장, 관리, 활용을 위한 신속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이 요구된다. 또한 도로시설물을 비롯한 다양한 지형지물정보는 공간정보를 다루는 도시, 교통, 물류, 환경 및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 및 계획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이고 이와 같은 정보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되어야 하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신기술을 적용한 작업방법론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도 신기술인 "차량탑재 모바일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 GPS-Van) 개발이 완료되었고, 이를 활용한 각종 지형공간정보의 수정 갱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방법론에 대한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인 GPS-Van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을 위한 정확도 분석 및 오차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보다 높은 정밀도의 도로기반 수치지도 수정 갱신의 가능성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undamental Study about the Applicability of Mud Flat as a Concrete Admixture and Filler (갯벌의 콘크리트용 혼화재 및 채움재로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

  • Yang, Seong-Hwan;Kang, Y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6 no.6
    • /
    • pp.571-578
    • /
    • 2016
  • Recently, review on viability of various industrial by product and natural materials as raw material for concrete has been actively done in aspect of environment-friendly issue and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 This study conducted fundamental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mud flat as admixture and filling material for concrete. First, chemical analysis on the viability of mud flat as admixture was done and the researchers compared it with the substance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According to the result, substance content was proven to be inadequate. In addition, as the replacement rate of mud flat increased,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decreased. According to the estimated result of chemical substance analysis, possibility of utilizing mud flat as admixture was low.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done as filling material, 10% ~ 30% replacement rate of mud flat manifested more than 8 Mpa of compressive strength of block which may be utilized for secondary product. However, additional experiment such as making block is required afterwa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flow experiment, as the replacement rate of mud flat increased, flow value decreased, and through chloride content analysis test, it was proven that mud flat is inappropriate to be applied as steel beam using structure since it has high content of sodium. It may be utilized as products that does not use steel beam such as internal brick.

A study on the uncertainty assessment of Clark unit hydrograph with limited events (제한된 수문사상을 갖는 유역의 단위도 매개변수 산정 불확실성 분석에 관한 연구)

  • Kwon, Ji-Hye;Park, Jiyeon;Kim, Tae Hyung;Shin, Cheol-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3-423
    • /
    • 2015
  • 국내에서는 유역의 설계홍수량을 결정하기 위해 강우-유출 사상에 의해 유도된 대표단위도를 활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으나, 유역의 실측 호우사상이 부족한 경우 대표단위도의 신뢰성은 종종 논쟁의 여지를 갖게 된다. 이는 제한된 수의 자료를 활용하여 도출된 매개변수의 평균이나 최대/최소값으로 채택되는 대표단위도를 통해 산정되는 설계홍수량이 왜곡될 수 있는 가능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매개변수 산정 및 검정에 활용되는 사상의 수와 질이 설계홍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호우사상의 수가 제한된 유역의 경우 Clark 단위도의 매개변수 도출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유역은 비교적 다량의 실측 호우사상을 갖는 국내 중규모 댐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호우사상 모집단의 수가 N개일 때 단위도 유도에 활용되는 사상을 2개부터 N-1개까지 증가시켜 가며 분석대상이 되는 호우사상이 무작위로 선정될 경우를 가정하였다.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을 각 호우사상 수별로 100회씩 적용하였으며, 이 때 확률변수는 등분포함수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여 각 호우사상이 선정될 가능성을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호우사상별 매개변수들 중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평균값과 최소값을 대표단위도(평균, 최대)의 매개변수로 각각 채택하여 설계홍수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선정된 호우사상의 양과 질에 관계없이 호우사상 수가 증가함에 따라 채택되는 대표단위도의 매개변수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설계수문곡선의 첨두홍수량 분포는 음으로 왜곡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설계홍수량이 과소산정될 가능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대상유역의 분석 대상 호우사상 수가 증가하면 대표단위도 매개변수 및 설계홍수량 산정결과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설계홍수량 산정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향후 설계홍수량 산정 및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자들의 판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