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석 단위지역

Search Result 1,64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Methodology of Industrial Integration by Spatial Unit: Based on Root Industry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 Kim, Seo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256-266
    • /
    • 2020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dustrial location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spatial policies and pla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n this analysis is what analysis indicators and spatial units are used,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nalysis indicators and the spatial unit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various industrial integration indicator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uggests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of industrial aggreg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lated indicators. And then,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oot industry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analyzing industrial integration by various spatial units such as individual locations, grid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grid in the spatial unit can be analyzed in more detail than the administrative uni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uch as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etting of spatial units. In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the south-eastern region of Ulsan, Busan, and Changwon, and the western region of the SMA of Incheon, Hwaseong, and Ansan were analyzed as the industrial cluster type.

Analysis on ICT Industry and Innovation Value Chain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대구경북권 ICT산업 현황 및 지역 혁신가치사슬 분석)

  • Kim, J.S.;Min,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71-79
    • /
    • 2017
  • 지역경제의 성장과 혁신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ICT산업인프라가 집적된 대구 및 경북지역의 ICT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혁신가치사슬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도구를 제시하였다. 지역혁신가치사슬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 지역혁신체제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와 자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역단위의 혁신역량 분석은 지역 내의 혁신자원의 수준을 파악하고 혁신프로세스를 평가하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혁신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혁신의 투입과 산출단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본고에서는 전환단계를 포함한 혁신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지역 혁신가치사슬은 다른 지역 및 국가 단위 혁신체제에도 일반화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area conversion of paddy to field based on reservoir irrigation region (저수지 수혜구역단위 논 전작화 패턴 분석)

  • 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Rok Gi;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7-467
    • /
    • 2021
  • 기존 저수지 농업용수는 주로 논의 벼재배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논 지역 타작물 재배 지원 등의 정책으로 논에서 밭으로 전작화가 증가함에 따라 농업용수의 효율적 분배를 위한 논의 전작화 패턴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포털의 2019년 팜맵을 활용하여 최신 경지 현황을 파악하고, 환경부의 2007년, 2019년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전작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구축된 팜맵과 토지피복지도는 환경부 토지피복분류 기준 농업지역 중분류로 일치시켜 분석에 활용되었다. 논, 밭, 시설재배지 등의 농경지 이용 현황 및 전작화 추이는 전국 단위, 권역 단위로 분석되었고, 주요 시도와의 공간적 거리를 전작화 영향인자로 설정하여 DUP(Degree of Urban Proximity) 등의 지표로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경지 중 논, 밭의 면적과 증감 추이를 ACR(Area Change Rate) 등의 지표로 전작화 규모를 파악하였고, LPI(Largest Patch Index), LSI(Landscape Shape Index) 등의 지표로 개별/집단화 전작의 패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저수지 수혜 구역별 논의 전작화 패턴은 논 벼재배와 농업용수 수요 특성이 상이한 밭작물에 안정적 용수공급 체계 구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Study of Restoration a Case And Techniques in Complex Damaged Area (복합피해지역의 복구 사례 및 기법 연구)

  • Cho, Seung-Ho;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69-1774
    • /
    • 2009
  • 재해 복구란 국가, 유역은 물론 지구단위 차원에서 개발이 진행 중인 통합적 개발과정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해를 입은 기간시설의 단순 재배치나 복원이 아니라 피해지역의 사회, 경제적 조건은 물론 재해 전, 중, 후에 지역사회가 지닌 취약성을 개선하는 기회로 추진되어야 하며 주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국내외 복합피해지역의 복구사례로 강릉시(2002, 태풍 루사), 김천시(2002, 태풍 루사), 미국 뉴올리언스(2005,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피해상황과 복구사업을 대상으로 조사 정리하였다. 복합피해지역의 지구단위 종합복구를 위한 지구별 복구기법은 피해조사, 종합복구계획의 수립, 종합복구계획의 작성 및 복구사업추진으로 순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복구사업 시행으로 인한 2차 피해의 방지를 위하여 사업 대상지역은 물론 인근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업 대상지에 지구단위종합복구기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search on Areal Interpolation Methods and Error Measurement Techniques for Reorganizing Incompatible Regional Data Units : The Population Weighted Interpolation (지역 자료의 공간 단위 재구성 기법 및 에러 검증 : 인구가중치 내삽법)

  • Shin, Jung-Yeo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2
    • /
    • pp.389-406
    • /
    • 2004
  •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regional studies, the importance of regional data has been recogniz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However, due to potential problems from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aggregate regional data for the research, and incompatible regional units between source and target regional data units, the method for reorganizing the regional data units for a given research analysis should be required.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significant interpolation methods for reorganizing the data units and, based on it, to propose the population weighted interpolation method. For the first purpose, areal weighted interpolation method, pycnophylactic method, dasymetric method, area-to-point method were reviewed. The proposed population-weighted interpol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case study of population census regional data in Erie County, NY, compared with areal weighted interpolation method, pycnophylactic method in terms of several statistical characteristics.

  • PDF

Test of the Scale Effect of MAUP in Crime Study: Analyses of Sex Crime Using Nation-Wide Data of Eup-Myon-Dong and Si-Gun-Gu (범죄연구에 있어 가변적 공간단위 문제(MAUP)의 스케일효과 검증 : 전국 읍면동과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 분석)

  • Cheong, Jinseong;Park, Jo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150-159
    • /
    • 2015
  •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scale effect of MAUP,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sex crime, correlations among neighborhood structural variables, and causal mechanism leading to sex crime. Analysis results of nation-wide Eup-Myon-Dong and Si-Gun-Gu data discovered tha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rrelation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determinant coefficient of multiple regression of Si-Gun-Gu level were generally bigger and stronger than those of Eup-Myon-Dong, which appeared to be due to the averaging effect. Regarding the causal effect to sex crime, two interest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ratio of non-apartment residency lowered sex crime at both levels contrary to the hypothesis. Second, the ratio of food and lodging increased sex crime only at Eup-Myon-Dong level. These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need to perform more detailed analyses dividing data into subsets such as urban vs. rural and/or economically advantaged vs. disadvantaged areas.

동해안지역에 적합한 풍력발전시스템에 관한 조사

  • 오철수;강창수;권순홍
    • 전기의세계
    • /
    • v.41 no.10
    • /
    • pp.3-9
    • /
    • 1992
  • 동해안의 6개 예정입지 지점의 다년간 기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개지점 정도의 유수한 후보지를 발견하였다. 특히 장기갑의 평균풍속은 제주도 월항지역 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 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풍력터빈의 형식으로 수직축 Darrieus Type을 검토한 결과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수직축 터빈은 풍속 6m/s이상이면 정격의 발전모드에 진입하니, 3개 지역의 분석결과 년4000시간 이상의 발전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단위 풍력발전 용량은 향후 상세설계가 뒤따라야 하겠지만, 대략 150-200KW로 산정되며 년간 단위 기계에서 600-800Mwh의 전력을 얻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Review of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on Disaster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단위 검토)

  • Park, Jong Young;Lee, Jung Sik;Son, Ho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2-37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분석단위가 되는 집계구 단위와 더불어 동 단위를 추가하여 기후노출의 공간분석단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기후노출에 대한 분석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 3.0)에서 제시되고 있는 ArcGIS의 Jenks 최적화방법을 활용하여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기후노출지표는 폭우재해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우일수, 연평균 시간최대강우량의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기후노출지표만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요구되는 기후노출 지표값은 경상북도 인근의 최근 10년간 기상청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분석 단위의 검토 결과, 기후노출 지표 특성에 따라 기후노출의 지리적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며, 현재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계구 단위를 통한 분석과 추가적인 동 단위를 통한 분석은 지역별로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이 뒤바뀌는 양상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재해특성별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은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의 활용성을 감안해 볼 때 매우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며,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에 대한 연구가 향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NETWORK Model at Geum River Basin Downstream (NETWORK 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하류지역 물수지 분석)

  • Jeon, Kyeong Soo;Muhammad, Azam;Maeng, Seung Jin;Choi, Si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9-589
    • /
    • 2015
  • 물은 인간생활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용수 수요량은 도시화로 인한 인구증가와 기상 이상화 현상으로 인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연평균강우량 2/3가 6, 7, 8월에걸쳐 3개월 동안의 강우량에 따라 가뭄빈도가 잦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피해는 앞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다. 실제로 2012년 5 ~ 6월 충남 서부지역에서는 예년평균의 20%로 관측되어 전국최대의 가뭄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하천의 효율적인 이용 및 보전계획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B(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Boston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인 K-WEAP(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중권역 단위의 물수지 분석에서 시군 행정구역단위로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공급방안 제시하였다. 이 때 이용된 권역별 유출량 자료는 강우-유출 모형인 Tank 모형을 통해 산정하였으며, 네트워크는 시군 행정구역단위 모의 목적에 따라 구현하여 적용하였다. 물수지 계산시간 간격은 최대 갈수년 1967년을 설정하여 목표연도 2025년까지 총 45년간 반순단위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물수급 분석 방안에 의한 산정결과 생공용수의 지역적 물수급 불균형과 농업용수의 월별 물부족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어 가뭄에 대비한 중장기적 이수전략, 다양한 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Regional Nitrogen Loading of Animal Manure by Manure Units in Cheorwon-gun (분뇨단위 설정에 의한 철원군 지역의 가축분뇨 질소부하 평가)

  • Ryoo, Jong-Won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8 no.1
    • /
    • pp.45-5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ive basic information of the animal manure management by manure units determination for recycling farming in Cheorwon-gun. Manure units (MU) are used in the permitting, registration, and the environmental process because they allow equal standards for all animals based on manure nutrient production. An MU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animals by manure unit factor for the specific type of animal. The manure unit factor for MU determination was determined by dividing amounts of manure N produced 80 kg N/year. Conversion to manure units is a procedure used to determine nutrient pollution equivalents among the different animal types. In this study, the manure unit factor based on nitrogen in Hanwoo, dairy cow, pig were 0.36, 0.8 0.105,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manure unit per ha shows that the N loading by MU is quite different by region. The nitrogen loading of manure unit (MU) per ha of cultivated land was the highest in the Galmal-eup on province with 2.4 MU/ha, which i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The Seo-myeon province came next with 1.92 MU/ha. To be utilized as a valid program to build the recycling farming system, diverse measures shall be mapped out to properly determine manure units, evaluate N-loading and to properly manage their nutrient balance of each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