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석 단계

Search Result 14,695, Processing Time 0.087 seconds

Analysis of Start-up Success Factors by AER Case (AER(Asan Entrepreneur Review)사례를 통한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 Lee, Sangjo;Nam, Jungm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2
    • /
    • pp.39-50
    • /
    • 2018
  • A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uccess factors of start-up based on the AER case study.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In the early stage, the success factors of start-up are the entrepreneur's history, experience, expertise, prompt judgment, problem-solving ability, the capacity and teamwork of its members, business networks and supporting government start-ups. In the commercialization stage, securing commercialization and investment funds, timing, differentiation strategy, overseas advancement, and acceptance of customer feedback are important. In the growth stage (maturity stage), new product launches and diversification, and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ought success factors and implications for each stage and sought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Facilities using LCA Technique (전과정평가(LCA)기법을 이용한 농업수리시설의 환경영향 분석)

  • Kim, Young-Deuk;Choi, Yo-Han;Kim, Hae-Do;Jo,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56-1660
    • /
    • 2010
  • 저수지와 양수장은 우리나라에서 용수공급면적기준으로 전체 공급량의 78%를 차지하는 중요한 용수 공급시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수지와 양수장의 환경영향을 LCA기법을 이용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시설들의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수리시설로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이동저수지와 은산양수장을 선정하여 각각에 대하여 농업수리시설의 전과정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네덜란드 Pre사가 개발한 소프트웨어 Simapro 7.1를 이용하였다. 두 시설에 대한 원료물질 취득 단계부터 건설, 운영, 유지관리 및 폐기단계까지 전과정의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종류의 시설 설치에 따른 토지이용, 상 하류의 생태적 영향 등이 고려되지 않았지만 저수지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양수장에 의한 용수 공급보다 환경친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저수지의 경우 건설단계의 환경영향이 크고, 양수장의 경우, 운영단계에 환경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별로 환경영향은 저수지는 건설단계에 건설재료 예를 들어 레미콘, 시멘트 등이 환경부하를 크게 발생시키기 때문이고, 양수장은 이용 단계에서 용수공급을 위한 전력사용에서 기인하는데, 이는 전력생산시 화석연료와 같은 자원소비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토목시설물중 농업 용수 공급시설의 전과정에서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LCA가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하드웨어적인 시설뿐만 아니라 농업용수 공급에 따른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농업용수 LCI D/B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emi-Automatic Tree Annotating Workbench Using Neural-Networks (신경망을 이용한 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 임준호;곽용재;박소영;임해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83-485
    • /
    • 2003
  • 구문분석 말뭉치는 통계적 구문분석 분야의 필수적인 항목으로 많은 유용성을 가지지만, 말뭉치를 구축할 때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축자의 수작업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신뢰도 있는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신경망을 사용하는 반자동 구문 분석 말뭉치 구축도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발된 도구는 구문패턴 추골, 신경망 학습, 반자동 구축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구문패턴 추출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자질집합을 사용하여 기존에 구축된 말뭉치에서 구문패턴들을 추출하고, 신경망 학습의 단계에서는 추출된 구문패턴들을 사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한다. 그리고, 반자동 구축 단계에서는 학습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반자동으로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양한 자질집합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학습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 집합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소량의 구문분석 말뭉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약 42.5%의 수작업 횟수 감소율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ies on the Metabolism of the Amphibian Embryo 2. Patterns of Amino Acids and Nitrogen End Products (양서류 발생란의 물질대사에 관한 연구 2. Amino Acid Pattern 과 Nitrogen End Products 에 관하여)

  • 하두봉;이양림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7 no.1
    • /
    • pp.33-38
    • /
    • 1964
  • 한국산 도롱뇽 (Hynobius leechi BOULENGER) 발생배의 질소화합물의 대사를 연구하고져 발생단계에 따른 단백질구성(아미노) 산의 촉진(아미노) 산의 정성적 분석과 질소 배설물(ammonia, urea, uric acid, creatine and/or creatinine, total nitrogen)의 정량분석을 미수정란, 란할배, 포배, 양배, 신경배 및 부화직전의 배에 대하여 행하였다. 1. 발생단계에 따른 발생배내 단백질구성 (아미노산)은 전 단계를 통하여 일양하게 18종씩 검출되어TRh 유리 (아미노산) 은 17 내지 23 종 검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유리(아미노산) 분포상에 큰 변화가 없었다. 2. 발생단계에 따른 질소배설물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Ammonia 와 urea 의 배내 함량은 미수정란에서부터 양배까지 점차 감소하여 양배 이후 부화직전배까지 급격히 증가한다. Uric acid의 함량은 전 단계를 통해 미소하였으며 creating and/or creatininie 은 본 실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발생단계에 따른 발생배내 ammonia 함량에 대한 sodium azide의 영향은 농도에 따라 이원적인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A Question Answering System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ategory Information of Thesaurus (시소러스범주정보를 이용한 질의응답시스템)

  • 김수민;백대호;김상범;임해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179-183
    • /
    • 2000
  • 정보검색시스템은 사용자의 질의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검색시스템은 단어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질의를 입력받아 문서를 검색해 주고, 사용자는 그 문서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다시 찾아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자여어질의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좀 더 근접한 형태의 답으로서 제한된 길이의 짧은 답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시스템은 크게 질의분석단계, 문서검색 및 분석단계, 정보추출단계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 질의분석단계에서는 의문사 정보와 오토마타, 시소러스 범주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에 대한 정답이 될 수 있는 단어의 속성을 예측하였다. 문서분서단계에서는 정답이 될 수 있는 단어의 후보를 선정하기 위해서 시소러스의 범주정보를 사용하였고, 선정된 정답후보중에서 정답을 추출하기 위해 각 후보단어의 질의단어와의 평균거리가중치, 범주간유사도, 공기질의어비율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평균거리가중치만을 이용하는 것 보다 범주간유사도와 공기질의어비율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성능의 향상을 보였다.

  • PDF

State Minimization for Analysis of Real-Time Systems Based on State Space Abstraction (상태 공간 추상화에 기반한 실시간 시스템의 분석을 위한 상태 감소)

  • 박지연;박주호;조기환;이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571-57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상태 기계(Real-time State Machine, RSM)로 명제된 실시간 시스템의 행위의 쉽고 간결한 이해, 분석을 위한 새로운 상태 최소화 방법을 기술한다. 시스템의 행위를 보여주는 RSM 실행에 대한 상태는 제어 변수, 자료 변수, 시간 변소의 집합에 의해 정의된다. 상태 최소화는 4단계 추상화인 계산(computation), 제너릭(generic) 패턴, 한계 간격(limit interval), 동일 범위(coordinate scope) 추상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계산 추상화 단계에서는 연속적인 계산으로 연결된 다수의 상태를 하나의 상태로, 일반 패턴 추상화 단계에서는 상수 또는 함수 관계에 있는 동일 제어의 연속된 일련의 상태들의 집합을 하나의 제너릭 패턴으로 통합한다. 한계 간격 추상화 단계에서는 특정 값으로부터 음의 무한대나 양의 무한대 값으로 단조 증가, 단조 감소하는 값 사이에 있는 상태들을 하나의 상태로 통합한다. 마지막으로, 동일 범위 추상화 단계에서는 같은 범위에 존재하는 일련의 상태들을 하나의 상태로 통합한다. 각 추상화의 적용은 제어, 데이터, 시간의 무한한 상태 공간을 유한한 상태공간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많은 상태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시스템 행위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 복잡도가 적은 개념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 PDF

Two-Phase Shallow Semantic Parsing based on Partial Syntactic Parsing (부분 구문 분석 결과에 기반한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

  • Park, Kyung-Mi;Mun, Young-S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1
    • /
    • pp.85-92
    • /
    • 2010
  • A shallow semantic parsing system analyzes the relationship that a syntactic constituent of the sentence has with a predicate. It identifies semantic arguments representing agent, patient, instrument, etc. of the predicate. In this study, we propose a two-phase shallow semantic parsing model which consists of the identification phase and the classification phase. We first find the boundary of semantic arguments from partial syntactic parsing results, and then assign appropriate semantic roles to the identified semantic arguments. By taking the sequential two-phase approach, we can alleviate the unbalanced class distribution problem, and select the features appropriate for each task. Experiments show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phase on the test data.

A Study on Influential Change of Location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정비사업추진단계별 입지변수들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 Lim, Jae Moon;Oh, Se Kyung;Kwon, Tae J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5
    • /
    • pp.2135-2146
    • /
    • 2013
  • Most researches about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deal with different process phase in order to examine important affecting variabl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fluential change of location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Generally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consists of four phases such as site designation, project committee approval, residents association establishment and final project approval. The discriminant and correlation analyses are employed to examine the changes of locational variables by each phase of the project process. In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s, the finding shows that locational variables in the final project approval phase act differently from those in the other phases.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s act similarly among the four phases in the case of residental rebuilding projects although the significant level of discriminant analysis result, in the site destination phase, is relatively low significance. Therefore, there is no difference among the project process phase to examine to what extent of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A Complexity Metric for Class-Driven Analysis Models (클래스 기반 분석모델에 대한 복잡도 메트릭)

  • 김유경;박재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16-518
    • /
    • 2000
  •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설계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정량적 메커니즘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개발비용을 예측하기 위한 요구가 커질수록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의 초기에 측량해야 하는 필요성은 더욱 강해진다. 따라서, 분석단계 산출물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측량은 나머지 개발 주기 단계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결함에 대한 예측이나, 시스템의 개발에 소요될 노력과 비용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 기반(class-driven)의 분석 모델링 절차에 따라 작성되는 모델을 사용하여, 클래스의 책임과 협력 관계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 클래스에 대한 복잡도를 측량하기 위한 메트릭을 제안한다. 제안된 메트릭은 클래스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협력의 복잡도와 인터페이스 복잡도를 포함하며, 개별 클래스의 복잡도를 사용하여 전테 시스템의 복잡도를 계산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개발 생명주기의 가장 초기 단계인 분석단계에서 클래스를 어떻게 분할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적 직면했을 때, 올바른 클래스 분할을 선택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나머지 개발 단계에서 개발에 요구되는 노력과 시간을 예측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Flood Risk Forecasting using Logistic Regression for the Han River Basin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한강권역 홍수위험 예보기법 개발)

  • Lee, Seon Mi;Choi, Youngje;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4-354
    • /
    • 2021
  • 2020년은 장마기간이 49일간 지속됨에 따라 침수, 산사태 등 많은 홍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서울에서는 한강 본류의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둔치 및 도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하천의 수위증가로 인한 홍수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홍수통제소 및 기초지자체에서는 홍수특보를 발령한다. 이 홍수특보는 수위관측소 지점별 계획홍수량의 50 %, 70 % 이상의 홍수량이 발생할 경우 홍수주의보와 홍수경보가 발령되며, 이 기준은 각 권역별로 동일하다. 하지만 2017년 의정부시에서는 중랑천 수위증가로 인해 주변 지역에 침수피해가 발생하였지만, 이때 홍수량은 계획홍수량 대비 약 30 %에 불과하였다. 이처럼 한강권역 내 하천수위 증가로 인한 홍수피해는 계획홍수량의 50 % 이내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권역을 대상으로 현재 2단계로 발령되는 홍수특보를 3단계로 세분화하고자 하였다. 단계별 홍수량 위험기준을 산정하기 위해 과거 홍수피해 발생 이력이 있는 한강권역 내 43개의 수위관측소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지점별 홍수기 동안의 홍수량 및 피해액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단계별 홍수량 기준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피해발생 확률을 산정하였다. 1단계 기준은 계획홍수량 대비 홍수량 비율과 홍수피해 발생여부를 고려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구축한 후 3계 도함수에 적용하여 홍수피해 발생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특이점을 산정하였다. 2단계와 3단계 기준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중 계층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지점별 피해액 비율이 60 ~ 80 %, 80 ~ 100 % 구간에 속할 확률을 산정하고, 1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특이점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지점별로 기존 제공되고 있는 홍수특보 기준을 과거 발생한 홍수피해를 고려하여 세분화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지역별 홍수피해 저감대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