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ransformation of Spatial Query Region for Resolving Mismatchs in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위치 불일치 해결을 위한 공간질의영역 변형)

  • 황정래;강혜영;이기준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1 no.4
    • /
    • pp.362-372
    • /
    • 2004
  •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building a distributed GIS lies in the heterogeneity of spatial databases. In particular, positional mismatches between spatial databases, which arise due to several reasons, may incur incorrect query results. They result in unreliable outputs of query processing. One simple solution is to correct positional data in spatial databases at each site, according to the most accurate one. This solution is however not practical in cases where the autonomy of each database should be respe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 query processing method without correcting positional data in each spatial database. Instead of correcting positional data, we dynamically transform a given query region or position onto each space where spatial objects of each site are located. Our proposed method is based on an elastic transformation method by using delaunay triangulation. Accuracy of this method is proved mathematically, and is confirmed by an experiment. Moreover, we implemented using common use database system for usefulness verification of this metho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orean Spatial data Distribution Infrastructur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이기종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 상호운용을 위한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의 설계 및 구현)

  • 이득우;권준희;김윤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03-105
    • /
    • 2001
  • 국토정보화의 기반준비 단계인 ‘1차 국가 GIS 사업’기간 동안, 상당량의 수치화된 공간 정보가 축적되었고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정보시스템이 국가기관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중인 지리정보시스템은 조직적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이질성 및 폐쇄성으로 인해, 공간정보의 상호운용 측면에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만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분산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공간정보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통합검색하며, 상호운용 가능토록 하는 국가공간정보유통체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 유통게이트웨이, 복수개의 유통노드, 지리정보공급기관을 국가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컴퓨팅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간정보유통망을 검색망 및 전송망으로 분리 설계한다. 검색망에서는 메타데이타의 검색 및 전송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OpenGIS OLE DB Provider 기반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제공자 컴포넌트를 통해 전송된 이기종 공간데이타베이스로부터의 WKB 형태의 공간정보를 상호운용할 목적으로, 공간데이타 구조와 처리에 대한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실시한 MapBase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공간정보에 대한 통합검색, 분석 및 상호운용을 구현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 (한국형 지형공간 데이타 Clearinghouse의 설계 및 구현)

  • Baek, In-Gu;Lee, Kang-Ju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31-145
    • /
    • 1999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처리와 공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지만 기존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갖고 있던 상호 이질적인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을 가지고는 효율적인 정보의 처리와 공유가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의 문제로 인해 지형공간 데이터의 중복수집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많은 시간과 경비가 중복 투자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공간 데이타 중복수집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형공간 데이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KGDC(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KGDC를 통하여 ESRI와 Intergraph사의 상용 지리정보시스템들의 데이타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공유할 수 있으며, 또한 OGC(OpenGIS Consortium)의 OpenGIS 구현명세에 기술되어 있는 표준 OpenGI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지형공간 데이타 서버의 데이타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특히, KGDC는 다양한 검색 기능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손쉬운 지형공간 데이타의 공유 및 유통을 가능하게 하며, 검색을 위한 정보와 검색의 결과로 이용하기 위해 ISO/TC211 표준 메타데이타를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 Object Management System for Spatial Data Mining (공간 데이타 마이닝을 위한 개방형 객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Yun, Jae-Kwan;Oh, Byoung-Woo;Han, Ki-J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 no.1 s.1
    • /
    • pp.5-18
    • /
    • 1999
  • Recently, the necessity of automatic knowledge extraction from spatial data stored in spatial databases has been increased. Spatial data mining can be defined as the extraction of implicit knowledge, spatial relationships, or other knowledge not explicitly stored in spatial databases. In order to extract useful knowledge from spatial data, an object management system that can store spatial data efficiently, provide very fast indexing & searching mechanisms, and support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is needed.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open object management system for spatial data mining, that supports efficient management of spatial, aspatial, and knowledge data. In order to develop this system, we used Open OODB that is a widely used object management system. However, the lark of facilities for spatial data mining in Open OODB, we extended it to support spatial data type, dynamic class generation, object-oriented inheritance, spatial index, spatial operations, etc. In addition, for further increasement of interoperability with other spat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or data mining systems, we adopted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ODMG 2.0 for data modeling, SDTS(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 for modeling and exchanging spatial data, and Open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CORBA for connecting clients and servers efficiently.

  • PDF

Schema Integration Methodology and Toolkit for Heterogeneous and Distributed Geographic Databases

  • Park, Jin-So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6 no.3
    • /
    • pp.51-64
    • /
    • 2001
  • Schema integrat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issues in the heterogeneous and distributed geographic database systems (GDSs). As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application areas becomes increasingly popular, the integ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has become a crucial task for decision makers. Most existing schema integration techniques described in the database literature, however, do not address the problems of managing heterogeneities among complex objects that contain visual data and/or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The difficulties arise not only from the semantic conflicts, but also from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spatial models. Consequently, it is much more complex to achieve interoperability in the area of geographic databases.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a solution to such problems.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describes a schema integration methodology and a prototype toolkit developed to assist in schema integration activities for GDSs.

  • PDF

Dynamic Data Distribution for Multi-dimensional Range Queries in Data-Centric Sensor Networks (데이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영역 질의를 위한 동적 데이타 분산)

  • Lim, Yong-Hun;Chung, Yon-Dohn;Kim, Myoung-H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1
    • /
    • pp.32-41
    • /
    • 2006
  • In data-centric networks, various data item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etc. are sensed and stored in sensor nodes. As these attributes are mostly scalar values and inter-related, multi-dimensional range queries are useful. To process multi-dimensional range queries efficiently in data-centric storage, data addressing is essential. The Previous work focused on efficient query processing without considering overall network lifetime. To prolong network lifetime and support multi-dimensional range queries, we propose a dynamic data distribution method for multi-dimensional data, where data space is divided into equal-sized regions and linearized by using Hilbert space filling cur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GIS Server based on GEUS (GEUS 기반 OpenGIS 서버의 설계 및 구현)

  • Zhang, Yan-Sheng;Yun, Jae-Kwa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21-32
    • /
    • 1999
  • 지리정보의 응용 분야가 나날이 광범위해지고 각 분야에서 수집하고 사용하는 지형공간 데이타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양도 급속도로 팽창해 가고 있다. 분산된 이러한 GIS자원들을 활용하고 상호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해결책이 바로 OpenGIS이다. GEUS는 GIS기술과 데이타베이스 기술을 하나로 통합한 혁신적인 GIS 솔루션으로써 UniSQL을 기초로 한 DBMS 엔진 레벨에서 공간 데이타 타입과 연산자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세계 최초의 객체관계형 공간 DBMS이다.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는 GIS 사용자들이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GEUS에 저장된 지형공간 정보와 제공하는 공간 연산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OGC의 'O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CORBA'에 정의된 표준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GEUS에 기반한 OpenGIS 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Joint Authoring in Distributed Multimedia Environments (분산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공동 저작)

  • 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5.12a
    • /
    • pp.117-126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분산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문서를 공동 저작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구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는 문서 구조 DMDA (Distributed Multimedia Document Architecture)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였다. DMDA는 논리 구조 지향적이다. 표현 객체와 상대공간 합성의 도움으로 동적인 재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관점에 따를 문서 출력이 가능하고 버전 관리가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공동 작업 중에 문서 위에 행해진 표시나 주석은 표시객체에 담겨 분산된다 분산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문서를 편집 또는 공동 저작하는 시스템은 분산 객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서를 만들 수 있기 위하여 논리 구조 지향적이고 구조 편집 지향적이어야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CORBA based Spatial Data Provider for Interoperability (상호운용을 지원하는 코바 기반 공간 데이터 제공자의 설계 및 구현)

  • Kim, Min-Seok;An, Kyoung-Hwan;Hong, Bong-Hee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 no.2 s.2
    • /
    • pp.33-46
    • /
    • 1999
  • In distributed computing platforms like CORBA, wrappers are used to integrate heterogeneous systems or databases. A spatial data provider is one of the wrappers because it provides clients with uniform access interfaces to diverse data sources. The individual implementation of spatial data providers for each of different data sources is not efficient because of redundant coding of the wrapper modules. This paper presents a new architecture of the spatial data provider which consists of two layered objects : independent wrapper components and dependent wrapper components. Independent wrapper components would be reused for implementing a new data provider for a new data source, which dependent wrapper components should be newly coded for every data source. This paper furthermore discussed the issues of implementing the re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the middleware. There are two methods of keeping query results in the middleware. One is to keep query results as non-CORBA objects and the other is to transform query results into CORBA objects. The evaluation of the above two methods shows that the cost of making CORBA objects is very expensive.

  • PDF

The Development of CSCW Model for Distance Education/Training (컴퓨터활용교육/훈련을 위한 CSCW모형 개발)

  • 심부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5.12a
    • /
    • pp.153-162
    • /
    • 1995
  • Network를 통하여 분산되어 있는 멀티미디어PC들의 사용자간에 개별/공동학습 및 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CSCW모형에 대하여 논한다. 이 응용 모형은 사용자나 저작자들이 어떻게 협력할 수 있는지, 다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기술한다. 또한 통신과 협력기능을 갖는 하부구조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공유작업공간을 구축하고, 헙력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환경 설계에 대하여 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