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무최대폭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Study on the Behaviour of Ultra-High Pressure Diesel Spray by Electronic Hydraulic Fuel Injection System(II) (전자유압식 분사계에 의한 초고압 디젤분무의 거동에 관한 연구(II))

  • 장세호;안수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6 no.5
    • /
    • pp.182-190
    • /
    • 1998
  • Behaviour of ultra-high pressure diesel spray in a constant-volume pressure chamber was studied with injection pressure ranging from 20 to 160㎫. Sprays were observed by the right angle scattering method. As a result, the spray tip penetration is first proportional to a time, and after that, it is proportional to 0.52 of the time during at the time of injection pressure and back pressure increase. An empirical correlation was made for the parameters of injection pressure, air-fuel density ratio, spray tip distance, spray angle, jet angle of spray and max. spray width.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field and the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Gas-liquid phase Coaxial Jet (기액동축 분류의 유동장 및 미립화특성에 관한 연구)

  • 전흥신;김형택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394-401
    • /
    • 1995
  • 본 연구는 중심부에 액체, 외주부에 산화제가 흐르는 기액 동축분류의 유동장에 대한 것이다. 기액 동축 분사기는 연료의 분사량이 적은 소형 연소시스템을 고려하여, 실험은 연공비(W1/Wa)가 0.6 이하를 대상으로, 물과 공기를 사용하여 분사조건에 따른 분무특성과 기액 2상 분무류의 기본구조를 조사하여 액적의 확산, 기액혼합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반경방향 기상속도분포 및 액적유속분포는 분구직경 및 분사조건에 관계없이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각각 식 (2) 및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상속도는 반치폭은 축방향에 따라 일정한 구배 (≒4.6)로서 증가하며, 기상만의 단상분류의 구배(≒6)에 비해서 완만하다. 액적유속 반치폭은 축방향에 따라 더욱 완만한 구배(≒3.1)로서 증가한다. 무차원 액적유속분포는 축방향에 따라 일정한 구배(n≒1.5)로서 감소한다. 액적의 확산은 상대적으로 기액유량비가 클수록 효과적으라고는 말할 수 없고, 최대 확산을 이루는 최적의 기액유량비가 존재한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탁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 Jeong, Jin-Woong;Park, Kee-Jai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1
    • /
    • pp.52-58
    • /
    • 2006
  • Characteristics of dough added with up to 4.0% takju powder and resultant bread were studied. Doughs added with takju power spray-dried after fermentation with starter (SDWS) and takju power spray-dried after fermentation without starter (SDOS) showed higher pH decreases than those added with takju power freeze-dried after fermentation with starter (FDWS) and takju power freeze-dried after fermentation without starter (FDOS) even after 1st fermentation. After 1st fermentation, volume of dough added with 1-4% SDWS was high, with 1% SDWS showing highest value of 23.6 mL. Volume of bread added with SDOS showed highest value. At 1-2% SDWS and SDOS addition, doughs showed highest specific volume values, which decreased at higher than 3% addition, while specific volume increased with increasing FDWS and FDOW contents. L values of SDOS- and FDOS-added doughs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SDOS and FDOS contents compared to SDWS and FDWS addition. In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less than 2%, loaf bread added with spray-dried takju powder had higher appearance, color, texture,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compared to those added with freeze-dried takju. Although not significantly, loaf bread added with 1% SDWS showed slightly higher values in appearance, color, yeastiness, texture,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nd showed higher flour odor acceptability than non-added loaf bread. These results indicate addition of takju powder improves flavor of bread.

고강도 GA(Galvanized Annealing)재의 표면특성과 내식성간 상관성 분석

  • Jeong, B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5-125
    • /
    • 2017
  • 최근 들어 내수용 및 수출용 자동차 보증 제도를 살펴보면 부품에 대한 방식 보증기간이 점차 연장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자동차사에서 요구하는 방식 및 내식성 평가 기준이 상향되어 가고 있다. 실제로 수출차에 대한 방청 품질 보증기간이 차체 구멍 발청 10년에서 12년으로 연장할 움직임을 보이는 등 점차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내식성 향상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내식성 향상을 위해 구조/형상 변화, 도장 품질 향상, 최적화 설계 등 다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인 소재의 내식성 향상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본 등지에서는 GA 도금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은 내식성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부족한 면이 있다. GA재는 합금화 과정에서 야기되는 Fe% 합금화도, 합금화 상분율(감마, 델타, 제타상), crater 등 복잡한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소재의 내식성 분석에 고려할 사항이 많다. 실제 여러 실험들을 통해서 GA재가 내식성에 영향이 있는 인자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명확히 정량화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GA재의 내식성 관리 기준에 대해서도 명확하진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사재와 타사재의 고강도 GA재 (>440 MPa) 11종에 대해 crater분율, zeta상, 합금화도, 도금량 등의 다양한 도금 물성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시편들을 34일 동안의 복합염수 분무법(CCT)을 통해 얻은 최대 및 평균 블리스터 폭과 소재 표면품질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부식과 연관된 관련인자들을 도출하고 정량적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GA재의 경우 다양한 물성들 중에서 도금 크레이터, 제타상, 합금화도 순으로 내식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이 세 인자들을 내식성 평가 지수화하여 GA재 생산시 효율적인 관리범위를 지정하는데 이용 가능할 수 있도록 diagram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자동차사에서 요구하는 내식성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내식성 상관 인자들의 관리 수준을 정량화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소재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