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류학적 검토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미기록속 애기버섯벌레속(Cis Latreille)(딱정벌레목: 거저리상과: 애기버섯벌레과)에 속한 6 미기록종과 숙주버섯 (First Record of the Genus Cis Latreille (Coleoptera: Tenebrionoidea: Ciidae) from Korea, with Six Unrecorded Species with Host Fungi)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21
    • /
    • 2013
  • 한국산 애기버섯벌레과(Ciidae, Leach)에 속한 애기버섯속(Cis Latreille)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속에 속한 Cis boleti (Scopoli, 1763); Cis seriatopilosus Motschulsky, 1861; Cis mikagensis Nobuchi & Wada, 1955; Cis jezoensis Nobuchi, 1960; Cis sasajii Kawanabe, 2001; Cis hieroglyphicus Reitter, 1877 등 6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야외관찰과 실내사육을 통해 6종에 대한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밝혀 보고 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산 애기버섯벌레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와 더불어 한국산 종들의 숙주버섯에 대한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국산 큰수염박쥐류 Myotis (Vespertilionidae) 4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al Study on Four Myotis (vespertilionidae) Species in Korea)

  • 윤명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2호
    • /
    • pp.173-192
    • /
    • 1990
  • 1985년 10월부터 1987년 7월까지 남한 18개 장소에서 채집된 애기박쥐과(Vespertilionidae)에 속하는 Myotis 4종, Myotis formosus tsuensis, Myotis Macrodactylus, Myotis daubentonii ussuriensis 및 Myotis nattereri bombinus에 대하여 외부 및 내부골격(두개골, 하악골 및 상완골)의 형태를 이용하여 분류학적인 검토를 하였다. 그 중, 한국 및 동부 시베리아에 분포는 Myotis nattereri에 속하는 집단은, M. nattereri amurensis인지, 또는 일본산 M. nattereri bombinus와 같은 아종인지 그 분류학적 위치가 분명치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및 일본산 M. nattereri에 속하는 개체들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통하여 Wallin(1969)이 보고한 바와 같이 M. nattereri amurensis가 M. nattereri bombinus의 synonym임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 종개의 분류학적 재검토

  • 김익수;박종영;양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81-482
    • /
    • 2000
  • 미꾸리과(Cobitidae)에 포함되는 종개아과(Nemacheilinae)어류는 유우라시아에 분포하는 저서성 담수어류로 200여종이 알려졌지만 종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계통적인 분류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Kottelat, 1990). 한국산 종개아과에는 종개와 쌀미꾸리 2종이 기록되었지만 연구자에 따라 종개의 학명을 Oreiastoni (Jordan and Metz, 1913), Barbatula toni (Mori, 1930; Uchida, 1939; Chyun 1977), Nemacheilus toni (김 등, 1988; Choi et al., 1990; 양 등, 1991), Orthrias nu((Kim, 1999) 사용하고 있어 검토가 요구되었다. (중략)

  • PDF

한국산 제비난초속(Platanthera)의 분류학적 검토: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중심으로 (A taxonomic study of Korean Platanther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external morphology)

  • 이진실;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5-46
    • /
    • 2005
  • 한국산 Platanthera(제비난초속)를 외부형태학적 특징, 특히 꽃의 구조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Platanthera와 순판 기부 양쪽의 돌출 부분 유무로 구분하던 Tulotis는 그 형질이 뚜렷하지 않아 Platanthera로 통합하는 견해를 지지하였다. 분류학적 처리에서, 현재까지 우리나라 대부분의 문헌에서 P. metabifolia라고 기재한 제비난초는 P. chlorantha의 오동정임이 확인되었으며, 아울러 P. neglecta(하늘산제비란)는 P. mandarinorum(산제비란)과 별개의 종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제비난초속 식물을 P. chlorantha(제비난초), P. mandarinorum(산제비란), P. neglecta(하늘산제비란), P. hologlottis(흰제비란), P. japonica(갈매기난초), P. ophrydioides(구름제비란), P. ussuriensis(제비잠자리란), P. fuscescens(나도잠자리란)의 8종으로 정리하였으며, 동시에 한국산 제비난초속의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이들의 분류학적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한국산 사슴벌레과(딱정벌레목:풍뎅이상과)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Review of Korean Lucanidae (Coleoptera: Scarabaeoidea))

  • Jin Ill Kim;Su Yeon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1호
    • /
    • pp.21-33
    • /
    • 1998
  • 사슴벌레과의 문헌기록과 표본을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은 Heyden(1887) 이후 90여편의 문헌에서(외국에서의 단순한 분포기록 문헌 제외) 25종이 기록되었다. 그 중 7종은 동조이명이었고, 다음과 같은 6종은 오동정된 것이므로 한국산 목록에서 제외된다: Prismognathus angularis, Nipponodorcus montivagus, Aegus laevicollis, Platycerus delicatulus, P. acuticollis, Gnaphaloryx velutinus. 오동정된 종명중 처음의 2기종은 국내기록 자체가 잘못된 것이며, 세번째의 A. laevicollis는 이에 해당하는 표본이 새로 발견되어 다시 한국산 목록에 추가 된다. 한편 Dorcus taiwanicus도 새로 발견되어 한국산 추가종은 셀제적으로 2종이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한국산으로 밝혀진 사슴벌레과 곤충은 10속 14종이 된다.

  • PDF

한국산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Review of the Korean Atractomorpha Saussure, 1862 (Orthoptera: Caelifera: Pyrgomorphidae))

  • 김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3-409
    • /
    • 2009
  • 한국산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의 분류학적 검토를 통해 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a lata (Motschulsky, 1866))와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신칭)(A. sinensis Bolivar, 1905) 두 종을 확인하였다. 이 중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는 한반도 남단의 섬 제주도와 가거도로부터 처음 보고되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두 종을 비교하여 동정할 수 있는 검색표, 기재, 사진 및 분포 정보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방아벌레붙이아과(딱정벌레목: 머리대장상과: 버섯벌레과)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y of Languriinae Crotch (Coleoptera: Cucujoidea: Erotylidae) in Korea)

  • 정부희;박해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1-448
    • /
    • 2014
  • 한국산 버섯벌레과에 속해 있는 방아벌레붙이아과(Languriinae Crotch)를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산 방아벌레붙이아과에는 1족, 2속, 9종이 포함되는데, 그 중 Anadastus ruficeps (Crotch)와 Anadastus praetermissus (Janson) 2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