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계수

Search Result 1,1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PC Techniques for Short and Small Runs : A Review and Extensions (다품종 소량생산에서 적용되는 SPC기법의 문헌고찰 및 응용)

  • Sungwoon Cho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19 no.40
    • /
    • pp.281-290
    • /
    • 1996
  • 본 연구는 다품종소량 생산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새로운 SPC 기법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SPC 기법은 주로 소품종 대량생산 시스템에서 적용되어 큰 효과를 보았으나 최근의 생산시스템은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이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류체계는 다품종소량생산시스템의 SPC 기법을 우선 계량형과 계수형으로 크게 구분하고 계량형에서는 이를 다시 여덟 가지 차트로 계수형에서는 세 가지 차트로 재분류하여 고찰하며 향후 새롭게 적용될 수 있는 응용기법 등을 제시한다. 특히 현장의 실무진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기존의 SPC 기법의 대표적 분류체계인 계량형·계수형 구분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Optimal wavelet coefficient selection for diagnosis of arrhythmia using genetic algorithm and multiple regressions (GA와 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정맥 진단의 최적 웨이블릿 계수의 선택)

  • Chong, Kab-Sung;Kim, Tae-Seon;Lee, Cho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34-2536
    • /
    • 2004
  • 본 논문은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정맥 진단의 최적화된 입력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심전도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웨이블릿 변환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추출된 특징들의 선택과 최적화의 문제에 대해서는 명쾌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심전도 신호는 연속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해 5레벨로 분해되었으며, 각 서브밴드에서 추출된 계수들은 부정맥 진단을 위한 특징으로 쓰이게 된다.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추출된 특징들(feature)은 유전자 알고리즘과 중회귀 분석을 동하여 부정맥 진단을 위한 최적화된 특징조합이 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특정레벨의 어떤 계수가 부정맥 진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할 수 있었으며 입력의 차원감소는 연산시간의 축소를 가져왔고 분류정확도를 향상시켜 분류기의 성능을 증대시켰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by Characteristic Parameter of Speaker Identification System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화자식별 시스템의 특징 파라미터에 따른 성능비교)

  • 정재룡;유재훈;배현;전병희;김성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45-348
    • /
    • 2002
  • 음성인식 기술은 크게 음성인식과 화자인식 기술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현재는 음성인식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지만 점차 화자인식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인식 기술의 한 가지 분류로 임의 화자를 식별하기 위한 화자식별 기술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화자식별 시스템의 특징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고 있다. 식별 단계에서 26명의 78개의 음성 샘플을 신경회로망의 역전파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테스트용으로 한 화자의 음성샘플이 사용되어 식별된다. 신경회로망의 입력 변수는 특징 파라미터로 선형예측계수, Mel-주파수 켑스트럼계수와 웨이블릿을 이용한 켑스트럼 계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로써 화자식별 시스템의 신경회로망 모델2의 입력으로 혼합된 특징 파라미터를 사용한 경우가 다른 파라미터들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8.46~21.53%의 차를 가지고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ock Mass by GSI in Limestone Mine (석회석 광산에서의 GSI 분류법에 의한 암반특성연구)

  • ;Kaynnam U. M. Ra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4 no.2
    • /
    • pp.86-96
    • /
    • 2004
  •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RMR, Q system and GSl have been widely adopted with certain modifications for the design of mine openings. The GSI system is the only rock mass classification system that is related to Mohr-Coulomb and Hoek-Brown strength parameters and gives a simple method to calculat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rock masses which can be useful input parameters for a numerical analysis. A detailed surveying for GSI mapping as well as far calculating RMR values was undertaken at Daesung and Pyunghae underground limestone mining sites. RQD values were determined for row locations in these two mining sites. Based on GSI values and intact rock strength properties, the rock mass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as well as the Mohr-Coulomb strength parameter c$_{m}$ and $\phi$$_{m}$ were determined. GSI and RMR are correlated.

Study on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e in Korea and their Correlation with Rock Classification Method (국내 화강암의 지반공학적 특성 및 암반분류법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SunWoo, Choon;Ryu, Dong-Woo;Kim, Hyung-Mok;Kim, Ki-Seo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3
    • /
    • pp.205-215
    • /
    • 2011
  • In this study, we analyzed physical properties of granit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rock mass classification methods. The granite samples were obtained from field survey, in-situ borehole tests and laboratory tests for a design phase of various roads, railways and other civil engineering works in Korea. Among the measured physical properties, the results of unit weight,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seismic velocity, cohesion, friction angle, elastic modulus and deformation modulus were introduced. We also correlated these properties with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results of different rock classification method of RQD, RMR, and Q-system against the granites in Korea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correlation equations were proposed in a more simplified form. We also derived RMR values using the compressive strength as well as the RQD values of in-situ drilled cores, and estimated the deformation modulus of in-situ rock mass in terms of the RMR values.

Estimation of Chemical Speciation and Temporal Allocation Factor of VOC and PM2.5 for the Weather-Air Quality Mode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지역에서 기상-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VOC와 PM2.5의 화학종 분류 및 시간분배계수 산정)

  • Moon, Yun Seob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36-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gn emission source profil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particulate matters (PMs) for chemical speciation, and to correct the temporal allocation factor and the chemical speciation of source profiles according to the source classification code within the sparse matrix operator kernel emission system (SMOK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hemical speciation from the source profiles of VOCs such as gasoline, diesel vapor, coating, dry cleaning and LPG include 12 and 34 species for the carbon bond IV (CBIV) chemical mechanism and the statewide air pollution research center 99 (SAPRC99) chemical mechanism, respectively. Also, the chemical speciation of PM2.5 such as soil, road dust,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industrial source, municipal incinerator, coal fired, power plant, biomass burning and marine was allocated to 5 species of fine PM, organic carbon, elementary carbon, $NO_3{^-}$, and $SO_4{^2-}$. In addition, temporal profiles for point and line sources were obtained by using the stack telemetry system (TMS) and hourly traffic flow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2007. In particular, the temporal allocation factor for the ozone modeling at point sources was estimated based on $NO_X$ emission inventories of the stack TMS data.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multi-temporal Radarsat-1 and ENVISAT data (다중 시기 Radarsat-1 자료와 ENVISAT 자료를 이용한 토지 피복 분류)

  • Park No-Wook;Chi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03-306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C 밴드 SAR 자료이면서 서로 다른 편광 상태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시기 Radarsat-1 자료와 ENVISAT ASAR 자료를 이용한 토지 피복 분류를 수행하였다. 다중 시기/편광 자료로부터 평균 후방산란계수, 시간적 변이도, 긴밀도 등의 특징을 기본적으로 추출하였고, 이외에 상호 비교를 위해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특징 추출을 시도하였다. 특징들을 이용한 분류기법으로는 Random Forests를 적용하였다. 충남 예당평야 일대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한 결과, 주성분 분석을 통한 특징과 다편광 자료를 이용하였을 때 분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CT Classifier based on HVS and Pyramidal Image Coding using VQ (인간시각 기반 DCT 분류기와 VQ를 이용한 계층적 영상부호화)

  • 김석현;하영호;김수중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8 no.1
    • /
    • pp.47-56
    • /
    • 1993
  • In this paper, pyramidal VQ image coding by DCT classifier based on HVS is studied. The proposed DCT classifier based on HVS is that the transform subblocks of the image are mlultiplied by MTF which is a sort of band pass filter and sorted by the magnitude of their ac energy levels and classifeid into three classes such as low, middle and high variance class by the threshold and then edges are detected in comparison of the energy sum of ac transform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edge direction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Agglomerative and Divisive Methods for Hierarchical Document Clustering (계층적 문서 클러스터링을 위한 응집식 기법과 분할식 기법의 비교 연구)

  • Lee, Jae-Yun;Jeong, Jin-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65-70
    • /
    • 2005
  • 계층적 문서 클러스터링에 있어서 실험집단에 따라 응집식 기법과 분할식 기법의 성능이 다르며, 이를 좌우하는 요소는 분류의 깊이, 즉 분류수준이라고 가정하였다. 조금만 나누면 되는 대분류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분할식 기법이 유리하고, 조금만 합치면 되는 소분류인 경우에는 응집식 기법이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분할식 클러스터링 기법인 양분(Bisecting) K-means기법과 응집식 기법인 완전연결, 평균연결, WARD기법의 성능을 실험집단이 대분류인 경우와 소분류인 경우의 유사계수를 적용하여 각 기법별 성능을 비교하여 실험집단의 특성에 따른 적합 클러스터링 기법을 찾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응집식 기법과 분할식 기법의 성능 우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류수준보다는 변이계수로 측정된 상대적인 군집의 크기 편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daptive Quantization of Image Sequence using Block Activity Level and Edge Feature Classification (블록의 활성 레벨과 에지 특성의 분류를 이용한 동영상의 적응 양자화)

  • 안철준;공성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91-19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2D-DCT 변환된 동영상 프레임 사이의 오차 블록들의 활성 레벨(atcivity level)과 에지의 특성을 분류하여 동영상의 적응적인 양자화를 제안한다. 각 블록에서는 활성 레벨이 각기 다르고, 같은 활성 레벨이라 할지라도 에지의 특성도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적응적인 양자화를 위해서, 2D-DCT 변환된 영상 오차의 각 블록의 활성레벨 뿐만 아니라 AC 계수들의 분포에 따른 에지 특성을 분류하면, 블록의 활성 레벨만을 일률적으로 적용한 Sorting 방법의 경우보다 향상된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블록의 활성 레벨은 AC energy에 의해서 측정하고, 에지 특성은 AC 계수들의 분포에 의해 결정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