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당신도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공동주택 유지관리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자격체계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자격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Raising Engineers of Maintenance for Apartment Houses - Based on the Qualific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

  • 박상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69-179
    • /
    • 2011
  • 한국은 세계의 거점국가에 못지않은 막대한 스톡(Stock)을 보유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기존의 주택을 활용하거나, 재이용하기 보다는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는 등 성장위주의 주택정책으로 인해 기존 공동주택을 유지하고 재이용하는 정책개발에 대한 노력은 미비하였다. 지금까지 정부주도하의 강력한 주택공급 정책으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 막대한 주택을 건설한 나머지, 현재의 주택공급율이 110%에 이르는 등 주택과잉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저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환경변화와 주거의 질 향상이라는 국민적 요구로 인해 주택정책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내 공동주택의 80%가 건설된 지 20년 이내의 주택으로 이루어져 향후 개보수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 또는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가 건설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주택의 기존의 품질을 유지하고,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동주택의 유지관리를 운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 육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미국의 공동주택 유지관리전문인력의 관련자격체계를 분석하여, 국내 유지관리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주차시설 입지 최적화 연구 (Optimizing Locations for Micro-mobility Parking Area based on User Big-data Analysis)

  • 최낙현;김정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2호
    • /
    • pp.195-206
    • /
    • 2023
  • 최근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비대면 사회에서 라스트 마일을 이용하는데 유용한 교통수단으로 정의되고 있지만, 현재 주차방식을 비고정형으로 채택하고 있어 교통수단이 가지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주차방식을 비고정형에서 고정형으로 전환하면서 필요한 주차장 입지를 공학적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주차문제 해결에 목적이 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주차장의 최적 개수 및 위치를 도출하기 위해서 입지선정모형인 MCLP 모형을 사용하였다. MCLP 모형 적용의 대상지는 분당 1기 신도시로 현실적인 공유 전동킥보드의 수요에 대응하는 최적입지 도출을 위해 실제 이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반영하였으며, 최적입지에 시간대별 이용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커버 범위, 수요, 시간대별로 모형을 적용 및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커버 범위를 400 m로 적용하였을 때 최적 주차시설의 개수는 146개로 현재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수요가 99.83 % 커버되어 주차문제 해결에 적절한 커버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 전동킥보드의 이용 수요를 4개의 수준, 시간대를 3개의 수준으로 분류하고 교차하여 도출된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주차장을 총 1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주차장 유형의 분류는 향후 마이크로 모빌리티 주차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있어 전략적인 정책 제안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나라 시지역 초등학교 학생수 증감 추세 유형 연구 (An analytic Study on long-term increasing and decreasing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rban Area in Korea)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2호
    • /
    • pp.34-43
    • /
    • 2017
  •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별 체계적인 중장기 학생배치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시작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단계로 552개교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학생수 증감추세 15개 유형을 수도권, 중부권, 영남권, 호남권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본 결과 권역별 구분없이 유형5가 가장 많았다. 둘째, 도시별로 보면 일산, 분당, 중동, 산본, 천안, 광주, 순천, 군산시 등 8개 도시는 유형5-1이 가장 많고, 평촌, 포항시, 울산시, 창원시, 경산시, 전주시 등 6개 도시는 유형5-2가 가장 많았다. 2단계로 1차 선행연구 대상 8개시 607개교와 본연구 조사대상 21개시 552개교를 합한 총 29개 도시 1,159개 초등학교(수도권 11, 중부권6, 영남권8, 호남권 4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은 학생수 증감추세의 원형인 유형5가 전체의 56.8%를 차지하고 있었고, 그다음으로는 유형11이 12.8%, 유형13이 7.9%, 유형15가 5.6%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중 유형1, 유형3, 유형7, 유형14는 각각 전체의 1%미만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둘째, 유형5와 유형1사이의 "갈등모형 I"은 유형5가 56.8%로 압도적으로 유형1의 사례수 0.3%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따라서 학생증감 추세 유형1에 근거한 학교 신설요구는 대부분 성립되지 않음을 재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유형10의 사례비율이 5.1%로 상대적으로 많은데 비하여 유형7은 0.2%로 "갈등이론 II", 또한 거의 무의미함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도시에서는 유형5가, 도시재생지역이나 시가지 확장지역에서는 유형10이 가장 유효한 모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전국 29개 시 지역 1,15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표성은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어 체계적인 중장기 학생배치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서울시와 대구시, 강원도 지역이 빠져있어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탄천의 하상퇴적물과 하천수내 주요 용존 이온과 중금속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Dissolved Major ions and Heavy Metals in Waters and Sediments from the Tancheon River)

  • 이성은;김규한;이진수;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1호
    • /
    • pp.25-41
    • /
    • 2002
  • 한강으로 연결되는 여러 지천들 중의 하나인 탄천을 대상으로 용존 주성분 이온들과 중금속 원소들의 잠재적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과 2001년 4월 총 두 차례에 걸쳐 경기도 용인시 용인군 구성면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성남시를 거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인근의 한강 본류와 합쳐지는 탄천에서 하천수와 하상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탄천 하천수의 pH 값은 7.0~9.3으로 약알칼리성을 보였다. 탄천 하천수내 주요 용존 이온중 $Ca^{2+}$, Cl­SO$_{4}^{2-}$ and NO$_{3}$­,HCO$_{3}$ 는 세계 하천 평균치보다 골은 함량을 보였다. 탄천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갈수록 대부분의 용 존 이온들의 함량이 증가하며, 특히$Zn^{2+}$, , $Na^{+}$, Cl­, SO$_{4}^{2-}$and NO$_{3}$ 등의 함량은 성남시 분당구와 수정구의 인구밀집 지역, 공업단지지역 및 성남 위생하수처리장 지점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는데 이는 생활하수 및 공업폐수 등의 유입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또한Ca$^{2+}$와 HCO$_{3}$­의 함량은 용존된 시멘트의 함량으로 인해서 탄천의 중심부분에서 부화되어 나타났다. 이는 지난 10년간 대단위 신도시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어 건설 자재로 사용된 시멘트의 하천 유입에 따른 하천수와의 용해 반응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금속 함량을 캐나다 OME에서 제시한 오염문턱 수준과 비교할 때, F7를 제외한 Mn, Cd, Cu, Pb, Zn 등의 중금속 평균한량이 이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으며, 특히 TSM-12 지점(성남 위생하수처리장 지점)을 전후로 채취한 시료들내 이들 함량이 매우 놀게 나타났는데 이는 하천수의 화학분석 결과와 잘 일치한다.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의 계절적 변화는 우기보다 건기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