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단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rivation of Minutely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Applications of Moupfouma Distribution (분단위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의 유도: 모포마 분포의 적용)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8-172
    • /
    • 2007
  • 소유역의 배수시설물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량 결정에는 일반적으로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시된 강우강도식을 이용하며, 강우의 지속시간이 10분이하인 경우에도 통상 제시된 강우강도식의 지속시간 최소단위인 10분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달시간이 수 분 정도인 도로 배수시설물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과대설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모포마 분포를 시자료에 적용하여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구성하고 이를 빈도해석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1분단위 강우자료(MMR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건설교통부 (2000)에 의해 제시된 강우강도식은 분단위로 내삽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60분 집성자료를 모포마 분포에 적용하여 추정한 지속시간별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은 관측된 분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의 특성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모포마 분포를 이용하는 경우 시단위자료를 이용하여 1분단위 자료의 특성 재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60분 집성자료와 시단위 자료를 이용하여 모포마 분포에 각각 적용하여 IDF 관계를 유도한 경우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용된 자기상관함수에 따른 차이도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포마 분포는 시단위 자료로 부터 60분 이하의 지속시간에 대한 연최대치 강우계열을 적절히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구조 분석)

  • Park, Chang-Yeol;Kim, Kyoung-Jun;Hwang, Jung-Ho;Jun, Kyung-So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90-7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 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시간해상도별로 공간상관함수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단위 강우 자료를 호우 발생 특성별(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공간상관함수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때 시간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한 대상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이고, 대상지점은 중부지역의 27개 우량관측소 지점을 이용하였다. 그 적용 결과 분단위 강우자료의 경우 무강우 자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상관거리는 적용 분포형, 호우 발생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분의 경우 약 $9{\sim}15km$, 60분의 경우 약 $21{\sim}53km$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우의 집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간상관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공간상관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단위 강우자료의 관측소 밀도가 시단위 강우자료 관측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나타내며,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과 같은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할 경우 적절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Data (분단위 자료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분석)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6
    • /
    • pp.113-120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orrelograms of minutely rainfall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accumulation times. A bivariate mixed lognormal distribution was applied for rainfall modelling. A total of 26 minutely rainfall data sets from rain gauge station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also repeated for several storm types like Jang-Ma, typhoon and convective storms for their comparison. The accumulation times 1, 2, 3, 5, 10, 30 and 60 minut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inutely rainfall data available was not good enough for estimating minutely rainfall intensity at ungaged locations. It seems more practical to use the hourly rainfall data with much higher rain gauge density, if proper methods for interpolation and data dis-aggregation are provided.

Derivation of Minutely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s by Applying the Moupfouma Distribution (모포마 분포를 적용한 분단위 강우강도-지속시간-재현기간 관계의 유도)

  • 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8
    • /
    • pp.643-654
    • /
    • 2007
  • This study proposes and evaluates a methodology for deriving the rainfall intensity- 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for durations less than 10 minutes used for designing drainage systems in small urban catchments and road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Moupfouma distribution, which has been evaluated by applying it to the rainfall data at the meteorological Seoul station.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1)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was found not to be corresponded with the extrapolation of that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0). (2) The annual maxima minutely rainfall data derived by applying the Moupfouma distribution to the accumulated 60-minute data was found to well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of observed. (3) The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derived by applying the Moufouma distribution to the accumulated 50-minute data and hourly data was found insignificant.

South-North Legal System Division: Challenge for the Integration of Legal Systems beyond the Division of Korea (남북 법제분단: 분단을 넘어 법제통합을 위한 과제)

  • Choi, Eun-Suk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53
    • /
    • pp.61-107
    • /
    • 2017
  • It has been seventy-two years since the Korean Peninsular wa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August 1945, the South and North established a capitalist system and a socialist system (communism) respectively, intensifying the ideological conflict and confrontation. The division of Korea was not confined to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but extended to legal system, making it difficult to find legislative homogeneity in the two. The long-term situation of the divided nation results in a social phenomenon accompanied by legal division. For instance, shortly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North Korea responded quickly to secure legal stability to govern the northern part while the Soviet army troops were stationed in it. Based on Marx and Engels' historical materialism, the North drove a change in its ideological superstructure by repealing the privatization of land property which was the means of production and finally enforced land nationalization, in common with other socialist states including the former Soviet Union. The North's land reform made under the guise of fulfilling national independence and doing away with anti-seigneurial and anti-feudalistic relations, has led to a wide difference in the systems between the South and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legal system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is aimed at exploring the leg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North which became secluded from the world while engaging in socialist experiments for the past seventy two years against capitalism. Ongoing studies of legal system integration will be briefly discussed. The legal status of South and North Korea as a political entity will be investigated to overcome legal system divi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th-North relationship in legal terms and the limitations of the North's legal system will be also examined. Moreover, the directions for integrating legal systems and the plan for resolving legal system division will be suggested.

남북출판교류를 위한 한 출판인의 제언

  • Kim, Eon-Ho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98
    • /
    • pp.16-17
    • /
    • 1992
  • 남과 북의 출판물 교류가 아니라 민족출판문화의 통합이어야 한다. 일시적으로 분단되어 있던 민족출판의 남과 북을 하나로 통합시키자는 것이다. 교류란 우리의 국토와 민족을 하나로 보지 않고 둘로 갈라보는 분단주의자의 발상이다. 출판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남과 북의 교류가 아니라 남과 북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있어야 한다.

  • PDF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ensile properties and color of Alaska Pollack meal protein isolate film (가공조건이 명태어분단백질 필름의 인장강도와 색에 미치는 영향)

  • YOU Byeong-Jin;SHIM Jae-Ma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5
    • /
    • pp.418-422
    • /
    • 2000
  • The tensile properties and color of fish meal film under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were measured to obtain basic data for biodegradable Alaska Pollack meal protein isolate (APMPI) film.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of APMPI film were increased with casting volume of APMPI solution but those of APMPI film were weakened with the addition of glycerol amount as well as reduction of pH values. In case of adding various plasticizer, the tensile strength of film was increased in order as follows: sorbitol, polyethylene glycol and glycerol. The elongation was increased in order of polyethylene glycol, sorbitol and glycerol. The tensile strength of film increased with increment of APMPI concentration, but the elongation of film was not affected by APMPI concentration. The tensile strength of APMPI film was de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relative humidity but its elongatio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relative humidity, Not only lightness and yellowness of film added with sorbitol but also redness and total different color of film added with polyethylene glycol showed the highest value in Hunter color system.

  • PDF

Finance Plan Reasearch for development of Trans Korean Railway using real options (실물옵션을 적용한 남북철도 개발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연구)

  • Park, Jung-Joon;Na, Heu-Sung;Hwang,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11.10a
    • /
    • pp.1785-1792
    • /
    • 2011
  • 남북분단 60년 한반도의 남북철도 역시 분단되어 왔으나 2007년 5월19일 경의선과 동해선에서 동시에 열차시험운행을 통해 단절되었던 남북철도가 다시 연결되었다. 그러나 이후 경의선 열차 운행이 잠정 중단됨으로써 남북철도 운행은 언제 깨어날지 모르는 깊은 동면에 들어갔다. 남북철도 연결은 정치 사회적인 의미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남북한을 하나의 교통망으로 묶는 실질적 수단인 동시에 한반도를 대륙과 연결함으로써 고립에서 벗어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는 도구임에 분명하다. 분단 이후 남한과 북한의 철도는 상이(相異)한 시스템을 유지해 왔고, 북한은 오랜 경제난으로 철도보수와 현대화가 뒤쳐져 있는 상황이다. 이는 남북철도가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교통수단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정책적 기술적 현안들을 해결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고에서는 남북철도 연결에 수반되는 여러 현안 중 재원조달방안을 중심으로 1)그동안 학계에서 제안된 기존 방법론들을 조사하고, 2)최근 새로운 투자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물옵션에 대해 설명하고, 3)이를 남북철도 개발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Maximum 30-min Intensity using Hourly-based Data in Daegu station (시강우량을 이용한 30분 최대 강우강도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 Lee, Joon-Hak;O, Gyeong-Du;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8-391
    • /
    • 2011
  • 강우침식인자를 구하기 위해서는 개별 호우사상의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속된 분단위 강우자료가 필요하지만, 자료 획득이 제한되어 지점별로 보다 얻기 쉬운 시간 단위 강우량을 이용하여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시강우량을 이용하여 개별 호우사상의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구 지점의 1960년~1999년 기간의 818개 호우사상을 이용하였다. 분류된 호우사상별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기상청으로부터 획득한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뒤, 이를 참값으로 하여 60분 최대 강우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 지점의 60분 최대 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계수는 1.228로 나타났으며, 고정시간 1시간 최대 강우강도로부터 30분 최대 강우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계수는 1.3778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