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광광도법적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화학계량학적 방법을 사용한 Triton X-100이 함유된 1-(2-Thiazolylazo)-2-Naphthol을 사용한 구리, 니켈과 아연의 동시 분광광도법적 정량 (Simultaneous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opper, Nickel, and Zinc Using 1-(2-Thiazolylazo)-2-Naphthol in the Presence of Triton X-100 Using Chemometric Methods)

  • Low, Kah Hin;Zain, Sharifuddin Md.;Abas, Mhd. Radzi;Misran, Misni;Mohd, Mustafa Ali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17-726
    • /
    • 2009
  • Triton X-100이 함유된 상태에서 정색시약인 1-(2-thiazolylazo)-2-naphthol이 첨가된 물에서 구리 (II), 니켈(II)과 아연(II)의 동시 분광광도법적 정량을 위한 다변량 모델들이 개발되었다. 분광학적 간섭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주성분회귀분석법(PCR)과 부분최소자승법(PLS) 다변량 분석법적 접근이 적용되었다. 다양한 시험 세트를 사용하여 본 방법의 수행이 입증되었고 그 결과들이 비교되었다. 일반적으로 PLS와 PCR 모델들 사이에 분석적 수행에서의 심각한 차이가 없었다. $Cu^{2+}$, $Ni^{2+}$ and $Zn^{2+}$ 의 세 성분들을 사용한 예측의 제곱근 평균 제곱 오차(RMSEP)들은 각각 0.018, 0.010, 0.011 ppm이었다. 또한 감도, 분석감도, 검출한계(LOD)와 같은 가치들의 측면들이 평가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과정이 화합물 혼합용액과 수돗물 속의 $Cu^{2+}$, $Ni^{2+}$ and $Zn^{2+}$의 동시 검출에 적용되었을 때에 높은 신뢰도가 성취되었다.

N-Benzylisonitrosoacetylacetone Imine의 구리착물에 대한 분광광도법적 연구 (Spectrophotometric Study of Copper Complex of N-Benzylisonitrosoacetylacetone Imine)

  • 이병교;오대섭;이흥락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1-206
    • /
    • 1986
  • 새로운 분석시약 N-benzylisonitrosoacetylacetone imine (H-IAA-N-Bz)을 합성하여 원소분석, 적외선흡수스펙트럼, 핵자기공명흡수스펙트럼, 질량스펙트럼 등으로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H-IAA-N-Bz은 알카리 용액(pH = 7.0∼10.0)에서 구리착물을 형성하며, 클로로포름 유기용매층으로 잘 추출된다. 이 구리착물에 대한 분광광도법적 연구의 여러가지의 최적조건은 420nm의 파장에서 구하였으며, 클로로포름 10ml당 구리 $\mu$g이하의 농도 범위에서 Beer법칙이 잘 성립되었다. 구리 착물의 조성은 $Cu(IAA-N-Bz)_2$이며, 착물의 총괄 안정도상수는 $8.55{\times}10^6$이며, 몰흡광계수 $\varepsilon$은 3500l/$cm{\cdot}mol$이다.

  • PDF

알칼리성 용매에서 과망간에 의한 세프포독심 프록세틸의 산화의 분광광도법적 조사: 속도론적 연구 (Spectrophotometric Investigation of Oxidation of Cefpodoxime Proxetil by Permanganate in Alkaline Medium: A Kinetic Study)

  • Khan, Aftab Aslam Parwaz;Mohd, Ayaz;Bano, Shaista;Siddiqi, K. S.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09-716
    • /
    • 2009
  • 일정한 이온 세기의 알칼리 용액에서 과망간산에 의한 프포독심 프록세틸(Cefpodoxime Proxetil) 의 산화의 속도론적 경로가 분광광도법적으로 연구되었다. 그 반응은 과망간산 이온 농도에서 일차 속도론적으로 나타났으며, 프포독심 산과 알칼리 농도에서 단일 이하의 차수를 나타내었다. 용매의 이온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속도도 증가하였다. 산화 반응은 프포독심 산과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는 알칼리-과망간산 종들을 통하여 진행된다. 반응물을 만들기 위해서 프포독심 산의 자유 라디칼과 과망간산의 다른 분자 사이의 빠른 반응에 이어서 다음 분해가 천천히 진행된다. 다양한 온도에서 반응의 조사는 제안하는 메커니즘의 느린 단계를 고려한 활성화 변수들의 결정할 수 있게 하고 일차 속도론을 따른다. 제안하는 메커니즘과 유도된 속도 법칙들은 관찰된 속도들과 일치하였다.

반도체급 삼염화실란중의 극미량 붕소의 분광 광도법적 측정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s of Boron in Semiconductor-grade Trichlorosilane)

  • 김동권;김희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34-538
    • /
    • 1991
  • 흡착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고순도 삼염화실란(TCS) 중의 미량 붕소 농도를 분광광도법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CS중의 붕소 화합물과 복합체를 잘 형성하고 황산-quinalizarin계 발색 시약에 잘 녹으며 측정시 간섭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Lewis 염기성 물질로 NaCl이 선택되었다. 이러한 흡착 분리 방법을 통해 TCS분석 도중에 실리카겔 및 기포가 생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었는데, 반도체급 TCS중의 붕소 농도는 ${\pm}$20%의 표준편차 범위내에서 6.1 ${\mu}$g/l로 측정되었다. 반면 NaCl로 붕소화합물을 제거시킨 정제된 TCS 중의 붕소 농도는 0.2 ${\mu}$g/l이어서 NaCl의 우수한 흡착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Cl이 TCS 정제 중 붕소 제거에 효과적임을 다른 잘 알려진 흡착제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과망간산포타슘에 의한 산화에 바탕을 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의 분광광도법적 정량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Based on their Oxidation by Potassium Permanganate)

  • El-Didamony, A. M.;Ghoneim, A. K.;Amin, A. S.;Telebany, A. M.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98-306
    • /
    • 2006
  • 순수 형태 또는 약제 중 네오마이신과 스트렙토마이신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인증된 분광광도법적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방법은 산성 용액 속에서 기지 과량의 과망간산포타슘으로 약품을 산화시킨 다음 미반응의 과망간산을 아마란스(방법 A), 산성 오렌지 II(방법 B), 인디고카민(방법 C) 및 메틸렌블루(방법 D) 색소로 각각 lmax=521, 485, 610 및 66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이다. 네오마이신과 스트렙토마이신의 농도 범위 5-10 및 2-7 mg mL-1에서 Beer의 법칙이 성립되었으며 겉보기 몰흡수계수와 sendell 감도 값은 네오마이신과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하여 각각 5.47-6.20´104, 2.35-2.91´105 L mol-1 cm-1 및 7.57-8.59, 5.01-6.2 ng cm-2 였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를 조사하여 최적화하였으며 이 방법을 순수 Çü태 × 약제 Çü태의 약품에 적용하여 좋은 Á확도와 정밀도로 정량하였다. á제의 방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얻어진 결과는 공인 석법을 사용하여 얻은 aacute;과와 잘 일치하였다.

소의 모발 멜라닌 색소 함량의 품종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elanin Contents in Hairs among Cattle Breeds)

  • 이성수;강승률;한상현;조인철;신광윤;조용일;강태영;고문석;양영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47-154
    • /
    • 2007
  • 한우와 제주흑우의 모색 특성과 양적 수치화를 위하여 분광광도법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흑우의 총 melanin 함량은 같은 흑색 품종인 Holstein과 Angus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한우나 적색 품종 보다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01). 한우의 총 melanin 함량은 적색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한우×Charolais 교잡종에 비해 높았다(P<0.001). 전체 melanin 중 eumelanin, pheomelanin의 상대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Angus, 제주흑우, Red Holstein과 한우 각각 0.382, 0.359, 0.112와 0.124 이었다. 품종별 모발 melanin 색소 함량 분석결과는 분광광도법적 분석이 소 품종별 모색의 양적 수치화 및 특성 비교에 이용 가능하고 한우와 제주흑우의 주요 모색 관련 유전자 연구의 기초 자료로 유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반도체급 삼염화실란 중의 극미량 인의 분광광도법적 정량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s of Phosphorus in Semiconductor-grade Trichlorosilane)

  • 김동권;한명완;김희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5-260
    • /
    • 1992
  • 고순도 삼염화실란(TCS) 중의 미량 인(P) 불순물 농도를 흡착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분광광도법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CS 중의 미량 불순물인 P 염화물을 보다 안정한 $POCl_3$로 산화시킨 다음, ethanol 용매에 잘 녹으며$POCl_3$와 안정된 부가화합물 complex를 형성하는 물질로서$AlCl_3$를 선택하여 분리해 내었다. 이러한 흡착을 이용한 농축 분리 방법을 통해 분석 도중에 실리카 겔 및 기포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었는데, 반도체급 TCS 중의 P 농도는 ${\pm}$ 17% 표준편차 범위내에서 5.32${\mi}g/l$로 측정되었다. 이와같이 $AlCl_3$로 P 화합물을 제거시킨 정제된 TCS 중의 P 농도는 0.15${\mi}g/l$이하로 측정되어 $AlCl_3$의 우수한 흡착 성능이 습식분석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CS 정제 중 P 불순물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다른 흡착 물질의 성능도 본 측정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분광학(分光學)적 방법(方法)에 의한 중유회(重油灰) 용출액(溶出液) 중(中)의 Ni 정량(定量)에 관(關)한 기초(基礎) 연구(硏究) (Determination of Ni in Fly Ash Leach Liquor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조정민;한혜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5호
    • /
    • pp.88-92
    • /
    • 2012
  • 중유회로부터 증류수로 용출시킨 중유회 용출액에서 금속 중 $Ni^{2+}$이온의 정량을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 중유회용출액 중 다량 존재하는 $V^{3+}$이온이 $Ni^{2+}$이온의 분광광도법적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Ni^{2+}$이온 ppm 대비 $V^{3+}$이온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 $V^{3+}$이온의 함량이 $Ni^{2+}$ 함량의 50% 이하인 조건에서는 시료 중 $Ni^{2+}$이온의 정량이 분광광도법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Fe(III)와 Xylenol Orange의 착물형성에 대한 분광광도법적 연구 (Spectrophotometric Study of the Complex Formation of Ferric Ion with Xylenol Orange)

  • 오대섭;이선행;박정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11-316
    • /
    • 1978
  • Fe(III)과 Xylenol Orange (XO 또는 $H_6A$)의 반응을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Fe(III)과 XO는 조성이 Fe(III) : XO = 2 : 1 및 1 : 1 인 두가지 착물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2 : 1 착물은 XO보다 Fe(III)를 많이 포함한 산성에서 안정하고, 1 : 1 착물은 XO가 많이 포함된 약산성용액에서 안정하다. 흡수극대는 590nm(2 : 1)와 500nm(1 : 1)이고 몰흡광계수는 각각 $3.18{\pm}0.04{\times}10^4,\;1.32{\pm}0.03{\times}10^4$이다. pH값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한 두 착물의 안정도상수는 $log{\beta}_{21}=18.69{\pm}0.03,\;log{\beta}_{212}=42.08{\pm}0.09,\;log{\beta}_{11}=4.17{\pm}0.04,\;and\;log{\beta}_{113}=34.47{\pm}0.07$이었다.

  • PDF

2-(5-브로모-2-피리딜아조)-5-(N-프로필-N-슬포프로필아미노)아닐린을 사용하여 흐름주입법에 의한 코발트의 분광광도법적 정량 (Flow Injection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obalt with 2-(5-Bromo-2-pyridylazo)-5-(N-propyl-N-sulfopropylamino)aniline)

  • 강삼우;김인영;한흥석;이승석
    • 분석과학
    • /
    • 제6권1호
    • /
    • pp.57-63
    • /
    • 1993
  • 흐름주입법에 의하여 분광광도 방법으로 코발트를 정량하였다. $NH_3-NH_4Cl$ 완충용액(pH 10.5)에서 2-(5-bromo-2-pyridylazo)-5-(N-propyl-N-sulfopropylamino)aniline은 코발트와 수용성 착물을 형성한다. 이 착물의 최대흡수 파장은 545nm이고, 몰흡광계수는 $58000L\;mol^{-1}\;cm^{-1}$이다. 코발트의 검정곡선은 0.1~0.6ppm 범위에서 직선관계를 보였고, 검출한계는 25ppb였다. 상대표준편차는 0.5ppm에 대하여 ${\pm}0.72%$였고, 시료의 채취속도는 $60samples\;hr^{-1}$였다. 여러 가지 양이온과 음이온의 방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NI(II), Cu(II), Fe(III) 및 $CN^-$이 많은 방해를 하였다. 그러나 운반체흐름에 $1.0{\times}10^{-3}M$ EDTA 용액을 넣음으로써 금속이온들의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