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分)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초

가토(家兎) 외경동맥(外經動脈)의 신장도(伸張度)에 대(對)하여 (On the Distensibility o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of the Rabbit)

  • 이동일;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7권2호
    • /
    • pp.49-58
    • /
    • 1973
  • 가토(家兎)의 외경동맥(外頸動脈)의 신장도(伸張度)를 알기 위(爲)하여 좌측(左側) 외경동맥(外經動脈)을 절단(切斷)하여 적출(摘出)하고 전혈질(全血質)과 횡절편(橫切片) 및 종절편(縱切片)을 작성(作成)한 후(後) 생리적식염수(生理的食鹽水) 중(中)에 둔 군(群)과 동일(同一)한 방법(方法)으로서 얻은 각(各) 혈질표본(血質標本)을 0.15 mM 및 0.30 mM의 ATP 용액중(溶液中)에 둔 군(群)에서 각각(各各) 15분(分), 45분(分) 및 75분(分)에서 길이 일장력곡선중(一張力曲線中) 탄성(彈性)의 한계(限界) 내(內)에서 Hooke의 법칙(法則)에 따르는 부위(部位)에서 Young 율(率)을 구(求)하여 서로 비교(比較)하였던 바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토(家兎) 외경동맥(外經動脈)의 전혈질(全血質)을 생리적식염수(生理的食鹽水)에 둔 군(群)에서는 그 Young 율(率)이 실험시간(實驗時間) 15분(分)에서는 $4.74{\times}10^7 dyne/cm^2$이었으나 45분(分) 및 75분(分)에서는 각각(各各) 4.62 및 $4.13{\times}10^7 dyne/cm^2$이었다. 한편 ATP 0.30mM의 농도(濃度)에서는 0.15mM의 농도(濃度)에 비(比)하여 낮은 Young 율(率)을 나타내었다. 2) 외경동맥(外經動脈)의 횡절편(橫切片)의 Young 율(率)은 생리적식염수중(生理的食鹽水中)에서는 15분(分), 45분(分) 및 75분(分)에서 각각(各各) 4.11, 3.75 및 $3.90{\times}10^7 dyne/cm^2$으로서 15분(分)이 가장 높고 그 후(後)는 큰 변화(變化)가 없는 경향(傾向)이었으나, ATP 첨가(添加)로서는 실험시간(實驗時間)에 따른 변화(變化)는 볼 수 없었다. ATP 첨가(添加)로서는 0.30mM의 농도(濃度)에서 0.15 mM의 농도(濃度)에 비(比)하여 Young 율(率)이 낮았다. 3) 외경동맥(外經動脈)의 종절편(縱切片)의 Young 율(率)은 생리적식염수(生理的食鹽水)에 둔 군(群)에서는 15분(分), 45분(分) 및 75분(分)에서 각각(各各) 2.12, 2.48 및 $2.46{\times}10^7 dyne/cm^2$으로서 실험초기(實驗初期)에 비(比)하여 후기(後期)에서 Young 율(率)이 약간(若干)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경향(傾向)은 ATP의 첨가(添加)로서도 비슷하였다.

  • PDF

이산화 유황이 느타리버섯 자실체(子實體)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Dioxide on Growth of the Fruit Body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신관철;구자형;유성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3-167
    • /
    • 1983
  • $SO_2$가 느타리버섯의 자실체생장(生長)과 갓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SO_2$의 농도(濃度)를 0.625, 1.25, 2.5 및 5 ppm으로 조절(調節)하고 노출시간을 15, 30, 60, 120 및 180분(分)으로 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의 자실체(子實體)에 $SO_2$를 처리하면 갓색이 변화(變化)하였는데 낮은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는 회청색(灰靑色)을 띄었고 처리수준(處理水準)이 높아질수록 담갈색(淡褐色), 암갈색(暗褐色)으로 변색(變色)이 심하여 졌다. 2. 자실체(子實體) 변색(變色)의 한계점(限界點)은 0.625 ppm 120분(分), 1.25 ppm 30분(分), 2.5 ppm 15분(分)이었고 5 ppm에서는 10분(分) 이내(以內)에 변색(變色)하였다. 3. $SO_2$를 1.25 ppm 120분이상(分以上), 2.5 ppm 60분이상(分以上), 5 ppm 30분이상(分以上) 처리(處理)하면 자실체(子實體)의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다. 2.5 ppm, 180분(分), 5 ppm 60분(分)에서는 자실체(子實體)가 고사(枯死)하였다. 4. $SO_2$의 처리(處理)는 담자기(擔子器)의 발육(發育)과 포자형성(胞子形成)을 심하게 억제(抑制)하였고 형성(形成)된 포자(胞子)의 $20{\sim}25%$는 기형화(畸形化)하였다. 5. $SO_2$를 처리(處理)한 자실체(子實體)에서 ethylene 발생(發生)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큰구슬 우렁이 (Neverita didyma) 보일드 통조림의 가열살균(加熱殺菌) 조건(條件)에 따른 품질변화(品質變化) (Changes in Quality of Boiled Neverita didyma as a Function of Autoclaving Conditions)

  • 이근우;유홍수;주현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1-237
    • /
    • 1984
  • 서해산(西海産) 큰구슬우렁이의 보다 효율적(效率的)인 이용방안(利用方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도(試圖)한 보일드통조림의 가열살균조건구명(加熱殺菌條件究明)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큰구슬우렁이생육(生肉)은 고단백(高蛋白), 저지방식품(低脂肪食品)이었으며, 특(特)히 탄수화물함량(炭水化物含量)은 1% 전후(前後)였다. 2. 가열처리시(加熱處理時) 응고성물질(凝固性物質)은 액즙(液汁) 1ml당(當) $0.37{{\sim}}0.40g\;N$. 이상에서만 응고현상(凝固現象)이 일어났다. 따라서 $105^{\circ}C$, 20분(分), $110^{\circ}C$, 40분(分), $115^{\circ}C$, 20분(分)이상 처리시에만 발견(發見)할 수 있었다. 3. 유효성(有效性) lysine은 $110^{\circ}C$, 20분(分)보다는 $125^{\circ}C$, 20분(分)에서 12% 감소(減少)하는 반면, 20분(分)에서 109분(分)까지는 약(約) $17%{{\sim}}22.8%$의 변화(變化)를 보였다. 4. 각 처리구(處理區)의 생균검출(生菌檢出)은 $110^{\circ}C$, 80분(分), $115^{\circ}C$, 40분(分) 이상에서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5. 큰구슬우렁이 생육(生肉)에서는 tryptophan이 제한(制限)아미노산이었으며, 다른 패류(貝類)의 약(約) 57%(0.83g/16g N.) 밖에 되지 않았고, 보일드육(肉)에서는 methionine (보유율 87%)이 가장 많이 손상(損傷)되었다. 또한 PPDRI치(値)는 생육(生肉) 63.16, 보일드육(肉) 65.85($115^{\circ}C$, 40분(分) 처리(處理)로 생육(生肉)보다 가열처리육(加熱處理肉)이 높았다. 6.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 최적가열살균온도(最適加熱殺菌溫度) 및 시간(時間)은 생균수(生菌數), 응고성물질(凝固性物質), 유효성(有效性) lysine을 감안하여 $115^{\circ}C$, 40분(分) 처리(處理)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 PDF

티머시-오처드그라스 우점초지에서 방목방법별 가축의 습성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azing Behaviour and Herbage Production by Different Grazing Systems in Timothy-Ochard Grassdominied Pasture)

  • 신재순;신언익;신기준;이효원;김선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0-186
    • /
    • 1984
  • Timothy-Orchardgrass우점(優点) 초지(草地)에서 한우(韓牛) 및 교잡우(交雜牛)를 방목축(放牧畜)으로 공시(供試)하여 1980년(年) 6월(月)부터 1982년(年) 10월(月)까지 3년간(年間) 방목(放牧) 방법간(方法間)에 증체량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방목습성등(放牧習性等)의 차이(差異)를 검토(檢討)코자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ha당(當) 목초건물수량(牧草乾物收量)은 'Wye 대학(大學)' 방목(放牧)이 6936.7kg, 고정방목(固定放牧)이 6794.3kg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이 6686.9kg 윤환방목(輪換放牧)이 6675.7kg 그리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5083.4kg으로 방목방법간(放牧方法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2 목초이용율(牧草利用率)은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89.3%로 가장 높았고 윤환방목(輪換放牧), Wye 대학방목(大學放牧),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 그리고 고정방목순(固定放牧順)으로 각각 73.1%, 70.8%, 64.4% 및 46.1%로 처리간(處理間)에 높은 유의성(有意性)(P<0.01)이 나타났으며 3. 1일(日) 두당건물(頭當乾物) 채식량(採食量)은 Wye 대학방목(大學放牧)이 7.32kg 윤환방목(輪換放牧)이 6.45kg 고정방목(固定放牧)이 5.82kg 그리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5.61kg순(順)으로 Wye대학(大學) 방목(放牧)이 가장 많았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가장 적었다. 4. 일(日) 당증체량을 보면 Wye 대학(大學) 방목(放牧)이 0.60kg으로 가장 높았고 윤환방목(輪換放牧)이 0.55kg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이 0.5kg 고정방목(固定放牧)이 0.43kg 그리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 0.42kg으로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5. ha당(當) 총증체량에 있어서 Wye 대학방목(大學放牧)이 33339.5kg으로 가장 많았고 윤환방목(輪換放牧),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 그리고 고정방목순(固定放牧順)으로 각각 299.1kg, 253.3kg, 226.6kg 및 222.2kg으로 고정방목구(固定放牧區)가 가장 적었다. 6. 채식시기(採食時期)은 각(各) 방목방법간(放牧方法間)에 유의차(有意差)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Wye 대학(大學) 방목구(放牧區)가 367.3 분(分)으로 가장 짧았고 고정방목구(固定放牧區)가 422.1분(分)으로 가장 길었다. 7. 계절별(季節別) 1일(日) 채식시간(採食時間)은 6월(月)이 304.9분(分) 7월(月)이 359.4분(分) 8월(月)에 437.9분(分)이 483.3분(分) 그리고 10월(月)이 395.8분(分)으로 계절간(季節間)에 유의차(有意差)(P<0.05)가 나타났으며 계절(季節)이 진행(進行)할수록 채식시간(採食時間)이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8. 품종별(品種別) 채식시간(採食時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샤로레${\times}$한우(韓牛)가 457.0분(分)으로 가장 길었고 한우(韓牛)가 422.4분(分)으로 가장 짧았다.

  • PDF

포유모돈(哺乳母豚)의 포유(哺乳), 휴식(休息) 및 수면행동(睡眠行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Behaviour of Nursing, Rest and Sleep in the Lactating Sow)

  • 한성욱;박창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18-222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1984년(年) 7월(月) 6일(日)부터 8월(月) 3일(日)까지 28일간(日間), 분만모돈(分娩母豚) 40두(頭)와 분만자돈(分娩仔豚) 420두(頭)를 가지고, 분만(分娩), 포유(哺乳), 수안행동(睡眼行動)을 조사하고자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만모돈(分娩母豚)은 분만시(分娩時) 좌(左) 우(右)로 누워서 분만(分娩)했으며, 분만(分娩)도중 50%는 분만자세(分娩姿勢)를 바꾸었다. 출생(出生) 자돈(仔豚)의 65.5%는 앞쪽으로 출산(出산)하였다. 포유자세(哺乳姿勢)는 좌측(左側)으로 눕는것이 51.3%였다. 2. 자돈분만시간(仔豚分娩時間)은 239.3분(分)이었고, 자돈(仔豚)과 자돈(仔豚)의 분만간격(分娩間隔)은 19.3분(分)이었다. 3. 분만후(分娩後) 첫 번째 젖을 빨려는 시도는 분만후(分娩後) 24.3분(分)이었으며, 젖꼭지 결정시기는 분만후(分娩後) 31.9시간(時間)이었다. 4. 분만일(分娩日) 자돈(仔豚)의 포유시간(哺乳時間)과 포유회수(哺乳回數)는 각각(各各) 35.8초(秒)와 24.6회(回)/1일(日)이었으며, 포유기간(哺乳期間)이 경과할수록 포유시간(哺乳時間)과 포유회수(哺乳回數)가 단축되었다. (P<.01, P<.05) 포유간격(哺乳間隔)은 분만일(分娩日)에 58.5분(分)이었으며, 포유기간(哺乳期間)이 경과할수록 포유간격(哺乳間隔)이 길어졌다. 5. 포유모돈(哺乳母豚)은 하루중 깨어있는 시간이 31.7%, 쉬는 시간이 51.6%이었다.

  • PDF

정상산란계(正常産卵鷄)에 있어서 탄수화물(炭水化物)과 지질대사(脂質代謝)의 생동역학(生動力學) 제1보[第一報] -포도당 대사회전(代謝回轉)의 측정(測定)- (Biokinetics of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in Normal Laying Hen [Part 1] -Determination of Turnover of Glucose-)

  • 장윤환;피엠리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205-209
    • /
    • 1977
  • 단일주사방법(單一注射方法)에 의(依)하여 정상산란계(正常産卵鷄)의 포도당대사(代謝)에 관련(關聯)되는 혈액(血液)포도당의 대사(代謝)풀(pool)크기, 대사회전속도(代謝回轉速度), 대사회전시간(代謝回轉時間), 기타(其他) 관계(關係)되는 항목(項目)들을 조사(調査)하였다. 날개의 정맥(靜脈)을 통(通)하여 정상적(正常的)으로 사양(飼養)된 산란계(産卵鷄)에 $11.6{\mu}Ci$의 순수(純粹)포도당-$C^{14}$를 주입(注入)하였으며 주사(注射) 5분후(分後)에 채취(採取)한 혈액(血液)의 원심분리(遠心分離)에 의(衣)하여 얻어진 혈장(血漿)의 포도당 농도(濃度)는 100ml당(當) 214mg이였다. 혈장(血漿)포도당의 표준비방사능(標準比放射能)의 대수(對數)를, 주사후(注射後) 혈액(血液)을 채취(採取)한 시간(時間)(5분(分)부터 120분(分)까지)에 대(對)하여 그런 곡선(曲線)과 그의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에 대(依)하여 여러가지 대사상태(代謝狀態)를 측정(測定)하였다. 포도당 대사(代謝)의 풀(pool)크기는 1.07g이었고 대사회전속도(代謝回轉速度)는 1분간(分間) 0.024이었으며 대사회전시간(代謝回轉時間)은 41분(分)이었다. 포도당의 이용속도(利用速度)는 1분간(分間) 26mg이였으며(0.75승(乘)한, 즉(卽) 대사체중(代謝體重) kg당(當)) 1시간당(時間當) 0.83g이었다. 포도당 공간(空間)(세포외(細胞外) 체액(體液)의 용량(容量))은 체중(體重)의 25.3이었다. 주사후(注謝後) 10분(分)부터 50분(分)까지 채취(採取)한 시료(試料)로부터 얻은 결과(結果)도 상기(上記)의 5분(分)부터 120분(分)까지의 시료(試料)에서 얻은 성적(成績)과 비등(比等)하였다. 시일경과(時日經過)함에 따라 75%까지 억제하였다. 6)산 초 산초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시일(貯臧時日)과 관계(關係)없이 50% 억제하였고 10% 첨가구(添加區)는 3일이후(日以後)부터 계속 억제하여 75%까지 억제 하였다. 7)겨 자 겨자 1%, 5% 첨가구(添加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경과(時日經過)에 따라 62.5%의 억제 현상을 보였다. 8) 고초냉이 고초냉이 1%, 5% 첨가구(添加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87.5%까지 억제하였다. 9) Mono sodium glutamate Mono sodium glutamate 1% 첨가구(添加區)는 5일(日)까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억제하지 않았으나 그후(後)부터 50% 억제하였고 5%,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따라 50%에서 82.5%로 억제되었다. 10)설 탕 설탕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貯臧) 3일(日)까지는 50%로, 그 이후(以後)는 75% 억제되었고 설탕 10% 첨가구(添加區)는 계속 75% 억제 하였다.ato granules and their cooked ones. 8. From the view of food sanitation, dipping treatment of the potato granules in the solution of $K_2S_20_5$ is safe because of the few residual amount of

  • PDF

송 『영조법식』의 건축계획 치수 단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자(尺) 단위 계획설과 분(分°) 단위 계획설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mension unit of framework on Yingzaofashi - Confrontation between Chi(尺) hypothesis and Fen(分°) hypothesis -)

  • 백소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3호
    • /
    • pp.7-16
    • /
    • 2022
  • Fen(分°) is the proportional dimension unit of the standard timber section on Yingzaofashi(營造法式), and there is a phrase that not only structural members but the whole structural design of a building also use Fen as the dimension unit on the book. But in fact only the section dimensions of structural members are recorded by Fen, but the design dimensions are recorded by Chi(尺) on the book. Other historical records also described the building size by Chi. So there has been long-standing debate on the phase in Chinese architectural history society, including the recent confrontation on the analysis of survey figures of the east great hall of Foguangsi temple(佛光寺 東大殿). This paper analyzes all the records about the size of structural members and section planning on the book to make various calculation and evaluation. And it makes a survey of Cai(材) as the dimension and design unit between Chi and Fen through geometric analysis. Cai might be a rough unit of measurement in terms of structural and proportional scheming on Yingzaofashi, and the full size Cai(足材) had been a building scheming module before the Song dynasty.

묽은황산(黃酸) 및 Cellulase에 의(依)한 목재당화(木材糖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Wood with Dilute Sulphuric Acid Solution and Trichoderma viride Cellulase)

  • 정인표;김홍은;민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
    • /
    • 1979
  • 1. 본시험(本試驗)은 당화기질(糖化基質)로 산오리나무재(材)를 묽은황산(黃酸)으로 전처리(前處理)한 후(後) Trichoderma viride 16374호균(號菌)에서 얻은 cellulase를 작용(作用)시켜 환원당(還元糖)을 생성(生成)할 수 있는 최적조건(最適條件)을 조사(調査)한 것이다. 즉(卽) 산오리나무(10~15년생(年生))의 톱밥을 전처리(前處理)할 때 황산농도(黃酸濃度) 0.3%, 0.6%, 0.9%, 1.2%, 1.5%로 구분(區分)하고 열압시간(熱壓時間)은 $1.5kg/cm^2$에서 15분(分), 30분(分), 45분(分), 60분(分)으로 각각(各各) 구분(區分) 처리(處理)하여 건조(乾燥)시킨것을 다시 $190^{\circ}C$에서 30분간(分間) 열처리후(熱處理後) 60mesh로 분쇄(粉碎)한 것을 당화기질(糖化基質)로 사용(使用)하였다. 그리고 cellulase 반응조건(反應條件)은 0.1M황산완충액(黃酸緩衝液)(pH 5.0) 50ml, 기질량(基質量) 0.5g, 고근효소액(盬析酵素液) 0.5ml를 100ml용(用) 삼각(三角) flask에 넣고 잘 혼합(混合)한 후(後) $40^{\circ}C$에서 96시간(時間) 반응(反應)시켜 이때 생성(生成)된 환원당량(還元糖量)을 조사(調査)하였다. 2. 고근효소액(盬析酵素液)의 조제(調製)는 밀기울액체진탕배양법(液體振盪培養法)에 의(依에) 하여 생성(生成)된 조효소액(粗酵素液)을 유안절포도(硫安飽和度)에 의(依)한 고근효소액(盬析酵素液)을 만들었다. 3. 환원당정량(還元糖定量)은 DNS법(法)에 의(依)하였다. 4. 묽은황산(黃酸)으로 처리(處理)한 톱밥의 환원당(還元糖) 생성량(生成量)은 황산농도(黃酸濃度) 1.5%, $1.5kg/cm^2$에서 열압시간(熱壓時間)은 45분(分)으로 처리(處理)한 것이 16.0%로 최대량(最大量)을 나타냈으나 작용(作用)함으로서 생성(生成)된 환원당량(還元糖量)은 황산농도(黃酸濃度) 0.9%, 열압시간(熱壓時間) 60분(分) 처리(處理)한 것이 23.6%로(본시험(本試驗) 범위(範圍)에서는 47.5% 증가(增加)) 나타났다.

  • PDF

양송이 괴균병균(塊菌病菌)의 방제(防除) 및 생장요인(生長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Diehlomyces microsporus and Chemical Control of Truffle Disease in Cultivation of Agaricus bisporus)

  • 김광포;차동열;정후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괴균병균(塊菌病菌)의 영양원(營養源) 최적온도(最適溫度) 및 pH 사멸온도방제약제(死滅溫度防除藥劑)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지(培地) 중(中)에서 괴균병균(塊菌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양송이 종균(種菌) 추출배지(抽出培地)에서,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미강(米糠) 추출배지(抽出培地0에서 가장 좋았다. 2.각종(各種) 영양원중(營養源中) 탄소원(炭素原)으로 L-asparagin이나 ammonium nitrate, 탄소원(炭素源)으로 glucose나 fructose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3.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sim}28^{\circ}C$였고 최적(最適) pH는 5.5내외(內外)였다. 4. 사멸온도(死滅溫度)는 균사(菌絲)가 $40^{\circ}C$에서 120분(分), 또는 $60^{\circ}C$에서 60분(分) 이상(以上), 자양포자(子襄胞子)가 $60^{\circ}C$에서 240분(分) 또는 $80^{\circ}C$에서 120분(分) 이상(以上) 열처리시(熱處理時) 완전(完全) 사멸(死滅)되었다. 5. 본(本) 병(病)은 종균(種菌) 재식시(栽植時)나 복토전(覆土前) 퇴비(堆肥)에 접종(接種) 했을 때 피해(避害)가 컸다. 6. basamid나 vapam약제(藥劑)를 퇴비(堆肥) 입상시(入床時) $100{\sim}150 ppm$ppm으로 처리(處理)한 후(後) 후발효(後醱酵)를 실시(實施)하므로서 괴균병(塊菌病)을 방제(防除)할 수 있었다.

  • PDF

Ketamine의 뇌(腦) Norepinephrine함량(含量)과 혈장(血漿) Corticosterone치(値) 변동(變動)에 미치는 Reserpine과 Cocaine의 영향(影響) (Influences of Reserpine and Cocaine on the Changes of Brain Norepinephrine Content and Plasma Corticosterone Level induced by Ketamine)

  • 김양숙;김학열;천연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7-113
    • /
    • 1983
  • Ketamine이 백서(白鼠)의 전뇌(全腦)와 심장조직중(心臟組織中)의 NE함량(含量)과 혈장(血漿) corticosterone치(値) 변동(變動)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관찰(觀察)하고 아울러 reserpine 및 cocaine을 전처치(前處置)하고 ketamine의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정상(正常) mouse에 ketamine 5mg, 10mg, 20mg 및 40m1/kg를 각각(各各) 투여(投與)한 후(後) 30분(分)에 측정(測定)한 혈장(血漿) corticosterone치(値)는 약물(藥物)의 투여양(投與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상승(上昇)되며, 20mg/kg와 40mg/kg에서는 더욱 현저(顯著)하였다. 2) ketamine은 투여후(投與後) 30분(分) 및 60분(分)에 전뇌(全腦)와 심장조직중(心臟組織中)의 NE함량(含量)을 감소(減少)시켰다. 3) ketamine에 의(依)한 혈장(血漿) corticosterone치(値)는 reserpine 36시간(時間) 전처치(前處置)로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cocaine 15분(分) 전처치(前處置)로는 별(別) 변화(變化)를 볼 수 없었다. 4) ketamine에 의(依)한 전뇌(全腦)와 심장조직중(心臟組織中)의 NE함량(含量)은 reserpine 전처치(前處置)로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cocaine 전처치(前處置)로는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